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서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Online Reference)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ref>이성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사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ref>이성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사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도제조는 조선시대와 대한제국시대 왕실 의례를 위해 설립된 각 [[도감]]의 최고 책임자로, 정 1품 관직인 영의정과 좌의정이 겸직한다.<ref>신병주,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167쪽.</ref> 중앙 관직의 하나로, 고위 관료들의 겸직을 통한 정치기구의 장악을 돕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관제상의 우두머리가 아닌, 고위 관원으로서 일정한 관청의 일을 다스리는 경우에 그 고위 관직 또한 [[도제조]]라 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6364&cid=49387&categoryId=49387&expCategoryId=49387 도제조]",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조선시대 종오품(從五品) 동반직(東班職)이나, 종친부의 영(令)은 정오품(正五品) 관직이고, 준원전의 영은 종육품(從六品) 관직이다. 종친부의 영은 1457년(세조 3) 7월 종실의 직질(職秩)을 제정할 때 정사품(正四品) 관직으로 두었다가, 뒤에 정오품으로 낮추어 경국대전에 실었다. 종친부와 광흥창을 제외하고는 모두 그 기관의 장이었다. 해당 관서는 다음과 같다.
 +
종친부(宗親府, 正五品), 광흥창(廣興倉), 소격서(昭格署),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경모궁(景慕宮), 평시서(平市署), 사온서(司醞署), 5부(五部), 의영고(義盈庫), 장흥고(長興庫), 조경묘(肇慶廟), 경기전(慶基殿), 준원전(濬源殿, 從六品), 영희전(永禧殿), 장녕전(長寧殿), 화령전(華寧殿),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후릉(厚陵), 영릉(英陵), 현릉(顯陵), 장릉(莊陵), 사릉(思陵),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공릉(恭陵), 온릉(溫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장릉(章陵), 장릉(長陵), 휘릉(徽陵), 영릉(寧陵), 숭릉(崇陵), 명릉(明陵), 익릉(翼陵), 의릉(懿陵), 혜릉(惠陵), 홍릉(弘陵), 영릉(永陵),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현륭원(顯隆園), 휘경원(徽慶園) 등에 1∼2원을 두어 업무를 주관하게 했다.<ref>"[http://people.aks.ac.kr/front/dirSer/pos/posView.aks?posId=POS_6JOS_3KJ_000676 영(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관직명사전』,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3번째 줄: 24번째 줄:
 
|id || 사직서령(社稷署令)
 
|id || 사직서령(社稷署令)
 
|-
 
|-
|품계 || 종1품
+
|품계 || 종5품(從五品)
 
|-
 
|-
 
|주제 || 길례, 관직
 
|주제 || 길례, 관직
36번째 줄: 37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사직서령]] || [[영]] || [[type]] ||
+
| [[사직서령]] || [[영-令]] || [[type]] ||
 
|-
 
|-
| [[종1품]] || [[영]] || [[hasPart]] ||
+
| [[종5품]] || [[영-令]] || [[hasPart]] ||
 
|-
 
|-
| [[사직서도제조]] || [[사직서제조]] || [[isRelatedTo]] || B는 A의 하위 계급에 해당하는 관계어?
+
| [[사직서도제조]] || [[사직서령]] || [[isRelatedTo]] ||
 
|-
 
|-
 
| [[사직서제조]] || [[사직서령]] || [[isRelatedTo]] ||
 
| [[사직서제조]] || [[사직서령]] || [[isRelatedTo]] ||
 
|-
 
|-
| [[사직서령]] || [[사직서참봉]] || [[isRelatedTo]] ||
+
| [[사직서참봉]] || [[사직서령]] || [[isRelatedTo]] ||
 
|-
 
|-
| [[노사신]] || [[사직서제조]] || [[servesAs]] ||
+
| [[권영]] || [[사직서령]] || [[servesAs]] || 권영(權泳)
 
|-
 
|-
| [[구수영|구수영(具壽永)]] || [[사직서제조]] || [[servesAs]] ||
+
| [[정구]] || [[사직서령]] || [[servesAs]] || 정구(鄭逑))
 
|-
 
|-
| [[김정국|김정국(金正國)]] || [[사직서제조]] || [[servesAs]] ||
+
| [[윤순거]] || [[사직서령]] || [[servesAs]] || 윤순거(尹舜擧)
 
|-
 
|-
| [[윤동도]] || [[사직서제조]] || [[servesAs]] ||
+
| [[권주]] || [[사직서령]] || [[servesAs]] || 권주(權胄)
 
|-
 
|-
| [[김완수|김완수(金完秀)]] || [[사직서제조]] || [[servesAs]] ||
+
| [[김시민]] || [[사직서령]] || [[servesAs]] || 김시민(金時敏)
 
|-
 
|-
 
|}
 
|}
120번째 줄: 121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직서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
| 참고 || 역주조선왕조실록 || 령(令) || ||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11528
 
|-
 
|-
| 해설 || 위키백과 || 종1품 || || https://ko.wikipedia.org/wiki/종1품
+
| 참고 || 민족문화대백과 || 사직서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
 
|-
| 참고 || AKS 디지털장서각 || 사직서도제조선생안(社稷署都提調先生案)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544
+
| 참고 || 실록사전 || 사직서(社稷署)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서(社稷署)
 
|-
 
|-
| 참고 || AKS Encyves || 도제조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도제조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한국고전용어사전 || 묘사령(廟社令)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304&cid=41826&categoryId=41826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도제조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500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도제조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도제조&ridx=0&tot=1621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도제조(都提調)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도제조(都提調)
 
|-
 
| 참고 || 문화원형백과(『네이버 지식백과』) || 도제조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6364&cid=49387&categoryId=49387&expCategoryId=49387
 
 
|-
 
|-
 
|}
 
|}

2020년 12월 24일 (목) 12:5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1] 조선시대 종오품(從五品) 동반직(東班職)이나, 종친부의 영(令)은 정오품(正五品) 관직이고, 준원전의 영은 종육품(從六品) 관직이다. 종친부의 영은 1457년(세조 3) 7월 종실의 직질(職秩)을 제정할 때 정사품(正四品) 관직으로 두었다가, 뒤에 정오품으로 낮추어 경국대전에 실었다. 종친부와 광흥창을 제외하고는 모두 그 기관의 장이었다. 해당 관서는 다음과 같다. 종친부(宗親府, 正五品), 광흥창(廣興倉), 소격서(昭格署),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경모궁(景慕宮), 평시서(平市署), 사온서(司醞署), 5부(五部), 의영고(義盈庫), 장흥고(長興庫), 조경묘(肇慶廟), 경기전(慶基殿), 준원전(濬源殿, 從六品), 영희전(永禧殿), 장녕전(長寧殿), 화령전(華寧殿),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후릉(厚陵), 영릉(英陵), 현릉(顯陵), 장릉(莊陵), 사릉(思陵),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공릉(恭陵), 온릉(溫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장릉(章陵), 장릉(長陵), 휘릉(徽陵), 영릉(寧陵), 숭릉(崇陵), 명릉(明陵), 익릉(翼陵), 의릉(懿陵), 혜릉(惠陵), 홍릉(弘陵), 영릉(永陵),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현륭원(顯隆園), 휘경원(徽慶園) 등에 1∼2원을 두어 업무를 주관하게 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사직서령 Concept 경관직 사직서 사직서령(社稷署令) 사직서령 社稷署令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서령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사직서령(社稷署令)
품계 종5품(從五品)
주제 길례, 관직
관련 관서 사직서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서령 영-令 type
종5품 영-令 hasPart
사직서도제조 사직서령 isRelatedTo
사직서제조 사직서령 isRelatedTo
사직서참봉 사직서령 isRelatedTo
권영 사직서령 servesAs 권영(權泳)
정구 사직서령 servesAs 정구(鄭逑))
윤순거 사직서령 servesAs 윤순거(尹舜擧)
권주 사직서령 servesAs 권주(權胄)
김시민 사직서령 servesAs 김시민(金時敏)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역주조선왕조실록 령(令)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11528
참고 민족문화대백과 사직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참고 실록사전 사직서(社稷署)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서(社稷署)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한국고전용어사전 묘사령(廟社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304&cid=41826&categoryId=41826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문식·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신병주,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강문식,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박재영,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1. 이성무, "사직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영(令)", 『관직명사전』,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