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Online Reference)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정초(鄭樵)]]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다. 단대사(斷代史)를 비판하며, 통사 형식인 『사기』의 체제를 본따, 삼황(三皇)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나라, 당나라에 이르는 전장(典章), 제도를 기록한 정서(政書)이다. 십통의 하나이며, [[두씨통전|『통전』]], [[문헌통고|『문헌통고』]]와 함께 삼통(三通)으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청나라의 장학성에 의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
__NOTOC__
 +
==Definition==
  
전체 200권이고, 고증 3권이 붙어있으며, 기전체로서 본기, 연보, 세가, 열전, 재기와 이십략(二十略) 등이 포함되어 있다.(위키백과)
+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정초(鄭樵)]]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다. 단대사(斷代史)를 비판하며, 통사 형식인 『사기』의 체제를 본따, 삼황(三皇)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나라, 당나라에 이르는 전장(典章), 제도를 기록한 정서(政書)이다. 십통의 하나이며, [[두씨통전|『통전』]], [[문헌통고|『문헌통고』]]와 함께 삼통(三通)으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청나라의 장학성에 의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
전체 200권이고, 고증 3권이 붙어있으며, 기전체로서 본기, 연보, 세가, 열전, 재기와 이십략(二十略) 등이 포함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통지_(책) 통지_(책)]",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br/><ref>"[https://baike.baidu.com/item/通志/14843 通志]", <html><online style="color:purple">『百度百科』<sup>online</sup></online></html>,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ref>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통지_(책)
+
==Semantic Data==
  
국립중앙박물관 용어사전 http://www.heritage.go.kr/heri/dic/selectDicDetail.do?id=5755
+
===Node Description===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library.pl?if=gb&res=501&by_title=通志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통지]] || Record || 문헌 || 예서(禮書) || 통지(通志) || 통지 || 通志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통지 || [[파일:95eef01f3a292df5beaaaf18bf315c6034a87355.jpg|100픽셀]]<br/>百度百科[https://baike.baidu.com/]
 +
|-
 +
|}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通志/14843
+
===Additional Attributes===
  
维基百科 https://zh.wikipedia.org/wiki/通志
+
* [[틀:문헌정보]]
  
维基文库 https://zh.wikisource.org/wiki/通志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propertyName || value
 +
|-
 +
| id || [[통지]]
 +
|-
 +
| 한자표기 || 通志
 +
|-
 +
| 이칭/별칭 ||
 +
|-
 +
| 유형 || 예서(禮書)
 +
|-
 +
| 저자 || [[정초|정초(鄭樵)]](남송)
 +
|-
 +
| 간행시기 || 소흥 31년(1161년)
 +
|-
 +
| 수량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사직서의궤]] || [[통지]] || [[references]] ||
 +
|-
 +
| [[문헌통고]] || [[통지]] || [[isRelatedTo]] || 『통지(通志)』는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과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림
 +
|-
 +
| [[두씨통전]] || [[통지]] || [[isRelatedTo]] || 『통지(通志)』는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과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림
 +
|}
 +
 
 +
==Spatial Data==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style="width:15%"| resource || style="width:15%"|title || style="width:20%"|desc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 위키백과 ||  ||  || https://ko.wikipedia.org/wiki/통지_(책)
 +
|-
 +
| 해설 || 국립중앙박물관 용어사전 ||  ||  ||  http://www.heritage.go.kr/heri/dic/selectDicDetail.do?id=5755
 +
|-
 +
| 해설 || CTEXT ||  ||  ||  https://ctext.org/library.pl?if=gb&res=501&by_title=通志
 +
|-
 +
| 해설 || 百度百科 || || || https://baike.baidu.com/item/通志/14843
 +
|-
 +
| 해설 || 维基百科 || || || https://zh.wikipedia.org/wiki/通志
 +
|-
 +
| 해설 || 维基文库 || || ||  https://zh.wikisource.org/wiki/通志
 +
|-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李賢求,||  『(國譯)洪武禮制』,|| 回想社, 1986.|| ||
 +
|-
 +
| 박준호,||  「홍무예제와 조선 초기 공문서 제도」, 『고문서연구』,|| 고문서학회, 2003.|| ||
 +
|-
 +
| 심영환,||  「朝鮮初期 官文書의 『洪武禮制』 呈狀式 受容 事例」, 『藏書閣』,||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
 +
 
 +
==Notes==
 +
 
 +
<references/>
 +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문헌]] [[분류:박수정]]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문헌]] [[분류:박수정]]

2020년 12월 24일 (목) 14:3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鄭樵)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다. 단대사(斷代史)를 비판하며, 통사 형식인 『사기』의 체제를 본따, 삼황(三皇)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나라, 당나라에 이르는 전장(典章), 제도를 기록한 정서(政書)이다. 십통의 하나이며, 『통전』, 『문헌통고』와 함께 삼통(三通)으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청나라의 장학성에 의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전체 200권이고, 고증 3권이 붙어있으며, 기전체로서 본기, 연보, 세가, 열전, 재기와 이십략(二十略) 등이 포함되어 있다.[1]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통지 Record 문헌 예서(禮書) 통지(通志) 통지 通志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통지 95eef01f3a292df5beaaaf18bf315c6034a87355.jpg
百度百科[1]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통지
한자표기 通志
이칭/별칭
유형 예서(禮書)
저자 정초(鄭樵)(남송)
간행시기 소흥 31년(1161년)
수량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서의궤 통지 references
문헌통고 통지 isRelatedTo 『통지(通志)』는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과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림
두씨통전 통지 isRelatedTo 『통지(通志)』는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과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림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통지_(책)
해설 국립중앙박물관 용어사전 http://www.heritage.go.kr/heri/dic/selectDicDetail.do?id=5755
해설 CTEXT https://ctext.org/library.pl?if=gb&res=501&by_title=通志
해설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通志/14843
해설 维基百科 https://zh.wikipedia.org/wiki/通志
해설 维基文库 https://zh.wikisource.org/wiki/通志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李賢求, 『(國譯)洪武禮制』, 回想社, 1986.
박준호, 「홍무예제와 조선 초기 공문서 제도」, 『고문서연구』, 고문서학회, 2003.
심영환, 「朝鮮初期 官文書의 『洪武禮制』 呈狀式 受容 事例」, 『藏書閣』,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Notes

  1. "통지_(책)",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
  2. "通志", 『百度百科』online,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