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조선시대 여성들이 저고리-여성 위에 입는 대표적인 의례용 복식이다.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
 
(Semantic Network Graph)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시대 여성들이 [[저고리|저고리-여성]] 위에 입는 대표적인 의례용 복식이다.
+
조선시대 여성들이 [[저고리-여성|저고리]] 위에 입는 대표적인 의례용 복식이다.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는 각종 궁중 의례와 명절, 평상시에도 착용하였고, 일반 백성은 혼례복이자 [[상례]]의 염습의로 착용하였다. 당저고리, 당적삼, 당한삼이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학자들의 기록에서는 [[당의]]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ref>그 예로는 [[송문흠|송문흠(宋文欽)]]의  [[한정당집|『한정당집(閒靜堂集)』]], [[정약용|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박규수|박규수(朴珪壽)]]의  [[거가잡복고|『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 등이 있다.
+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는 각종 궁중 의례와 명절, 평상시에도 착용하였고, 일반 백성은 혼례복이자 [[상례]]의 염습의로 착용하였다. 당저고리, 당적삼, 당한삼이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학자들의 기록에서는 [[당의]]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ref>[[송문흠|송문흠(宋文欽)]]의  [[한정당집|『한정당집(閒靜堂集)』]], [[정약용|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박규수|박규수(朴珪壽)]]의  [[거가잡복고|『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
{{Blockquote|이른바 장배자(長背子)라는 것은 긴소매와 양쪽 옷자락이 서로 덮이고 양쪽 겨드랑이를 꿰매지 않아 지금 장부의 긴저고리와 대략 같으니 조금 짧으면 단배자(短背子)가 되는 것이니 지금의 당의이다.(“其所謂長背子, 引爲長袖, 兩裾相掩, 兩腋不縫者, 與今丈夫長襦略同, 稍短之則當爲短背子, 卽今之唐衣也.")
+
</ref> 현재는 대체로 조선 전기의 [[옆트임장저고리]]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저고리-여성|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의 긴 트임이 있으며, 앞뒤자락과 도련이 둥근 곡선 형태이다. 또한 [[저고리-여성|저고리]]로 불릴 만큼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다. 깃과 고름‧섶이 있고, 소매의 형태 또한 다른 예복과는 다르게 [[저고리-여성|저고리]] 소매처럼 좁다. 예복 소매에 달리는 [[한삼]]과 같이 [[당의]]의 소매 끝에는 흰색 거들지가 달리고 가슴에는 [[보-왕실여성|보]]를 달았다. [[저고리-여성|저고리]]의 깃이 둥근 깃으로 변화하는 조선 말기에도 [[당의]]의 깃은 당코깃을 고수하였다.  
|출처= 『閒靜堂集』, 卷7, 「雜著, 婦人服飾攷」.}}
+
<br>
{{Blockquote|『상례비요(喪禮備要)』에서 여자의 상복은 원삼을 사용하는데, 혹은 두의(頭衣)나 장오자(長襖子)를 입기도 한다. 〇내가 생각건대, 화씨의 예에 “부인의 예복은 대의와 하피를 함께 입는데, 혹은 배자와 긴 저고리를 입기도 한다.”라고 하였는데, 하피라는 것은 우리나라의 원삼으로 의심되며, 배자라는 것은 우리나라의 당의로 의심된다【앞자락과 뒷자락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備要』女喪用圓衫, 或蓋頭衣長襖子. 〇鏞案華氏禮云; ‘婦人禮服, 合用大衣霞帔, 或用背子長襖.’ 其云霞帔者, 疑我邦之圓衫也, 其云背子者, 疑我邦之唐衣也【前裾後裾不相連.】”)
 
|출처= 『與猶堂全書』, 「第3集 禮集1 卷6」, '喪禮四箋 卷6,  喪具訂3, 婦人上服'.}}
 
{{Blockquote|지금 사람들은 모두 당의가 부인의 예복이라고 이른다. 그 제도 또한 녹색이고 좁은 소매에 옆을 트며 길이는 배를 가릴 정도인데 또한 어디서부터 기원하였는지 알 수 없고 이것은 예에 근거가 없다【생각건데, 원삼과 당의의 제도는 모두 근본이 없어 이른바 당의라는 것은 당나라 때의 부인의 편복이었는데 우리나라 풍속이 우연히 그것을 본떠 마침내 당의라고 이름하게 된 것이다.】(“其一, 今人皆謂唐衣是婦人禮服, 其制亦綠色爲之窄袖缺骻, 長可掩服. 亦未知起自何, 是於禮無據【按圓衫唐衣之制, 俱無原委, 所謂唐衣者, 似是唐時婦人便服, 而東俗偶然放之, 遂名唐衣也.】”)
 
|출처=  『居家雜服考』, 「內服」.}}
 
</ref> 현재는 대체로 조선 전기의 [[옆트임장저고리]]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ref>그 예로는 복식학자인 석주선, 이경자, 유송옥 등이 있다.
 
{{Blockquote|당의는 본래 당나라 유제(遺制)로서 기본형은 그대로이면서 소매가 넓어지고 짧아졌다는 정도로서 근세에까지 전해지고 있다. 아직 우리들 귀에 익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당의‧당혜‧저고리 깃과 섶에서 볼 수 있는 당코 등은 그 예가 되겠다.”
 
|출처=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122쪽.}}
 
{{Blockquote|당의는 역대 가례도감의궤의 행렬도나 회화 자료의 분석을 통해 왕조 초의 장유(長襦)가 변형된 국속옷이라고 해야 옳다.”
 
|출처= 이경자, 「우리 의생활의 전통양식」, 『傳統的 生活樣式의 硏究(中)』, 1982, 165쪽.}}
 
유송옥: 중요민속자료 제 3호인 광해군비 중궁 유씨의 양 옆이 트인 긴 저고리 유물을 근거
 
{{Blockquote|둔부를 가릴 정도의 저고리의 길이가 점차 시대가 내려올수록 길어지고 양옆이 트여 당의와 같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후반기 가례도감 반차도에 보이는 저고리의 변천은 광해군비 중궁 유씨의 저고리와 같은 형(形)의 저고리가 점차 길어지고 그에 따라 양옆의 트임도 깊어져 오늘날의 당의제가 성립됨을 알려준다.”
 
|출처= 유송옥, 『조선왕조 궁중의궤 복식』, 수학사, 1991, 399쪽.)}}</ref>[[저고리(여성)|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의 긴 트임이 있으며, 앞뒤자락과 도련이 둥근 곡선 형태이다. 또한 [[저고리(여성)|저고리]]로 불릴 만큼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다. 깃과 고름‧섶이 있고, 소매의 형태 또한 다른 예복과는 다르게 [[저고리(여성)|저고리]] 소매처럼 좁다. 예복 소매에 달리는 [[한삼]]과 같이 [[당의]]의 소매 끝에는 흰색 거들지가 달리고 가슴에는 [[보(왕실여성)|보]]를 달았다. [[저고리(여성)|저고리]]의 깃이 둥근 깃으로 변화하는 조선 말기에도 [[당의]]의 깃은 [[당코깃]]을 고수하였다.  
 
<br />
 
<br />
 
 
조선전기의 옆트임 장저고리는 길이가 70~82cm 정도이다. 길의 반 정도를 금선단으로 장식한 당저고리, 거들지형 끝동이 부착된 장저고리,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 등의 형태이다.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는 명주나 무명 같은 소박한 소재를 사용하고 깃‧고름‧끝동에 어떠한 장식도 보이지 않아 의례용이라기 보다는 일상복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서 18세기는 전 시대의 [[장저고리]]에 비해 화장이 짧아지고 품도 좁아지며, [[당의]] 소매 끝에 넓은 거들지나 [한삼]]을 부착한다. 고름은 모두 자주색으로 앞 시기에 비해 길어졌으나 넓지 않은 편이다.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는 품‧진동‧배래가 더욱 좁아지고 곡선화 되었다. 앞과 뒤의 도련은 진동선에서 직선으로 내려와 아래쪽에서 양끝이 버선코처럼 곡선을 이룬다. 20세기는 19세기와 비슷해 진동이 넉넉하고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소매길이의 중간지점까지 수평을 이루다가, 수구 쪽에서 급격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었다.<ref>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94쪽.</ref>
 
조선전기의 옆트임 장저고리는 길이가 70~82cm 정도이다. 길의 반 정도를 금선단으로 장식한 당저고리, 거들지형 끝동이 부착된 장저고리,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 등의 형태이다.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는 명주나 무명 같은 소박한 소재를 사용하고 깃‧고름‧끝동에 어떠한 장식도 보이지 않아 의례용이라기 보다는 일상복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서 18세기는 전 시대의 [[장저고리]]에 비해 화장이 짧아지고 품도 좁아지며, [[당의]] 소매 끝에 넓은 거들지나 [한삼]]을 부착한다. 고름은 모두 자주색으로 앞 시기에 비해 길어졌으나 넓지 않은 편이다.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는 품‧진동‧배래가 더욱 좁아지고 곡선화 되었다. 앞과 뒤의 도련은 진동선에서 직선으로 내려와 아래쪽에서 양끝이 버선코처럼 곡선을 이룬다. 20세기는 19세기와 비슷해 진동이 넉넉하고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소매길이의 중간지점까지 수평을 이루다가, 수구 쪽에서 급격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었다.<ref>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94쪽.</ref>
 
+
<br>
 +
[[연향례]]에 참여하는 왕실의 여성들은 [[초록부금당의]]를 착용하였으며, [[친영]] [[반차]]에 참여하는 [[청상립차비침선기]], [[기행시녀차비의녀]], [[의녀]] 등은 [[초록당의]]를 [[대향]], [[봉향]], [[대함]] 등은 [[흑당의]]를 착용하였다.
  
  
31번째 줄: 18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당의]] || Clothing || 복식 || 옷 || 당의(唐衣) || 치마 || 唐衣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치마 ||
+
| [[당의]] || Clothing || 복식 || 옷 || 당의(唐衣) || 당의 || 唐衣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당의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6/61/%EA%B6%81%EC%A4%91%EA%B8%B0%EB%A1%9D%ED%99%94_%EB%B3%B5%EC%8B%9D_%EC%B9%98%EB%A7%8801_%EA%B3%A0%EA%B6%81%EB%B0%95%EB%AC%BC%EA%B4%80.jpg"/></html><br>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d/db/영왕비.jpg"/></html><br>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
 
|-
 
|}
 
|}
53번째 줄: 40번째 줄:
 
|구분|| 옷
 
|구분|| 옷
 
|-
 
|-
|착용신분|| 왕실, 궁중, 외명부, 평민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대비]], [[왕비]], [[왕세자빈]], [[왕녀]], [[후궁]], [[외명부]]
 
|-
 
|-
 
|착용성별|| 여성
 
|착용성별|| 여성
64번째 줄: 5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황후]] || [[당의]] || [[wears]] ||
+
| [[초록부금당의]] || [[당의]] || [[type]] ||  
|-
 
| [[황태자비]] || [[당의]] || [[wears]] ||
 
|-
 
| [[왕후]] || [[당의]] || [[wears]] ||
 
|-
 
| [[세자빈]] || [[당의]] || [[wears]] ||
 
|-
 
| [[후궁]] || [[당의]] || [[wears]] ||
 
|-
 
| [[왕녀]] || [[당의]] || [[wears]] ||
 
|-
 
| [[부대부인]] || [[당의]] || [[wears]] ||
 
 
|-
 
|-
| [[부인]] || [[당의]] || [[wears]] ||
+
| [[초록당의]] || [[당의]] || [[type]] ||  
 
|-
 
|-
| [[황후의_소례복-당의]] || [[당의]] || [[hasPart]] ||
+
| [[흑당의]] || [[당의]] || [[type]] ||  
|-
 
| [[황태자비의_소례복-당의]] || [[당의]] || [[hasPart]] ||
 
|-
 
| [[왕후의_소례복-당의]] || [[당의]] || [[hasPart]] ||
 
|-
 
| [[왕세자빈의_소례복-당의]] || [[당의]] || [[hasPart]] ||
 
|-
 
| [[당의]] || [[저고리-여성]] || [[goesWith]] ||
 
|-
 
| [[당의]] || [[스란치마]] || [[goesWith]] ||
 
 
|-
 
|-
 
|}
 
|}
105번째 줄: 70번째 줄: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당의(唐衣) ||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당의&ridx=0&tot=2376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당의(唐衣) ||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당의&ridx=0&tot=2376
 
|-
 
|-
| 사진 || AKS Encyves || 치마 ||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b/광해군비(17세기_전기)_당의.jpg
+
| 사진 || AKS Encyves || 당의 ||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b/광해군비(17세기_전기)_당의.jpg
 
|-
 
|-
| 사진 || AKS Encyves || 치마 ||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6/덕온공주.jpg
+
| 사진 || AKS Encyves || 당의 ||  ||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6/덕온공주.jpg
 
|-
 
|-
 
|}
 
|}
117번째 줄: 82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김남정, || 「조선시대 치마에 관한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
 
 
 
|-
 
|-
 
|  국립고궁박물관, || 『영친왕일가복식』,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국립고궁박물관, || 『영친왕일가복식』,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151번째 줄: 113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치마"></iframe>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당의"></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치마'">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2020&key=당의'">  
 
</html>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Clothing-복식]] [[분류:김아람]]

2020년 12월 8일 (화) 22:51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 여성들이 저고리 위에 입는 대표적인 의례용 복식이다.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는 각종 궁중 의례와 명절, 평상시에도 착용하였고, 일반 백성은 혼례복이자 상례의 염습의로 착용하였다. 당저고리, 당적삼, 당한삼이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학자들의 기록에서는 당의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1] 현재는 대체로 조선 전기의 옆트임장저고리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의 긴 트임이 있으며, 앞뒤자락과 도련이 둥근 곡선 형태이다. 또한 저고리로 불릴 만큼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다. 깃과 고름‧섶이 있고, 소매의 형태 또한 다른 예복과는 다르게 저고리 소매처럼 좁다. 예복 소매에 달리는 한삼과 같이 당의의 소매 끝에는 흰색 거들지가 달리고 가슴에는 를 달았다. 저고리의 깃이 둥근 깃으로 변화하는 조선 말기에도 당의의 깃은 당코깃을 고수하였다.
조선전기의 옆트임 장저고리는 길이가 70~82cm 정도이다. 길의 반 정도를 금선단으로 장식한 당저고리, 거들지형 끝동이 부착된 장저고리,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 등의 형태이다.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는 명주나 무명 같은 소박한 소재를 사용하고 깃‧고름‧끝동에 어떠한 장식도 보이지 않아 의례용이라기 보다는 일상복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서 18세기는 전 시대의 장저고리에 비해 화장이 짧아지고 품도 좁아지며, 당의 소매 끝에 넓은 거들지나 [한삼]]을 부착한다. 고름은 모두 자주색으로 앞 시기에 비해 길어졌으나 넓지 않은 편이다.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는 품‧진동‧배래가 더욱 좁아지고 곡선화 되었다. 앞과 뒤의 도련은 진동선에서 직선으로 내려와 아래쪽에서 양끝이 버선코처럼 곡선을 이룬다. 20세기는 19세기와 비슷해 진동이 넉넉하고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소매길이의 중간지점까지 수평을 이루다가, 수구 쪽에서 급격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었다.[2]
연향례에 참여하는 왕실의 여성들은 초록부금당의를 착용하였으며, 친영 반차에 참여하는 청상립차비침선기, 기행시녀차비의녀, 의녀 등은 초록당의대향, 봉향, 대함 등은 흑당의를 착용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당의 Clothing 복식 당의(唐衣) 당의 唐衣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당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당의
대표명칭 당의
한자표기 唐衣
이칭별칭 당고의(唐古衣), 당저고리(唐赤古里), 당한삼
구분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대비, 왕비, 왕세자빈, 왕녀, 후궁,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초록부금당의 당의 type
초록당의 당의 type
흑당의 당의 typ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당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당의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당의(唐衣)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36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당의(唐衣)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당의&ridx=0&tot=2376
사진 AKS Encyves 당의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b/광해군비(17세기_전기)_당의.jpg
사진 AKS Encyves 당의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b/b6/덕온공주.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일가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권혜진, 「당의에 관한 연구-궁중발기와 유물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백숙자, 「朝鮮時代 唐衣 構成에 對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申順子,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유송옥, 『조선왕조 궁중의궤 복식』, 수학사, 199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傳統的 生活樣式의 硏究(中)』,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2.

Notes

  1. 송문흠(宋文欽)『한정당집(閒靜堂集)』, 정약용(丁若鏞)『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박규수(朴珪壽)『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
  2. 김은희,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94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