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공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黄公绍/1173182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황공소
  
 
[[운회|운회(韻會)]]는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의 제기도설 세뢰항목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원나라 초기 황공소(黃公紹)가 편집한 운서 「고금 운회(古今韻會)」1)<ref>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흔히 이 책은 「고금 운회 거요」와 더불어 「운회」라고 부른다.</ref>(1292 이전)을 그의 제자 웅충(熊忠)이 간략하게 하고 주석을 더하여 1297년에 「고금 운회 거요」라는 이름으로 펴냈다. 이 운서는 줄여서 「운회(韻會)」라고도 하는데, 원나라 황공소(黃公紹)의 「고금 운회(古今韻會)」를 웅충(熊忠)이 거요(擧要)하여 즉 요점을 추리고, 또 빠진 것을 보충하고, 주석을 더하여 30권 10책으로 펴낸 것이다.<ref>중국 운서는 한도소(韓道昭)의 「오운 집운(五韻集韻)」, 유연(劉淵)의 「임자 신간 예부 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 웅충(熊忠)의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會擧要)」에 의해 한 차례씩 바뀌었다(김현철 외 옮김, 1997: 353).</ref>
 
[[운회|운회(韻會)]]는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의 제기도설 세뢰항목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원나라 초기 황공소(黃公紹)가 편집한 운서 「고금 운회(古今韻會)」1)<ref>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흔히 이 책은 「고금 운회 거요」와 더불어 「운회」라고 부른다.</ref>(1292 이전)을 그의 제자 웅충(熊忠)이 간략하게 하고 주석을 더하여 1297년에 「고금 운회 거요」라는 이름으로 펴냈다. 이 운서는 줄여서 「운회(韻會)」라고도 하는데, 원나라 황공소(黃公紹)의 「고금 운회(古今韻會)」를 웅충(熊忠)이 거요(擧要)하여 즉 요점을 추리고, 또 빠진 것을 보충하고, 주석을 더하여 30권 10책으로 펴낸 것이다.<ref>중국 운서는 한도소(韓道昭)의 「오운 집운(五韻集韻)」, 유연(劉淵)의 「임자 신간 예부 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 웅충(熊忠)의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會擧要)」에 의해 한 차례씩 바뀌었다(김현철 외 옮김, 1997: 353).</ref>
 
[네이버 지식백과] 고금 운회 거요 [古今韻曾擧要]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네이버 지식백과] 고금 운회 거요 [古今韻曾擧要]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네이버 지식백과] 고금 운회 거요 [古今韻曾擧要]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네이버 지식백과] 고금 운회 거요 [古今韻曾擧要]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曾擧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51&cid=51070&categoryId=51070
 
한국 자전의 역사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曾擧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51&cid=51070&categoryId=51070
 +
 +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黄公绍/1173182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ctor]] [[분류:Actor-인물]] [[분류:박수정]]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ctor]] [[분류:Actor-인물]] [[분류:박수정]]

2020년 7월 29일 (수) 19:16 판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황공소

운회(韻會)『사직서의궤』의 제기도설 세뢰항목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원나라 초기 황공소(黃公紹)가 편집한 운서 「고금 운회(古今韻會)」1)[1](1292 이전)을 그의 제자 웅충(熊忠)이 간략하게 하고 주석을 더하여 1297년에 「고금 운회 거요」라는 이름으로 펴냈다. 이 운서는 줄여서 「운회(韻會)」라고도 하는데, 원나라 황공소(黃公紹)의 「고금 운회(古今韻會)」를 웅충(熊忠)이 거요(擧要)하여 즉 요점을 추리고, 또 빠진 것을 보충하고, 주석을 더하여 30권 10책으로 펴낸 것이다.[2] [네이버 지식백과] 고금 운회 거요 [古今韻曾擧要]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네이버 지식백과] 고금 운회 거요 [古今韻曾擧要]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曾擧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51&cid=51070&categoryId=51070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黄公绍/1173182

  1.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흔히 이 책은 「고금 운회 거요」와 더불어 「운회」라고 부른다.
  2. 중국 운서는 한도소(韓道昭)의 「오운 집운(五韻集韻)」, 유연(劉淵)의 「임자 신간 예부 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 웅충(熊忠)의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會擧要)」에 의해 한 차례씩 바뀌었다(김현철 외 옮김, 1997: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