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치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Definition)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의 [[조선_왕비|왕비]]와 [[왕세자빈]], 대한제국의 [[황후]][[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나 [[혼례]]또는 [[책례]]행할 때 [[스란치마]]와 [[대란치마]] 위에 갖추어 입는 세가닥 치마이다.<ref>김소현, 「조선왕실의 적의」, 『아름다운 시작』,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74쪽.</ref>
+
여성 의복에서 치마 두벌을 갖추어 입을 경우, '웃치마''치마'포개어 입는다. 웃치마에 대한 견해는 두 가지가 있다.<br>
명(明)의 제도에는 없는 것이지만 조선에서 남자의 예복 일습 중 [[중단|중단(中單)]] 위에 앞 3폭, 뒤 4폭의 [[면복 하상]]이나 [[강사포 하상]]을 갖추듯이 여성들도 [[적의]]나 [[원삼]]을 입고 [[스란치마]]와 [[대란치마]] 위에 세가닥 치마인 전행웃치마를 입는다.<ref>김소현, 「조선왕실의 적의」, 『아름다운 시작』,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74쪽.</ref> 앞의 한 자락과 뒤의  두자락을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 붙인다. 앞의 한 자락은 직물 세 폭을 붙여 만들고, 뒤의 두 자락은 각각 두 폭을 붙여 만든다.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어서 착용하면 뒤의 두 자락이 바닥에 끌린다. 치맛자락의 위에서 아래까지 주름을 잡아주는데, 치맛자락의 중하부에 금사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f> 조선후기 기록에는 [[전행웃치마]]의 색이 남색 계열만 기록되어 있다. <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8쪽.</ref> 스란단은 [[왕비]]용,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은 봉황무늬를 넣는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f>
+
① '웃치마'는 일반적인 개념과 정반대의 것으로 속치마처럼 먼저 입는 것이다. 그 위에 겉치마로서 입는 것이 '치마'이다.<ref>김용숙, 『조선조궁중풍속연구』, 일지사, 1987, 287쪽.</ref><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13쪽.</ref><br>
<br> 전행웃치마는 [[스란]] 무늬의 종류에 따라 봉황 무늬가 들어간 [[봉스란전행웃치마]]와 꽃과 글자 무늬가 들어간 [[화문스란전행웃치마]] 등이 있다.
+
② '웃치마'의 '웃'은 "위"를 뜻하는 옛말로, '위치마(웃치마)'의례 때 일반 치마 위에 길게 또는 짧게 덧입는 의례용 치마이다.<ref>황문환·박부자·이명은·이은주·조정아, 『정미가례시일기 복식 어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8, 491쪽.</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3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스란웃치마]] || Clothing || 복식 || 옷 || 스란웃치마[膝襴上裳] || 스란웃치마 || 膝襴上裳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스란웃치마 ||
+
| [[웃치마]] || Clothing || 복식 || 옷 || 웃치마[上裳] || 웃치마 || 上裳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웃치마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4/4a/궁중기록화_복식_전행웃치마02_고궁박물관.jpg"/></html> <br>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
 
|-
 
|}
 
|}
25번째 줄: 24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스란웃치마]]
+
| id || [[웃치마]]
 
|-
 
|-
| 대표명칭 || 스란웃치마
+
| 대표명칭 || 웃치마
 
|-
 
|-
|한자표기|| 膝襴上裳
+
|한자표기|| 上裳
 
|-
 
|-
|이칭별칭|| 전행웃치마[前香上裳]
+
|이칭별칭||  
 
|-
 
|-
 
|구분|| 옷
 
|구분|| 옷
 
|-
 
|-
|착용신분|| 왕실
+
|착용신분|| 왕실여성, 궁녀
 
|-
 
|-
 
|착용성별|| 여성
 
|착용성별|| 여성
46번째 줄: 4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용스란전행웃치마]] || [[스란웃치마]] || [[type]] ||  
+
| [[스란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봉스란전행웃치마]] || [[스란웃치마]] || [[type]] ||  
+
| [[용스란전행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화문스란전행웃치마]] || [[스란웃치마]] || [[type]] ||  
+
| [[봉스란전행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 [[화문스란전행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 [[남색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 [[홍색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 [[황색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 [[아청웃치마]] || [[웃치마]] || [[type]] ||  
 
|-
 
|-
 
|}
 
|}

2021년 5월 9일 (일) 15:1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여성 의복에서 치마 두벌을 갖추어 입을 경우, '웃치마'와 '치마'를 포개어 입는다. 웃치마에 대한 견해는 두 가지가 있다.
① '웃치마'는 일반적인 개념과 정반대의 것으로 속치마처럼 먼저 입는 것이다. 그 위에 겉치마로서 입는 것이 '치마'이다.[1][2]
② '웃치마'의 '웃'은 "위"를 뜻하는 옛말로, '위치마(웃치마)'는 의례 때 일반 치마 위에 길게 또는 짧게 덧입는 의례용 치마이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웃치마 Clothing 복식 웃치마[上裳] 웃치마 上裳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웃치마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웃치마
대표명칭 웃치마
한자표기 上裳
이칭별칭
구분
착용신분 왕실여성, 궁녀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스란웃치마 웃치마 type
용스란전행웃치마 웃치마 type
봉스란전행웃치마 웃치마 type
화문스란전행웃치마 웃치마 type
남색웃치마 웃치마 type
홍색웃치마 웃치마 type
황색웃치마 웃치마 type
아청웃치마 웃치마 typ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전행웃치마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전행웃치마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전행웃치마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71
사진 AKS Encyves 치마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1/10/궁중기록화_복식_치마02_해평윤씨_석주선박물관.jpg
도해 AKS Encyves 대란치마 영친왕비 운봉문직금단 자색 대란치마[4]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a1/궁중기록화_복식_대란치마03_고궁박물관.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이 복식』, 민속원, 2017.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박가영, 『조선시대 궁중 패션』, 민속원, 2017.
임경화, 「치마의 장식요소와 표현성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부터 2001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국립고궁박물관 편집부, 『영친왕 일가 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0.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Notes

  1. 김용숙, 『조선조궁중풍속연구』, 일지사, 1987, 287쪽.
  2.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13쪽.
  3. 황문환·박부자·이명은·이은주·조정아, 『정미가례시일기 복식 어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8, 491쪽.
  4.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