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문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왕비의 침전(寢殿)이다. 강녕전 북쪽에 있다. 맨 처음 들어선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1440(세종 22)년에 공사를 시작...)
 
(Contextual Relation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왕비의 침전(寢殿)이다. [[강녕전]] 북쪽에 있다. 맨 처음 들어선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1440(세종 2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1557(명종 12)년에 처마를 수리하는 공사를 벌였으며,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탔다. 1867(고종 4)년에 중건했으나, 1876(고종 13)년에 다시 불탄 것을 1888(고종 25)년에 재건했다. 일제 때 헐어 그 부재를 창덕궁 대조전(大造殿) 복원에 사용했으며, 현재의 건물은 1994년에 복원한 것이다. 정면 9칸, 측면 4칸으로 가운데의 3칸은 대청이고 좌우로 온돌방과 툇마루, 누 등이 있다.
+
[[승문원|승문원(承文院)]]은 조선시대 동반 경관직 정3품 아문 관서로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고, 이문(吏文)의 교육도 담당하였다. 소속 관직은 [[승문원판교|판교(判校)]], [[승문원참교|참교(參校)]], [[승문원교감|교감(校勘)]], [[승문원교리|교리(校理)]], [[승문원교검|교검(校檢)]], [[승문원박사|박사(博士)]], [[승문원저작|저작(著作)]], [[승문원정자|정자(正字)]], [[승문원부정자|부정자(副正字)]] 등이다. 관사의 위치가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는 홍례문(弘禮門) 밖에 있다고 하고, 『전선지(全鮮誌)』(순종연간 편찬)에는 돈화문 앞에 있다(在敦化門前)고 기록되어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9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Actor || 관서 || 경관 || () || 이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 ||
 
|-
 
|-
|[[교태전]]|| Architecture|| 건조물||교태전 권역||교태전(交泰殿)||교태전||交泰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교태전 ||
 
 
|}
 
|}
  
 
===Additional Attributes===
 
===Additional Attributes===
  
* [[틀: ]]
+
* [[틀:단체정보]]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 ]]
+
| id || [[]]
 
|-
 
|-
| ||  
+
|아문|| [[정품]]
 
|-
 
|-
| ||  
+
|이칭|| [[]],[[]],[[]],[[]],[[]],[[]]
 
|-
 
|-
| ||  
+
|설치시기||  
 
|-
 
|-
| ||  
+
|폐지시기||  
 
|-
 
|-
|}
+
|시대|| 조선시대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교태전]] || [[교태전_현판]] ||  ||
+
|소속관직|| [[]],[[]],[[]],[[]],[[]]
 
|-
 
|-
| [[교태전]] || [[강녕전]] ||  ||
+
|관사위치|| [[한성부]]
 
|-
 
|-
| [[교태전]] || [[임진왜란]] ||  ||
 
|-
 
| [[교태전]] || [[대조전]] ||  ||
 
|}
 
 
|}
 
|}
  
==Spatial Data==
+
===Contextual Relations===
 
 
===Spacti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교태전||서울특별시_종로구||교태전||交泰殿||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승문원]] || [[돈화문_앞]] || [[hasHistoricalSite]]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승문원]] || [[홍례문_밖]] || [[hasHistoricalSite]] ||   
|-
 
|  ||  ||  ||  ||  ||  ||  ||
 
 
|-
 
|-
 +
| [[승문원]] || [[종로구_창덕궁1길_41(계동_140-55)]]  || [[hasStonePost]]  || 
 
|}
 
|}
 
===Tempor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위키 실록사전 ||교태전(交泰殿)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교태전(交泰殿)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복궁교태전(景福宮交泰殿)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40
 
|-
 
| 사료|| 조선왕조실록  ||  세종 22년 9월 6일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209006_002
 
|-
 
| 해설 || 조선왕조실록사전 || 교태전(交泰殿)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836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Notes==
 
 
<references/>
 
 
==Semantic Network Graph==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건조물]] [[분류:김은숙]]
 

2020년 11월 24일 (화) 18:45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승문원(承文院)은 조선시대 동반 경관직 정3품 아문 관서로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고, 이문(吏文)의 교육도 담당하였다. 소속 관직은 판교(判校), 참교(參校), 교감(校勘), 교리(校理), 교검(校檢), 박사(博士), 저작(著作), 정자(正字), 부정자(副正字) 등이다. 관사의 위치가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는 홍례문(弘禮門) 밖에 있다고 하고, 『전선지(全鮮誌)』(순종연간 편찬)에는 돈화문 앞에 있다(在敦化門前)고 기록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 Actor 관서 경관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
아문 정품
이칭 [[]],[[]],[[]],[[]],[[]],[[]]
설치시기
폐지시기
시대 조선시대
소속관직 [[]],[[]],[[]],[[]],[[]]
관사위치 한성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승문원 돈화문_앞 hasHistoricalSite
승문원 홍례문_밖 hasHistoricalSite
승문원 종로구_창덕궁1길_41(계동_140-55) hasStone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