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Online Reference)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흉례
 
|한자표기= 凶禮
 
|영문명칭=
 
|이칭별칭=
 
|유형= 의례
 
|관련개념= [[상례]]
 
}}
 
 
=='''정의'''==
 
조선시대,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상례(喪禮)와 죽은 사람의 시신을 처리하는 장례(葬禮)를 말한다.
 
 
=='''내용'''==
 
조선시대,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상례(喪禮)와 죽은 사람의 시신을 처리하는 장례(葬禮)를 말한다. 왕실의 상장(喪葬)에 관련된 의식과 산릉(山陵)의 제사, 시호와 책보(冊寶)를 올리는 의식이다. 왕이나 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이 죽었을 경우 국장(國葬)을 치르게 되는데, 그 장례식에 관련된 일체의 의식과 신위를 종묘에 모시는 부묘(祔廟) 의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왕과 왕비가 승하하면 5개월장을 치르고, 궁 안에서 3년 상을 치른 뒤 종묘에 신주를 봉안한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6쪽.</ref>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의 [[흉례]]는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가나 왕실의 상례 의식은 민간의 상례 의식에 비해 장중하고 복잡하다. 이런 절차는 국가 또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한다.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의식 중 민간의 상례의식과 다른 것을 예로 들면, 국휼고명을 비롯하여 계령(鷄令)·사위(嗣位)·반교서(頒敎書)·고부청시청승습(告訃請諡請承襲)·의정부솔백관진향의(議政府率百官進香儀)·청시종묘의(請諡宗廟儀)·상시책보의(上諡冊寶儀) 등이 있다. 그 밖에는 민간의 상례 의식과 비슷하여 대부(大夫)와 사서인(士庶人)의 상례는 [[초종|초종(初終)]]에서 [[담|담(禫)]]까지 모두 38개항의 의절이 있다. 고려 말 이래 준행되어 온 [[주자가례|『가례』]]에 수록된 내용과 거의 같다. [[상례]]라 하면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를 의미하는 데 반해, [[흉례]]는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는 물론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국가 규범적 예전(禮典)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5482&cid=46649&categoryId=46649 상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숙종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인현왕후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경종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정조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순조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단의빈예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국장도감]] || 흉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hasWife B
 
|-
 
| [[예장도감]] || 흉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hasWife B
 
|-
 
| [[백관]] || 흉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주석'''==
 
<references/>
 
 
  
 
==Definition==
 
==Definition==
  
 
조선시대의 오례 중 하나로, 국가의 장례(葬禮) 의식을 말한다. 왕실의 상장(喪葬)에 관련된 의식과 산릉(山陵)의 제사, 시호와 책보(冊寶)를 올리는 의식이다. 왕이나 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이 죽었을 경우 국장(國葬)을 치르게 되는데, 그 장례식에 관련된 일체의 의식과 신위를 종묘에 모시는 부묘(祔廟) 의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왕과 왕비가 승하하면 5개월장을 치르고, 궁 안에서 3년 상을 치른 뒤 종묘에 신주를 봉안한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6쪽.</ref>
 
조선시대의 오례 중 하나로, 국가의 장례(葬禮) 의식을 말한다. 왕실의 상장(喪葬)에 관련된 의식과 산릉(山陵)의 제사, 시호와 책보(冊寶)를 올리는 의식이다. 왕이나 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이 죽었을 경우 국장(國葬)을 치르게 되는데, 그 장례식에 관련된 일체의 의식과 신위를 종묘에 모시는 부묘(祔廟) 의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왕과 왕비가 승하하면 5개월장을 치르고, 궁 안에서 3년 상을 치른 뒤 종묘에 신주를 봉안한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6쪽.</ref>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의 [[흉례]]는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가나 왕실의 상례 의식은 민간의 상례 의식에 비해 장중하고 복잡하다. 이런 절차는 국가 또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한다.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의식 중 민간의 상례의식과 다른 것을 예로 들면, 국휼고명을 비롯하여 계령(鷄令)·사위(嗣位)·반교서(頒敎書)·고부청시청승습(告訃請諡請承襲)·의정부솔백관진향의(議政府率百官進香儀)·청시종묘의(請諡宗廟儀)·상시책보의(上諡冊寶儀) 등이 있다. 그 밖에는 민간의 상례 의식과 비슷하여 대부(大夫)와 사서인(士庶人)의 상례는 [[초종|초종(初終)]]에서 [[담|담(禫)]]까지 모두 38개항의 의절이 있다. 고려 말 이래 준행되어 온 [[주자가례|『가례』]]에 수록된 내용과 거의 같다. [[상례]]라 하면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를 의미하는 데 반해, [[흉례]]는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는 물론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국가 규범적 예전(禮典)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5482&cid=46649&categoryId=46649 상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ref>한영우,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길례 AKS Encyves 길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4~35쪽<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의 [[흉례]]는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가나 왕실의 상례 의식은 민간의 상례 의식에 비해 장중하고 복잡하다. 이런 절차는 국가 또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한다.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의식 중 민간의 상례의식과 다른 것을 예로 들면, 국휼고명을 비롯하여 계령(鷄令)·사위(嗣位)·반교서(頒敎書)·고부청시청승습(告訃請諡請承襲)·의정부솔백관진향의(議政府率百官進香儀)·청시종묘의(請諡宗廟儀)·상시책보의(上諡冊寶儀) 등이 있다. 그 밖에는 민간의 상례 의식과 비슷하여 대부(大夫)와 사서인(士庶人)의 상례는 [[초종|초종(初終)]]에서 [[담|담(禫)]]까지 모두 38개항의 의절이 있다. 고려 말 이래 준행되어 온 [[주자가례|『가례』]]에 수록된 내용과 거의 같다. [[상례]]라 하면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를 의미하는 데 반해, [[흉례]]는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는 물론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국가 규범적 예전(禮典)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f>김택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059 상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91번째 줄: 38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오례]] || [[흉례]] || [[hasPart]] ||
+
| [[세종실록오례]] || [[흉례]] || [[documents]] ||
 
|-
 
|-
| [[숙종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국조오례의]] || [[흉례]] || [[documents]] ||
 
|-
 
|-
| [[인현왕후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국조상례보편]] || [[흉례]] || [[depicts]] ||  
|-
 
| [[경종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정조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순조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단의빈예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국장도감]] || [[흉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hasWife B
 
|-
 
| [[예장도감]] || [[흉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hasWife B
 
|-
 
| [[왕]] || [[흉례]] || [[participatesIn]] ||
 
|-
 
| [[왕세자]] || [[흉례]] || [[participatesIn]] ||
 
|-
 
| [[백관]] || [[흉례]] || [[participatesIn]] ||
 
|-
 
| [[사직서]] || [[길례]] || [[administrates]] ||
 
|-
 
| [[종묘서]] || [[길례]] || [[administrates]] ||
 
|-
 
| [[길례]] || [[사직제]] || [[hasPart]] ||
 
|-
 
| [[길례]] || [[종묘제]] || [[hasPart]] ||
 
|-
 
| [[사직서의궤]] || [[길례]] || [[documents]] ||
 
|-
 
| [[사직서등록]] || [[길례]] || [[documents]] ||
 
|-
 
| [[종묘의궤]] || [[길례]] || [[documents]] ||
 
|-
 
| [[종묘등록]] || [[길례]] || [[documents]] ||
 
 
|-
 
|-
 
|}
 
|}
203번째 줄: 108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사직단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444
+
| 참고 || 역주조선왕조실록 || 흉례 || ||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8014
|-
 
| 참고 || AKS Encyves || 사직단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사직단
 
|-
 
| 참고 || 위키백과 || 서울 사직단 || || https://ko.wikipedia.org/wiki/서울_사직단
 
|-
 
| 참고 || 한국콘텐츠진흥원 || 사직단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13&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search_left_menu=6
 
 
|-
 
|-
| 참고 || 한국콘텐츠진흥원 || 사직단유도설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OrgFilePopup.do?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content_seq=3
+
| 참고 || Encyves || 흉례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흉례
 
|-
 
|-
| 참고 || 한국콘텐츠진흥원 || 사직단과 문묘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310&index_id=cp03100410&content_id=cp031004100001&search_left_menu=8
+
| 참고 || 위키백과 || 국조오례의_흉례 || || https://ko.wikipedia.org/wiki/국조오례의#흉례
 
|-
 
|-
| 참고 ||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 종묘와 사직 ||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r0210_0010&code=eh_age_30
+
| 참고 || 문화콘텐츠닷컴 || 오례서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904&index_id=cp09040109&content_id=cp090401090001&search_left_menu=3
 
|-
 
|-
| 참고 || KBS 한국의 유산 || 사직단 편 || 2013. 8. 3. || https://www.youtube.com/watch?v=IRrOyVEs23g
 
|-
 
| 참고 || TBS 집중리포트 || 사직단 복원 논란 || 2015. 2. 13. || https://www.youtube.com/watch?v=dKjEUrphjm8
 
|-
 
| 참고 ||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사직공원 효자공원이 사라진다고? 대통령도 아실까? || 2020. 6. 26. '2020 도시공원일몰제 대응시민행동' 맹지연 집행위원장 이슈인터뷰 ||  https://www.youtube.com/watch?v=ZxtTrcu5OE0
 
|-
 
| 참고 || YTN 뉴스 || '조선의 상징' 사직단 복원 첫발...전사청 권역 발굴 || 2015. 11. 20.  || https://www.youtube.com/watch?v=rCjqgWT26lk
 
|-
 
| 참고 || 무지개TV || 한국의 유산 조선시대 제단 사직단 || 2019. 6. 25. || https://www.youtube.com/watch?v=1fFBmcOwMNs
 
|-
 
| 참고 || 문화재청 영상 || 일본이 없애려 했던 조선왕실의 제단 || 2017. 9. 28.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사직단
 
|-
 
| 참고 || 서울디자인자산 || 사직단 ||  2011. 7. 27. || https://www.youtube.com/watch?v=_qYmDX64ZKY
 
|-
 
| 참고 || 예올 || 사직단 역사성 회복 운동 || 2014. 7. 29. || https://www.youtube.com/watch?v=KzfDSGc3osc
 
|-
 
| 참고 || 예올 || 사직단 잠에서 깨어나다 || 2014. 12. 4. || https://www.youtube.com/watch?v=Z57NBsxthH4
 
|-
 
| 참고 || 여행하는 차돌맹이 || 토지신과 곡식신을 모신 사직단을 아시나요? || 2019. 8. 7. || https://www.youtube.com/watch?v=T8j0JMZdyro
 
 
|}
 
|}
  
249번째 줄: 129번째 줄:
 
|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 (상) -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 일지사, 2007.|| ||
 
|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 (상) -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 일지사, 2007.|| ||
 
|-
 
|-
| 박례경,|| 「조선시대 국가전례에서 사직제 의례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규장각』29, 2006.|| ||
+
| 임민혁,|| 「조선초기 『國朝五禮儀』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 『역사와 실학』 50 , 2013.|| ||
 +
|-
 +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이영춘,|| 「사직제의 기원과 변천」,|| 『인하사학』10, 2003.|| ||
+
| 鄭鐘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
 
|-
| 이욱,|| 「조선후기 기곡제 설행의 의미 - 장서각 소장 사직서 의궤와 등록을 중심으로」,|| 『장서각』4, 2000.|| ||
+
|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
 
|-
 
|-
| 한형주,|| 「조선 태종·세종대 사직제의 이해와 운영」,|| 『한국사학보』6, 1999.|| ||
 
 
|}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주자가례|『주자가례(朱子家禮)』]]
 
* 이현진, 「영조대 왕실 喪葬禮의 정비와 『國朝喪禮補編』」, 『韓國思想史學』 37, 한국사상사학회, 2011.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泰東古典硏究』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임민혁, 「조선초기 『國朝五禮儀』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 50 , 2013.
 
* 鄭鐘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최규순, 「傳統 喪禮에서의 復과 復衣에 나타난 多面的 성격」, 『한국학논총』 V.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Notes==
 
==Notes==

2020년 12월 24일 (목) 12:2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의 오례 중 하나로, 국가의 장례(葬禮) 의식을 말한다. 왕실의 상장(喪葬)에 관련된 의식과 산릉(山陵)의 제사, 시호와 책보(冊寶)를 올리는 의식이다. 왕이나 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이 죽었을 경우 국장(國葬)을 치르게 되는데, 그 장례식에 관련된 일체의 의식과 신위를 종묘에 모시는 부묘(祔廟) 의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왕과 왕비가 승하하면 5개월장을 치르고, 궁 안에서 3년 상을 치른 뒤 종묘에 신주를 봉안한다.[1] 『국조오례의』흉례는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가나 왕실의 상례 의식은 민간의 상례 의식에 비해 장중하고 복잡하다. 이런 절차는 국가 또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한다.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의식 중 민간의 상례의식과 다른 것을 예로 들면, 국휼고명을 비롯하여 계령(鷄令)·사위(嗣位)·반교서(頒敎書)·고부청시청승습(告訃請諡請承襲)·의정부솔백관진향의(議政府率百官進香儀)·청시종묘의(請諡宗廟儀)·상시책보의(上諡冊寶儀) 등이 있다. 그 밖에는 민간의 상례 의식과 비슷하여 대부(大夫)와 사서인(士庶人)의 상례는 초종(初終)에서 담(禫)까지 모두 38개항의 의절이 있다. 고려 말 이래 준행되어 온 『가례』에 수록된 내용과 거의 같다. 상례라 하면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를 의미하는 데 반해, 흉례는 민간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례는 물론 국가 또는 왕실의 상례와 장례에 관한 의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국가 규범적 예전(禮典)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흉례 Concept 개념용어 흉례(凶禮) 흉례 凶禮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흉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흉례
한자표기 凶禮
이칭/별칭
유형 상례, 국가제사, 오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세종실록오례 흉례 documents
국조오례의 흉례 documents
국조상례보편 흉례 depicts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역주조선왕조실록 흉례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8014
참고 Encyves 흉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흉례
참고 위키백과 국조오례의_흉례 https://ko.wikipedia.org/wiki/국조오례의#흉례
참고 문화콘텐츠닷컴 오례서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904&index_id=cp09040109&content_id=cp090401090001&search_left_menu=3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6 - 조선초기의 문화 1』, 국사편찬위원회, 1995.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 (상) -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일지사, 2007.
임민혁, 「조선초기 『國朝五禮儀』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 50 , 2013.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鄭鐘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Notes

  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36쪽.
  2. 김택규, "상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