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피방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재현물 제작 정보===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정해진찬의궤|『정해진찬의궤(丁亥...)
 
(재현물 제작 정보)
6번째 줄: 6번째 줄:
 
| [[정해진찬의궤|『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권3 「배설(排設)」만경전에서 진찰할 때에 배설하는 위차(萬慶殿 進饌時 排設 位次)  || [[표피방석]] || [[documents]] ||
 
| [[정해진찬의궤|『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권3 「배설(排設)」만경전에서 진찰할 때에 배설하는 위차(萬慶殿 進饌時 排設 位次)  || [[표피방석]] || [[documents]] ||
 
*  대차 (동온돌 북상방): 아래에 배설할 채화 2장을 붙인 돗자리 1부, 위에 배설할 채화단석 1건, 만화방석 1좌, 표피방석 1좌, 채화안식 1좌, 서안 1좌….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8719&cid=62869&categoryId=62869&expCategoryId=62869 한복려, 이효지, 정길자 역,『고종 정해년 진찬의궤』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ref>
 
*  대차 (동온돌 북상방): 아래에 배설할 채화 2장을 붙인 돗자리 1부, 위에 배설할 채화단석 1건, 만화방석 1좌, 표피방석 1좌, 채화안식 1좌, 서안 1좌….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8719&cid=62869&categoryId=62869&expCategoryId=62869 한복려, 이효지, 정길자 역,『고종 정해년 진찬의궤』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ref>
* 선그림(표피방석_그림)을 참고하되, 유물사진(표피방석_유물)을 기준으로 제작. 단 유물사진에서 호피로 된 부분은  표피사진(표피방석_표피) 참고하여 표피무늬로 바꾸어 제작.
 
* 표피방석의 털 재질 제외(무늬만 표현)
 
 
||  
 
||  
 
|-
 
|-
  
 
| [[신축진찬의궤|『신축진찬의궤(辛丑進饌儀軌)』]]|| [[표피방석]] || [[documents]] ||
 
| [[신축진찬의궤|『신축진찬의궤(辛丑進饌儀軌)』]]|| [[표피방석]] || [[documents]] ||
 +
* 선그림(표피방석_그림)을 참고하되, 유물사진(표피방석_유물)을 기준으로 제작. 단 유물사진에서 호피로 된 부분은  표피사진(표피방석_표피) 참고하여 표피무늬로 바꾸어 제작.
 +
* 표피방석의 털 재질 제외(무늬만 표현)
 
|| [[파일:01.표피방석_그림.jpg|100px]]<br/>[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2881 표피방석]
 
|| [[파일:01.표피방석_그림.jpg|100px]]<br/>[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2881 표피방석]
 
|-
 
|-
  
|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 [[몽금척족자]] || [[documents]] ||  
+
|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 [[표피방석]] || [[documents]] ||  
|| [[파일:몽금척족자_일러스트_궁중악무도록.jpg|150px]]<br/>표피방석<ref>[http://portal.nrich.go.kr/kor/originalUsrView.do?menuIdx=502&info_idx=8241&bunya_cd=409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2017, 489쪽.]</ref>
+
|| [[파일:01.표피방석_유물.jpg|150px]]<br/>표피방석<ref>[http://portal.nrich.go.kr/kor/originalUsrView.do?menuIdx=502&info_idx=8241&bunya_cd=409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2017, 489쪽.]</ref>
 +
|-
 +
 
 +
| Free Images || [[표피방석]] || [[documents]] ||
 +
|| [[파일:01.표피방석_표피.jpg|150px]]<br/><ref>[https://pxhere.com/en/photo/670086 표피무늬이미지]
 
|-
 
|-
  

2020년 12월 18일 (금) 21:17 판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권3 「배설(排設)」만경전에서 진찰할 때에 배설하는 위차(萬慶殿 進饌時 排設 位次) 표피방석 documents
  • 대차 (동온돌 북상방): 아래에 배설할 채화 2장을 붙인 돗자리 1부, 위에 배설할 채화단석 1건, 만화방석 1좌, 표피방석 1좌, 채화안식 1좌, 서안 1좌…. [1]
『신축진찬의궤(辛丑進饌儀軌)』 표피방석 documents
  • 선그림(표피방석_그림)을 참고하되, 유물사진(표피방석_유물)을 기준으로 제작. 단 유물사진에서 호피로 된 부분은 표피사진(표피방석_표피) 참고하여 표피무늬로 바꾸어 제작.
  • 표피방석의 털 재질 제외(무늬만 표현)
01.표피방석 그림.jpg
표피방석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표피방석 documents 01.표피방석 유물.jpg
표피방석[2]
Free Images 표피방석 documents 01.표피방석 표피.jpg
<ref>표피무늬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