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Additional Attributes)
(Contextual Relations)
39번째 줄: 39번째 줄:
 
| [[오례]] || [[가례]] || [[hasPart]] ||
 
| [[오례]] || [[가례]] || [[hasPart]] ||
 
|-
 
|-
| [[가례]] || [[책례]] || [[hasPart]] ||
+
| [[가례]] || [[책례]] || [[hasPart]] || 조하(朝賀), 왕과 백관들이 정기적으로 만나는 조회(朝會), 왕비나 왕세자ㆍ왕세자빈의 관례(冠禮)ㆍ책례(冊禮)ㆍ혼례(婚禮), 과거시험의 전시(殿試), 과거 합격자 발표[放榜], 왕세자의 입학례(入學禮), 궁중 양로연(養老宴), 요하의(遙賀儀)[2], 영명례(迎命禮)[3], 향음주의(鄕飮酒義)
 
|-
 
|-
 
| [[가례]] || [[존호]] || [[hasPart]] ||
 
| [[가례]] || [[존호]] || [[hasPart]] ||
 +
|-
 +
| [[가례]] || [[조하(朝賀)]] || [[hasPart]] ||
 +
|-
 +
| [[가례]] || [[조회(朝會)]] || [[hasPart]] ||
 +
|-
 +
| [[가례]] || [[관례(冠禮)]] || [[hasPart]] ||
 +
|-
 +
| [[가례]] || [[혼례(婚禮)]] || [[hasPart]] ||
 +
|-
 +
| [[가례]] || [[입학례(入學禮)]] || [[hasPart]] ||
 +
|-
 +
| [[가례]] || [[양로연(養老宴)]] || [[hasPart]] ||
 +
|-
 +
| [[가례]] || [[요하의(遙賀儀)]] || [[hasPart]] ||
 +
|-
 +
| [[가례]] || [[영명례(迎命禮)]] || [[hasPart]] ||
 +
|-
 +
| [[가례]] || [[향음주의(鄕飮酒義)]] || [[hasPart]] ||
 
|-
 
|-
 
| [[진연도감]] || [[가례]] || [[administrates]] ||  
 
| [[진연도감]] || [[가례]] || [[administrates]] ||  

2020년 11월 19일 (목) 20:42 판

Definition

조선시대 왕실과 대한제국시대 황실의 큰 경사스러운 행사를 말한다.[1] 『국조오례의』에 길(吉), 가(嘉), 군(軍), 빈(賓), 흉(凶)의 오례(五禮)로 구성되어 있다.가례(嘉禮)는 궁궐에서 명절에 중국 황제에 대해 절을 올리는 망궐례(望闕禮), 중국 사신으로부터 조문(詔文)ㆍ칙문(勅問)ㆍ표문(表文)을 받는 의식, 백관들이 명절에 왕에게 인사를 드리는 조하(朝賀), 백관들이 정기적으로 만나는 조회(朝會), 왕비나 왕세자ㆍ왕세자빈의 관례(冠禮)책례(冊禮)혼례(婚禮), 과거시험의 전시(殿試), 과거 합격자 발표[放榜], 왕세자입학례(入學禮), 궁중 양로연(養老宴), 요하의(遙賀儀)[2], 영명례(迎命禮)[3], 향음주의(鄕飮酒義)[4] 등이다. 특히, 왕세자혼례가례라고 하는데 글자는 같지만 이는 넓은 의미의 가례에 속한 의례의 하나이다. 일반인의 혼인은 가족 행사인 데 반해 왕세자의 혼인은 국가 차원에서 정부기관의 주관 아래 거행되었다.[5]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가례 Concept 개념용어 가례(嘉禮) 가례 嘉禮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가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가례
한자표기 嘉禮
이칭/별칭
유형 국가혼례, 오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오례 가례 hasPart
가례 책례 hasPart 조하(朝賀), 왕과 백관들이 정기적으로 만나는 조회(朝會), 왕비나 왕세자ㆍ왕세자빈의 관례(冠禮)ㆍ책례(冊禮)ㆍ혼례(婚禮), 과거시험의 전시(殿試), 과거 합격자 발표[放榜], 왕세자의 입학례(入學禮), 궁중 양로연(養老宴), 요하의(遙賀儀)[2], 영명례(迎命禮)[3], 향음주의(鄕飮酒義)
가례 존호 hasPart
가례 조하(朝賀) hasPart
가례 조회(朝會) hasPart
가례 관례(冠禮) hasPart
가례 혼례(婚禮) hasPart
가례 입학례(入學禮) hasPart
가례 양로연(養老宴) hasPart
가례 요하의(遙賀儀) hasPart
가례 영명례(迎命禮) hasPart
가례 향음주의(鄕飮酒義) hasPart
진연도감 가례 administrates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순비책봉의궤 가례 documents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가례 documents
고종대례의궤 가례 documents
원행을묘정리의궤 가례 documents
헌종무신진찬의궤 가례 documents
가례 participatesIn
왕비 가례 participatesIn
왕세자 가례 participatesIn
왕세자빈 가례 participatesIn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사직단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444
참고 AKS Encyves 사직단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사직단
참고 위키백과 서울 사직단 https://ko.wikipedia.org/wiki/서울_사직단
참고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직단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13&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search_left_menu=6
참고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직단유도설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OrgFilePopup.do?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content_seq=3
참고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직단과 문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310&index_id=cp03100410&content_id=cp031004100001&search_left_menu=8
참고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종묘와 사직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r0210_0010&code=eh_age_30
참고 KBS 한국의 유산 사직단 편 2013. 8. 3. https://www.youtube.com/watch?v=IRrOyVEs23g
참고 TBS 집중리포트 사직단 복원 논란 2015. 2. 13. https://www.youtube.com/watch?v=dKjEUrphjm8
참고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사직공원 효자공원이 사라진다고? 대통령도 아실까? 2020. 6. 26. '2020 도시공원일몰제 대응시민행동' 맹지연 집행위원장 이슈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ZxtTrcu5OE0
참고 YTN 뉴스 '조선의 상징' 사직단 복원 첫발...전사청 권역 발굴 2015. 11. 20. https://www.youtube.com/watch?v=rCjqgWT26lk
참고 무지개TV 한국의 유산 조선시대 제단 사직단 2019. 6. 25. https://www.youtube.com/watch?v=1fFBmcOwMNs
참고 문화재청 영상 일본이 없애려 했던 조선왕실의 제단 2017. 9. 28.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사직단
참고 서울디자인자산 사직단 2011. 7. 27. https://www.youtube.com/watch?v=_qYmDX64ZKY
참고 예올 사직단 역사성 회복 운동 2014. 7. 29. https://www.youtube.com/watch?v=KzfDSGc3osc
참고 예올 사직단 잠에서 깨어나다 2014. 12. 4. https://www.youtube.com/watch?v=Z57NBsxthH4
참고 여행하는 차돌맹이 토지신과 곡식신을 모신 사직단을 아시나요? 2019. 8. 7. https://www.youtube.com/watch?v=T8j0JMZdyro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지식 관계망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6 - 조선초기의 문화 1』, 국사편찬위원회, 1995.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 (상) -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일지사, 2007.
박례경, 「조선시대 국가전례에서 사직제 의례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규장각』29, 2006.
이영춘, 「사직제의 기원과 변천」, 『인하사학』10, 2003.
이욱, 「조선후기 기곡제 설행의 의미 - 장서각 소장 사직서 의궤와 등록을 중심으로」, 『장서각』4, 2000.
한형주, 「조선 태종·세종대 사직제의 이해와 운영」, 『한국사학보』6, 1999.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문식,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 김문식, 신병주 지음,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선아, 「조선시대 치마ㆍ저고리 배색 특성에 관한 고찰-『嘉禮都監儀軌󰡕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2권 1호, 한국색채학회, 2008.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2000.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신순자,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1989.
  • 심승구, 「조선시대 왕실혼례의 추이와 특성」, 『朝鮮時代史學報』 41, 조선시대 사학회, 2007.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욱,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덕온공주 가례 절차」,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 1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주미,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임민혁,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韓國史學史學報』 25, 한국사학사학회, 2012.
  • 임민혁, 『조선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조미나,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Notes

  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55쪽.
  2. 요하의(遙賀儀): 지방관과 지방에 파견된 사신이 하례하는 의례이다.
  3. 영명례(迎命禮):지방에서 국왕이 내리는 교서와 선온(宣醞,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술), 향 등을 받거나 맞이하는 의례이다.
  4. 향음주의(鄕飮酒義): 향촌의 선비나 유생들이 향교나 서원 등에 모여 학덕과 연륜이 높은 이를 주빈(主賓)으로 모시고 술을 마시며 잔치를 하는 향촌의례(鄕村儀禮)의 하나이다.
  5. 임민혁, "AKS Encyves 가례", 『조선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16쪽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