편찬항목:전인혁

hanyang
전인혁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7월 15일 (수) 17:09 판 (새 문서: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width:100%; background:white;" !no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ja || note || progress |- | 1 ||형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ja note progress
1 형염 Food 제수 12변 형염(形鹽) 形鹽 호랑이 모양의 소금. 현재는 굵은 소금으로 대용함.
2 어수 Food 제수 12변 어수(魚鱐) 魚鱐 말린 물고기(대구포)
3 건조 Food 제수 12변 건조(乾棗) 乾棗 마른 대추
4 율황 Food 제수 12변 율황(乾棗) 栗黃 마른 밤
5 진자 Food 제수 12변 진자(榛子) 榛子 개암(잣)
6 능인 Food 제수 12변 능인(菱仁) 菱仁 마른 은행
7 검인 Food 제수 12변 검인(芡仁) 芡仁 가시연밥의 알맹이(호두)
8 녹포 Food 제수 12변 녹포(鹿脯) 鹿脯 사슴고기로 만든 포. 현재는 소고기 포로 대용함.
9 백병 Food 제수 12변 백병(白餠) 白餠 쌀가루로 만든 흰떡(백설기)
10 흑병 Food 제수 12변 흑병(黑餠) 黑餠 메밀가루로 만든 검은 떡(수수떡)
11 구이 Food 제수 12변 구이(糗餌) 糗餌 쌀을 볶아 말려 만든 떡(흰다식)
12 분자 Food 제수 12변 분자(粉餈) 粉餈 콩으로 가루를 만들어 자(餈) 위에 묻힌 떡(인절미)
13 구저 Food 제수 12두 구저(韭菹) 韭菹 부추 김치
14 담해 Food 제수 12두 담해(醓醢) 醓醢 쇠고기 장조림
15 청저 Food 제수 12두 청저(菁菹) 菁菹 무 김치
16 녹해 Food 제수 12두 녹해(鹿醢) 鹿醢 사슴고기 장조림
17 근저 Food 제수 12두 근저(芹菹) 芹菹 미나리 김치
18 토해 Food 제수 12두 토해(兔醢) 兔醢 토끼고기 장조림
19 순저 Food 제수 12두 순저(筍菹) 筍菹 죽순 김치
20 어해 Food 제수 12두 어해(魚醢) 魚醢 조기 절임
21 비석 Food 제수 12두 비석(脾析) 脾析 소의 천엽
22 돈박 Food 제수 12두 돈박(豚拍) 豚拍 돼지의 갈비
23 이식 Food 제수 12두 이식(酏食) 酏食 찰기장으로 만든 떡(경단)
24 삼식 Food 제수 12두 삼식(糝食) 糝食 쌀가루를 삶은 후 익혀 소 · 양 · 돼지 고기를 넣어 부친 전
25 Food 제수 2보 도(稻) 벼(쌀)
26 Food 제수 2보 양(粱) 메조
27 Food 제수 2궤 서(黍) 차조
28 Food 제수 2궤 직(稷) 기장
29 우성칠체 Food 제수 3성 우성칠체(牛腥七體) 牛腥七體 쇠고기의 7부위
30 시성칠체 Food 제수 3성 시성칠체(豕腥七體) 豕腥七體 돼지고기의 7부위
31 양성칠체 Food 제수 3성 양성칠체(羊腥七體) 羊腥七體 양고기의 7부위
32 우숙장위폐 Food 제수 3숙 우숙장위폐(牛熟腸胃肺) 牛熟腸胃肺 소의 내장을 익힌 것(창자, 위, 폐)
33 양숙장위폐 Food 제수 3숙 양숙장위폐(羊熟腸胃肺) 羊熟腸胃肺 양의 내장을 익힌 것(창자, 위, 폐)
34 시숙부 Food 제수 3숙 시숙부(豕熟膚) 豕熟膚 돼지의 껍질을 익힌 것
35 화갱 Food 제수 3형갱 화갱(和羹) 和羹 고기와 양념 등을 넣은 국
36 모활 Food 제수 3형갱 모활(芼滑) 芼滑 모갱(芼羹)을 끓일 때 넣는 채소. 순채(蓴菜)를 뜻함.
37 예제 Food 제수 제주 예제(醴齊) 醴齊 초헌례 때 올리는 제주(단술)
38 앙제 Food 제수 제주 앙제(盎齊) 盎齊 아헌례 때 올리는 제주(백차주)
39 청주 Food 제수 제주 청주(淸酒) 淸酒 종헌례 때 올리는 제주(맑은술)
40 명수 Food 제수 제주 명수(明水) 明水 맑고 깨끗한 물. 정화수
41 현주 Food 제수 제주 현주(玄酒) 玄酒 맑고 깨끗한 물. 제수로 올리지 않는 진설용
42 초헌관 Actor 제관 3헌관 초헌관(初獻官) 初獻官 처음으로 폐백과 술잔을 신위에 올리는 제관
43 아헌관 Actor 제관 3헌관 아헌관(亞獻官) 亞獻官 술잔을 신위에 두 번째로 올리는 제관
44 종헌관 Actor 제관 3헌관 종헌관(終獻官) 終獻官 술잔을 신위에 마지막으로 올리는 제관
45 단상집례 Actor 제관 집례 단상집례(壇上執禮) 壇上執禮 제단 위에 올라 홀기(笏記)를 읽어 의식의 절차를 진행 시키는 제관
46 단하집례 Actor 제관 집례 단하집례(壇下執禮) 壇下執禮 제단 아래에서 홀기(笏記)를 읽어 의식의 절차를 진행 시키는 제관
47 천조관 Actor 제관 제집사 천조관(薦俎官) 薦俎官 삼숙을 담은 조(俎)를 받들어 올리는 제관
48 봉조관 Actor 제관 제집사 봉조관(捧俎官) 捧俎官 삼숙을 담은 생갑(牲匣)를 받들어 올리는 제관
49 진폐작주관 Actor 제관 제집사 진폐작주관(進幣爵酒官) 進幣爵酒官 친제(親祭) 때 초헌관에게 폐백과 술잔을 받들어 올리는 제관
50 전폐작주관 Actor 제관 제집사 전폐작주관(奠幣爵酒官) 奠幣爵酒官 친제(親祭) 때 초헌관에게 폐백과 술잔을 받들어 올리는 제관
51 전사관 Actor 제관 제집사 전사관(典祀官) 典祀官 제사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관원
52 단사 Actor 제관 제집사 단사(壇司) 壇司 사직단의 관리를 담당한 관원
53 대축 Actor 제관 제집사 대축(大祝) 大祝 제사 때 축문을 읽는 제관
54 축사 Actor 제관 제집사 축사(祝史) 祝史 신위에 올릴 삼숙을 솥(鼎)에 담아 찬만(饌幔)에 설치하는 제관
55 재랑 Actor 제관 제집사 재랑(齋郞) 齋郞 제사 때 주로 술잔을 씻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관
56 집준 Actor 제관 제집사 집준(執尊) 執尊 술잔에 술을 따르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관
57 장생령 Actor 제관 제집사 장생령(掌牲令) 掌牲令 제사에 쓰이는 희생을 담당하는 관원
58 협률랑 Actor 제관 제집사 협률랑(協律郞) 協律郞 휘(麾)를 들고 내리며 의식에 맞춰 음악의 시작과 끝을 조율하는 관원
59 작세위 Actor 제관 제집사 작세위(爵洗位) 爵洗位 술잔을 씻는 것을 도와주는 제관
60 관세위 Actor 제관 제집사 관세위(盥洗位) 盥洗位 손을 씻는 것을 도와주는 제관
61 예의사 Actor 제관 제집사 예의사(禮儀使) 禮儀使 친제 때 초헌관인 국왕을 인도하는 제관
62 근시 Actor 제관 제집사 근시(近侍) 近侍 임금인 초헌관을 모시는 승정원 승지
63 좌통례 Actor 제관 제집사 좌통례(左通禮) 左通禮 궁에서 출궁한 임금을 재궁까지 모시는 관원
64 우통례 Actor 제관 제집사 우통례(右通禮) 右通禮 궁에서 출궁한 임금을 재궁까지 모시는 관원
65 봉례 Actor 제관 제집사 봉례(奉禮) 奉禮 친제 때 아헌관인 왕세자를 인도하는 제관
66 찬자 Actor 제관 제집사 찬자(贊者) 贊者 제사 때 집례가 읽는 홀기를 전창하는 제관
67 알자 Actor 제관 제집사 알자(謁者) 謁者 종헌관 · 진폐작주관 · 전폐작주관 · 천조관 · 봉조관을 인도하는 제관
68 찬인 Actor 제관 제집사 찬인(贊引) 贊引 감찰을 비롯한 모든 집사자를 인도하는 제관
69 감찰 Actor 제관 제집사 감찰(監察) 監察 의례의 진행을 감독하는 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