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학궤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de Description)
(Contextual Relations)
44번째 줄: 44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조선_세종]] || [[악학궤범]] || [[publisher]] ||
 
|-
 
|-
 
| [[왕비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2020년 12월 14일 (월) 09:21 판


Definition

1493년(성종 24) 왕명에 따라 예조판서 성현(成俔)을 비롯하여, 유자광(柳子光)신말평(申末平)박곤(朴棍)김복근(金福根) 등이 엮은 악규집(樂規集). 『악학궤범(樂學軌範)』은 『사직서의궤』의 악기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악학궤범 Record 문헌 예서 악학궤범(樂學軌範) 악학궤범 樂學軌範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악학궤범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악학궤범
한자표기 樂學軌範
이칭/별칭
유형 문헌
저자 성현(成俔), 유자광(柳子光), 신말평(申末平), 박곤(朴棍), 김복근(金福根)
간행시기 1493년(성종 24)
수량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조선_세종 악학궤범 publisher
왕비의_대례복 적말 hasPart
왕세자의_대례복 적말 hasPart
왕세자의_조복 적말 hasPart
왕의_대례복 적말 hasPart
왕의_조복 적말 hasPart
황제의_대례복 적말 hasPart
황제의_조복 적말 hasPart
황태자의_대례복 적말 hasPart
황태자의_조복 적말 hasPart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성종 악학궤범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성현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자광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신말평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곤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복근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장악원 신말평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장악원 유자광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악학궤범 동동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정읍사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봉래의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육화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아박무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몽금척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70000184
참고 AKS 디지털장서각 해제 http://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3-589
참고 AKS 장서각아카이브 초록 http://yoksa.aks.ac.kr/jsp/aa/HajeView.jsp?aa10up=kh2_je_a_vsu_30589_000
참고 AKS 전자도서관 해제 https://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103303
참고 AKS Encyves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악학궤범
참고 위키실록사전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악학궤범(樂學軌範)
참고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악학궤범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악학궤범&ridx=0&tot=60
참고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2172&cid=40942&categoryId=33383
참고 고전문학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6659&cid=41708&categoryId=44531
참고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904&index_id=cp09040017&content_id=cp090400170001&search_left_menu=1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8825
도해 AKS Encyves 적말 『大韓禮典』 황제의 말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5/59/궁중기록화_복식_적말(왕실남성)02.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강제훈, 「조선 『세종실록』『오례』의 편찬 경위와 성격」, 『사학연구』 107, 2012.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참고문헌>

국립국악원,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1989.

렴정권 譯註, 『악학궤범』, 평양 국립출판사, 1956.

이혜구 譯註, 『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회, 1967.

이혜구 譯註,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