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룡각보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재현물 제작 정보)
(Defini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보개|보개(寶蓋)]]는 궁궐 정전이나 편전 등 왕이 머무르는 건물 천장에 설치되었던 어좌의 장엄 장식물이다. 조선시대의 정전은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인정전, 창경궁 명정전, 덕수궁 중화전, 경희궁 숭정전이 해당한다. 용이나 봉황은 왕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상상의 동물로 웅장하고 화려한 조각으로 왕의 공간을 장식함으로써 왕의 신성과 위엄을 강조하였다. 이 보개는 원래 궁궐의 어느 전각에 설치되어 있던 것이었는데 건물이 헐리면서 해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103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쌍룡각보개',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ref>
+
[[보개|보개(寶蓋)]]는 궁궐 정전이나 편전 등 왕이 머무르는 건물 천장에 설치되었던 어좌의 장엄 장식물이다. 조선시대의 정전은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인정전, 창경궁 명정전, 덕수궁 중화전, 경희궁 숭정전이 해당한다. 용이나 봉황은 왕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상상의 동물로 웅장하고 화려한 조각으로 왕의 공간을 장식함으로써 왕의 신성과 위엄을 강조하였다. 이 [[쌍룡각보개|쌍룡각보개(雙龍刻寶蓋)]]는 원래 궁궐의 어느 전각에 설치되어 있던 것이었는데 건물이 헐리면서 해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103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쌍룡각보개',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ref>
  
 
===재현물 제작 정보===
 
===재현물 제작 정보===
21번째 줄: 2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Object]] [[분류:Object-물품]] [[분류:김해인]] [[분류:재현]]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건축부품]] [[분류:김해인]] [[분류:재현]]

2021년 1월 24일 (일) 00:14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보개(寶蓋)는 궁궐 정전이나 편전 등 왕이 머무르는 건물 천장에 설치되었던 어좌의 장엄 장식물이다. 조선시대의 정전은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인정전, 창경궁 명정전, 덕수궁 중화전, 경희궁 숭정전이 해당한다. 용이나 봉황은 왕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상상의 동물로 웅장하고 화려한 조각으로 왕의 공간을 장식함으로써 왕의 신성과 위엄을 강조하였다. 이 쌍룡각보개(雙龍刻寶蓋)는 원래 궁궐의 어느 전각에 설치되어 있던 것이었는데 건물이 헐리면서 해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국립고궁박물관 쌍룡각보개 documents
  • 나무에 칠
  • 조각부분 세로: 104.0cm, 가로: 189.5cm, 두께: 5.0cm
  • 받침판 세로: 140.0cm, 가로: 224.0cm, 두께: 2.0cm
쌍룡각보개 창덕20225.jpg
쌍룡각보개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