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명성황후의 가례-친영 내인복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3번째 줄: 3번째 줄:
  
 
1866년(고종 3) 3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고종(高宗 1852~1919)]과 [[명성황후|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가례에서 친영시 말을 타고 참여한 내인(內人)의 복장이다.<br/>  
 
1866년(고종 3) 3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고종(高宗 1852~1919)]과 [[명성황후|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가례에서 친영시 말을 타고 참여한 내인(內人)의 복장이다.<br/>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에서 기행내인(騎行內人)의 복식 물목으로는 홍저포장삼(紅苧布長衫), 초록주겹저고리[草綠紬裌赤古里], 남주겹치마[藍紬襦赤亇], 아청주치마[雅青紬赤亇], 백정주말군(白鼎紬袜裙), 백정주삼아(白鼎紬衫兒), 남사대(藍紗带), 청상립(青箱笠), 흑주너울(黑紬羅兀), 양이엄(凉耳掩), 흑웅피온혜(黑熊皮温鞋)라고 되어 있다.<ref>"[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3153_00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奎1315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ref> 이처럼 영조 대 부터 『가례도감의궤』와 『상방정례』에 따르면 궁녀들의 예복으로 장삼이 기록되어 있지만, 장삼의 원형이 어떠했는지는 알 수 없으며 후에 원삼의 형태와 같아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ref>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8-91쪽.</ref> 이상의 내용과 반차도에 그려진 모습으로 보아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에 참여한 내인의 복장은 너울·원삼 차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에서 기행내인(騎行內人)의 복식 물목으로는 홍저포장삼(紅苧布長衫), 황저포장삼(黃苧布長衫), 초록주겹저고리[草綠紬裌赤古里], 남주솜치마[藍紬襦赤亇], 아청주치마[雅青紬赤亇], 백정주말군(白鼎紬袜裙), 백정주삼아(白鼎紬衫兒), 남사대(藍紗带), 청상립(青箱笠), 흑주너울(黑紬羅兀), 양이엄(凉耳掩), 흑웅피온혜(黑熊皮温鞋)라고 되어 있다.<ref>"[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3153_00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奎1315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ref> 이처럼 영조 대 부터 『가례도감의궤』와 『상방정례』에 따르면 궁녀들의 예복으로 장삼이 기록되어 있지만, 장삼의 원형이 어떠했는지는 알 수 없으며 후에 원삼의 형태와 같아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ref>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8-91쪽.</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6번째 줄: 26번째 줄:
 
| id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id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
| 대표명칭 || 내인복장
+
| 대표명칭 || 고종명성후 가례 친영 내인복장
 
|-
 
|-
|한자표기|| 內人服
+
|한자표기|| 高宗明成后 嘉禮 親迎 內人服
 
|-
 
|-
 
|이칭별칭|| 내인복식
 
|이칭별칭|| 내인복식
45번째 줄: 4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너울]]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여립]]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녹원삼]]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남대대]]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청초상]]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가슴가리개]]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단속곳]]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말군]]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버선]]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속바지]]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속속곳]]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온혜]]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적삼]]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홍색웃치마]] || [[hasPart]]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wears]] ||
 +
|-
 
|}
 
|}
  

2021년 3월 8일 (월) 17:09 판

Definition

1866년(고종 3) 3월 고종(高宗 1852~1919)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가례에서 친영시 말을 타고 참여한 내인(內人)의 복장이다.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에서 기행내인(騎行內人)의 복식 물목으로는 홍저포장삼(紅苧布長衫), 황저포장삼(黃苧布長衫), 초록주겹저고리[草綠紬裌赤古里], 남주솜치마[藍紬襦赤亇], 아청주치마[雅青紬赤亇], 백정주말군(白鼎紬袜裙), 백정주삼아(白鼎紬衫兒), 남사대(藍紗带), 청상립(青箱笠), 흑주너울(黑紬羅兀), 양이엄(凉耳掩), 흑웅피온혜(黑熊皮温鞋)라고 되어 있다.[1] 이처럼 영조 대 부터 『가례도감의궤』와 『상방정례』에 따르면 궁녀들의 예복으로 장삼이 기록되어 있지만, 장삼의 원형이 어떠했는지는 알 수 없으며 후에 원삼의 형태와 같아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Clothing 복장 궁녀 내인복장(內人服) 내인복장 內人服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대표명칭 고종명성후 가례 친영 내인복장
한자표기 高宗明成后 嘉禮 親迎 內人服
이칭별칭 내인복식
분류 예복
착용신분 궁녀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너울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여립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녹원삼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남대대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청초상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가슴가리개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단속곳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말군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버선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속바지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속속곳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온혜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적삼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홍색웃치마 hasPart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wears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1.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奎13153)",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online,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8-91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