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소주방 연구 보고서 201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36번째 줄: 36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DB&key=경복궁_소주방_연구_보고서_2012"></iframe>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B&key=경복궁_소주방_연구_보고서_2012"></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DB&key=경복궁_소주방_연구_보고서_2012'">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B&key=경복궁_소주방_연구_보고서_2012'">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보고서]] [[분류:이창섭]]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보고서]] [[분류:이창섭]]

2020년 11월 5일 (목) 13:40 판

Definition

이 문서는 경복궁소주방내소주방 외소주방 생물방 남외행각 등 조선시대 궁중에서 쓰일 음식에 대한 것과, 생활 기물을 조사하고 궁궐생활상 복원과 활용한 이후 공간의 쓸모에 따라 기물을 조사 연구한 보고서이다. 조사지역은 앞에서 언급 했듯이 경복궁 소주방 권역 지역이다. 제2차 경복궁 복원정비사업(2010-2030년) 장기 플랜 중 하나로, 소주방 권역 지역 복원과 맞추어 그 지역내 있었던 유물들을 원형과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런 배치를 토대로 복원이 완료된 이후에는 국가 홍보의 역할을 할 수 있게 2D 디스플레이와 3D 시뮬레이션으로 조선시대 소주방에서 있었던 생활을 구현해 보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경복궁_소주방_연구_보고서_2012 Record 보고서 연구 경복궁 소주방 생활용품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경복궁 소주방 생활용품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경복궁_소주방_연구_보고서_2012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제목 경복궁 소주방 생활용품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보고서 작성 장경희
조사/연구기관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행기관 문화재청
발행일 2012년 11월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경복궁_소주방_연구_보고서_2012 선원전 mentions

Notes

  1. 장경희,『경복궁 소주방 생활용품조사(연구용역 보고서)』, 문화재청, 2012년 11월, p.7-16.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