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염-形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Online Reference)
119번째 줄: 119번째 줄:
 
| 참고 || 종묘관리소 || 종묘제례문물 || ||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3.jsp&pageNo=76040300&siteCd=JM
 
| 참고 || 종묘관리소 || 종묘제례문물 || ||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3.jsp&pageNo=76040300&siteCd=JM
 
|-
 
|-
| 도해 || 종묘관리소 || 종묘제례문물 || || http://dh.aks.ac.kr/hanyang/wiki/images/a/a5/%ED%98%95%EC%97%BC.gif|}
+
| 도해 || 종묘관리소 || 종묘제례문물 || || http://dh.aks.ac.kr/hanyang/wiki/images/a/a5/%ED%98%95%EC%97%BC.gif|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2020년 7월 16일 (목) 03:49 판

Definition

조선시대의 국가제례에서 사용하는 제수 가운데 하나로 호랑이 모양의 소금을 뜻한다. 현재 거행되고 있는 종묘제례 및 사직대제에서는 굵은 소금을 사용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형염 Food 제수 12변 형염(形鹽) 형염 形鹽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형염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형염
이칭/별칭 소금
유형 제수
용례 마른 제수 · 변(籩)에 담는다.
진설 행사 제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단 형염 isUsedIn
『세종실록』_오례의_변 형염 goesWith
『국조오례의_의_변 형염 goesWith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위키 실록사전 형염(形鹽)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형염(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형염(形鹽)
참고 위키 실록사전 변두(籩豆)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두(籩豆)
참고 한국음식문화 한식문화사전 소금((반찬의 으뜸은 소금) https://www.kculture.or.kr/brd/board/640/L/menu/641?brdType=R&thisPage=1&bbIdx=12128&rootCate=&searchField=title&searchText=%EC%86%8C%EA%B8%88&searchCategory5=510&recordCnt=10
참고 종묘관리소 종묘제례문물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3.jsp&pageNo=76040300&siteCd=JM
도해 종묘관리소 종묘제례문물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한복진, 『조선시대 궁중의 식생활문화』,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 국가제례』, 국립고궁박물관, 2017.
오세옥, 김기빈(옮김),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김문식, 김지영, 박례경, 송지원, 심승구, 『왕실의 천지제사 : 조선 왕실의 행사1』, 돌베개, 2011.
강문식, 이현진, 『종묘와 사직 : 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책과함께, 2011.
김동욱, 『종묘와 사직』, 대원사, 2005.
국립문화재연구소, 『종묘제례 :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 민속원, 2008.
국립문화재연구소, 『사직대제 :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민속원, 2007.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사직단국왕친향도병풍 번역집』, 전주이씨대동종약원, 2017.
이건웅,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 전수교육교재』, 사직대제보존회, 2004.

Notes

호랑이 모양의 소금. 현재는 굵은 소금으로 대용함.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