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200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DB&key=경복궁_녹산지역_발굴조사_보고서_2005"></iframe>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BFF&key=경복궁_녹산지역_발굴조사_보고서_2005"></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DB&key=경복궁_녹산지역_발굴조사_보고서_2005'">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neccrow&project=HYBFF&key=경복궁_녹산지역_발굴조사_보고서_2005'">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보고서]] [[분류:이창섭]]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보고서]] [[분류:이창섭]]

2020년 12월 1일 (화) 22:3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이 보고서는 경복궁 북동쪽 궁담 안쪽지역 일명‘녹산(座山)’이라고 불리우는 구릉지에 대한 발굴조사에 대한 내용이다. 녹산지역비원 같은 수림같은 자연스러운 원림이 있으며, 관련된 조사 지역은 그 주위를 둘러싼 담장지 그리고 어구, 직처소(直處所) 건물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 조사하는 목적은 녹산지역내에 위치한 유구 매장 유무를 확인하고 노출된 유구 성격 등을 규명하여 향우 정비계획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경복궁_녹산지역_발굴조사_보고서_2005 Record 보고서 발굴조사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경복궁_녹산지역_발굴조사_보고서_2005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제목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편찬자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발행일 2005년
발행기관 문화재청
인쇄처 흥성기획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경복궁_녹산지역_발굴조사_보고서_2005 선원전 mentions

Notes

  1. 명지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5, pp11~12.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