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홍단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혜(鞋)는 목이 없는 신으로, 주로 가죽과 비단으로 만들었다.<ref></ref>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혜(여성) 혜(여성)]", <html><online styl...)
 
 
1번째 줄: 1번째 줄:
혜(鞋)는 목이 없는 신으로, 주로 가죽과 비단으로 만들었다.<ref></ref>  
+
혜(鞋)는 목이 없는 신으로, 주로 가죽과 비단으로 만들었다.<ref>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혜(여성) 혜(여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AKS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조선시대 궁중연향 중 1887년(고종 24) 진찬 때에 '연화대무(蓮花臺舞)', '무산향(舞山香)', '춘앵전(春鶯囀)'의 정재여령 복식으로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착용하였다.<ref>『(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ref>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혜(여성) 혜(여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AKS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ref> 조선시대 궁중연향 중 1887년(고종 24) 진찬 때에 '연화대무(蓮花臺舞)', '무산향(舞山香)', '춘앵전(春鶯囀)'의 정재여령 복식으로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착용하였다.<ref>『(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ref>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현승]] [[분류:김현승-미완성]]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현승]] [[분류:김현승-미완성]]

2022년 9월 27일 (화) 17:03 기준 최신판

혜(鞋)는 목이 없는 신으로, 주로 가죽과 비단으로 만들었다.[1] 조선시대 궁중연향 중 1887년(고종 24) 진찬 때에 '연화대무(蓮花臺舞)', '무산향(舞山香)', '춘앵전(春鶯囀)'의 정재여령 복식으로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착용하였다.[2]

  1. "혜(여성)", 『AKS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2. 『(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