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재현물 제작 정보)
(재현물 제작 정보)
13번째 줄: 13번째 줄:
 
* 상아로 만든 6개 판을 사슴가죽으로 꿰고 오색매듭을 닮.
 
* 상아로 만든 6개 판을 사슴가죽으로 꿰고 오색매듭을 닮.
 
* 악학궤범 환산수치: 전체길이 19.5cm. 매 나무판마다 윗변 2.3cm, 두께 0.6cm 아랫변 1.7cm, 두께 0.3cm
 
* 악학궤범 환산수치: 전체길이 19.5cm. 매 나무판마다 윗변 2.3cm, 두께 0.6cm 아랫변 1.7cm, 두께 0.3cm
|| [[파일:아박_악학궤범.jpg|80px]]<br/><ref>[https://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EC%8B%A0%EC%97%AD%EC%95%85%ED%95%99%EA%B6%A4%EB%B2%9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502쪽.]</ref>
+
|| [[파일:아박_악학궤범.jpg|80px]]<br/>아박<ref>[https://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EC%8B%A0%EC%97%AD%EC%95%85%ED%95%99%EA%B6%A4%EB%B2%9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502쪽.]</ref>
 
|-
 
|-
  

2020년 12월 19일 (토) 02:19 판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도식(圖式)」 아박 documents
  • 재질: 금
80.아박 정해.jpg
아박
악학궤범] 아박 documents
  • 상아로 만든 6개 판을 사슴가죽으로 꿰고 오색매듭을 닮.
  • 악학궤범 환산수치: 전체길이 19.5cm. 매 나무판마다 윗변 2.3cm, 두께 0.6cm 아랫변 1.7cm, 두께 0.3cm
아박 악학궤범.jpg
아박[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아박 documents
  • 오색 매듭 길이 참고.
아박 일러스트.jpg
아박 일러스트[2]
한국문화재재단, 문화유산이야기 아박 documents
  • 오색매듭 색 및 재질 참고.(박 모양 말고 매듭만 참고할 것. 아박은 상아재질임.)
아박 매듭 복원품.jpg
국가무형문화제 제22호 매듭장 최은순의 박유소</ref>
  1.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502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3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