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 보고서 201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Contextual Relation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이 문서는 2011년 9월 부터 2015년 1월까지 진행된 [[경복궁]] [[소주방]] 지역 복원 사업에 대한 보고서이다. [[경복궁]] 1차 복원정비 사업은 1990-2010년까지 20년에 걸쳐서 사업이 마무리 되었고, 2차 사업이 2010-2030년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시기적으로 이 사업은 [[경복궁]] 2차 복원정비 사업의 스타트를 끊은 사업이라 말할 수 있곘다. 2차 복원정비 사업의 개요는 1차 사업에 복원된 건물과 기초적인 경북궁의 틀이 만들어졌다고 하면 2차 부터는 복원하는 것과 동시에 현대 사람들이 어떻게 조선시대의 [[경복궁]] 생활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지 관광적 모습도 재현하는 목적이 강했다. 또한 복원 시점의 연대를 확대했는데 그 이유는. 1차 복원 사업은 1888년 최후 [[경복궁]] 중건 시점으로 했으나 주료 사용된 사료 도면인 [[북궐도형]]과 「경복궁평면도」가 1907년 시기로 추정되엇기 때문이다. 즉 1888년 연대로 단정하고 복원을 진행하면 많은 제약이 존재하기 되니 1907년까지 연대를 확대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복원 목표로 세운 건물은 [[소주방]] 대전 [[내소주방]] [[외소주방]] [[생물방]] 등 [[소주방]] 주요 건물과 전각 행각 주변지역 복원이다.<ref></ref>
+
이 문서는 2011년 9월 부터 2015년 1월까지 진행된 [[경복궁]] [[소주방]] 지역 복원 사업에 대한 보고서이다. [[경복궁]] 1차 복원정비 사업은 1990-2010년까지 20년에 걸쳐서 사업이 마무리 되었고, 2차 사업이 2010-2030년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시기적으로 이 사업은 [[경복궁]] 2차 복원정비 사업의 스타트를 끊은 사업이라 말할 수 있곘다. 2차 복원정비 사업의 개요는 1차 사업에 복원된 건물과 기초적인 경북궁의 틀이 만들어졌다고 하면 2차 부터는 복원하는 것과 동시에 현대 사람들이 어떻게 조선시대의 [[경복궁]] 생활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지 관광적 모습도 재현하는 목적이 강했다. 또한 복원 시점의 연대를 확대했는데 그 이유는. 1차 복원 사업은 1888년 최후 [[경복궁]] 중건 시점으로 했으나 주료 사용된 사료 도면인 [[북궐도형]]과 「경복궁평면도」가 1907년 시기로 추정되엇기 때문이다. 즉 1888년 연대로 단정하고 복원을 진행하면 많은 제약이 존재하기 되니 1907년까지 연대를 확대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복원 목표로 세운 건물은 [[소주방]] 대전 [[내소주방]] [[외소주방]] [[생물방]] 등 [[소주방]] 주요 건물과 전각 행각 주변지역 복원이다.<ref>건축사사무소 강희재,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보고서』, 문화재청, 2015년 1월, p.41-45.</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7번째 줄: 7번째 줄: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경복궁_소지방권역_중건_보고서 || Record || 보고서 || 문서류 || 경복궁 소지방권역 중건 보고서 || 경복궁 소지방권역 중건 보고서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경복궁_소지방권역_중건_보고서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Record || 보고서 || 중건 ||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 보고서 2015 ||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 보고서 2015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
 
|}
  
 
===Additional Attributes===
 
===Additional Attribut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sortable"
! propertyName || value
+
! propertyName !! value
 +
|-
 +
| 제목 ||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보고서
 +
|-
 +
| 보고서 저자 || 건축사사무소 강희재
 
|-
 
|-
| ||  
+
| 발행처 || 문화재청
 
|-
 
|-
| ||  
+
| 인쇄 || 반월문화사
 
|-
 
|-
 +
| 발행일 || 2015년 1월
 +
|-
 +
| ISBN || 978-89-299-0603-0 93610
 
|}
 
|}
  
24번째 줄: 3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빈궁내외소주방]] || [[경복궁_소지방권역_중건_보고서]] || ekc:isMentionedIn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경복궁_배치도_중건이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앙시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1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2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1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2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3_도면_2015]] || hasPart ||  
 
|-
 
|-
| [[빈궁생물방]] || [[경복궁_소지방권역_중건_보고서]] || ekc:isMentionedIn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앙시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횡단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내소주방_남외행각_종단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앙시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1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2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1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2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외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3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앙시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횡단면도1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횡단면도2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횡단면도3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1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2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3_도면_2015]] || hasPart ||
 +
|-
 +
|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4_도면_2015]] || hasPart ||  
 
|}
 
|}
 
  
 
==Notes==
 
==Notes==
34번째 줄: 132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DB&key=경복궁_소지방권역_중건_보고서"></iframe>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BFF&key=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DB&key=경복궁_소지방권역_중건_보고서'">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BFF&key=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보고서]] [[분류:이창섭]]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보고서]] [[분류:이창섭]]

2020년 12월 7일 (월) 19:1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이 문서는 2011년 9월 부터 2015년 1월까지 진행된 경복궁 소주방 지역 복원 사업에 대한 보고서이다. 경복궁 1차 복원정비 사업은 1990-2010년까지 20년에 걸쳐서 사업이 마무리 되었고, 2차 사업이 2010-2030년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시기적으로 이 사업은 경복궁 2차 복원정비 사업의 스타트를 끊은 사업이라 말할 수 있곘다. 2차 복원정비 사업의 개요는 1차 사업에 복원된 건물과 기초적인 경북궁의 틀이 만들어졌다고 하면 2차 부터는 복원하는 것과 동시에 현대 사람들이 어떻게 조선시대의 경복궁 생활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지 관광적 모습도 재현하는 목적이 강했다. 또한 복원 시점의 연대를 확대했는데 그 이유는. 1차 복원 사업은 1888년 최후 경복궁 중건 시점으로 했으나 주료 사용된 사료 도면인 북궐도형과 「경복궁평면도」가 1907년 시기로 추정되엇기 때문이다. 즉 1888년 연대로 단정하고 복원을 진행하면 많은 제약이 존재하기 되니 1907년까지 연대를 확대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복원 목표로 세운 건물은 소주방 대전 내소주방 외소주방 생물방소주방 주요 건물과 전각 행각 주변지역 복원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Record 보고서 중건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 보고서 2015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 보고서 2015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제목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보고서
보고서 저자 건축사사무소 강희재
발행처 문화재청
인쇄 반월문화사
발행일 2015년 1월
ISBN 978-89-299-0603-0 93610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경복궁_배치도_중건이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앙시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1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2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1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2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3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앙시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횡단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내소주방_남외행각_종단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앙시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1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횡단면도2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1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2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외소주방_및_행각_종단면도3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앙시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지붕평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북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남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서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동측입면도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횡단면도1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횡단면도2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횡단면도3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1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2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3_도면_2015 hasPart
경복궁_소주방권역_중건_보고서_2015 생물방_및_행각_종단면도4_도면_2015 hasPart

Notes

  1. 건축사사무소 강희재, 『경복궁 소주방권역 중건보고서』, 문화재청, 2015년 1월, p.41-45.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