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안지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응안지악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국악)
+
응안지악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국악)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305&index_id=cp03050129&content_id=cp030501290001&search_left_menu=
[콘텐츠 상세설명] 콘텐츠명 흐느끼는 응안 음원듣기 | 표준 | | | 바운싱1 | | | 바운싱2 | | | 바운싱3 | | | 바운싱4 | | | 바운싱5 | | 설명 제례에서 사용되는 음악. 원형선율을 이용하여 응어리진 원망과 절망을 표현하였다. [원곡설명] 문묘...
+
 
 +
제례에서 사용되는 음악. 원형선율을 이용하여 응어리진 원망과 절망을 표현하였다.
  
  

2020년 7월 29일 (수) 20:00 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3086


응안지악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국악)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305&index_id=cp03050129&content_id=cp030501290001&search_left_menu=

제례에서 사용되는 음악. 원형선율을 이용하여 응어리진 원망과 절망을 표현하였다.


응안지악 [凝安之樂] 한겨레음악대사전 ① 조선초기 제례악의 한 곡명. ② 현행 문묘제례악의 한 곡명. ① 조선초기 제례악(祭禮樂)의 한 곡명. 이 곡은 세종(1418~1450) 때 종묘제향(宗廟祭享)의 철변두(徹籩豆) 절차에서 연주됐다. 세조(1455~1468) 때 종묘제향의 철변두 절차에서 연주된 "응안지악"의 악보는 『세조실록』 권48에 전한다. "응안지악"은 지기(地祇)·사직(社稷)·선농(先農)·선잠(...


관련어: 칠음음계[ 七音音階 ] 한겨레음악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59127&cid=60486&categoryId=60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