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서참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1588년(선조21) 3월에 선조 가 將仕郞 社稷署參奉 인 [[김해|김해(金垓)]]에게 生員試 二等 아홉번째로 入格하였음을 증명하여 내리는 白牌이다.
+
__NOTOC__
http://archive.aks.ac.kr/inspection/insDirView.aspx?menu=IX&conType1=관직&conType2=ㅅ&firstName=사남(四男)&lastName=석천선생(石泉先生)&indexName=사직서참봉(社稷署參奉)&dataUCI=G002+AKS+KSM-XA.1588.1111-20101008.B001a_001_00059_XXX
+
==Definition==
  
1651년(효종2) 10월에 [[윤인미|윤인미(尹仁美)]]를 통덕랑 행 사직서참봉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이조에서 발급한 문서
+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ref>이성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사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http://archive.aks.ac.kr/inspection/insDirView.aspx?menu=IX&conType1=관직&conType2=&firstName=사남(四男)&lastName=석천선생(石泉先生)&indexName=사직서참봉(社稷署參奉)&dataUCI=G002+AKS+KSM-XA.1651.1111-20101008.B003a_003_00080_XXX
+
도제조는 조선시대와 대한제국시대 왕실 의례를 위해 설립된 각 [[도감]]의 최고 책임자로, 정 1품 관직인 영의정과 좌의정이 겸직한다.<ref>신병주,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167쪽.</ref> 중앙 관직의 하나로, 고위 관료들의 겸직을 통한 정치기구의 장악을 돕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관제상의 우두머리가 아닌, 고위 관원으로서 일정한 관청의 일을 다스리는 경우에 그 고위 관직 또한 [[도제조]]라 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6364&cid=49387&categoryId=49387&expCategoryId=49387 도제조]",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송자강|송자강(宋自剛)]]은 처음에 사직 참봉(社稷參奉)에 제수되었다가 일찍이 익위사의 좌시직(左侍直)과 상서원(尙瑞院)의 직장을 지냈으며 또 부사직(副司直)을 지내서 품계가 정3품에 이르렀는데 지금 정6품의 익찬으로 강등해서 제수되었다.연산군일기 45권, 연산 8년 7월 19일 기축 2번째기사 1502년 명 홍치(弘治) 15년이조와 병조가 홍석필과 남걸을 의망한 이유를 아뢰다 http://sillok.history.go.kr/id/kja_10807019_002
+
==Semantic Data==
  
 +
===Node Description===
  
사직 참봉(社稷參奉) [[유언겸|유언겸(兪彦謙)]] 중종실록 100권, 중종 38년 2월 6일 경진 4번째기사 / 정원이 사직 참봉 유언겸의 효행을 권장하여 6품에 제수하라고 이르다 http://sillok.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사직서도제조]] || Concept || 경관직 || 사직서 || 사직서도제조(社稷署都提調) || 사직서도제조 || 社稷署都提調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서도제조 ||
 +
|-
 +
|}
  
 +
===Additional Attributes===
  
대곡 처사(大谷處士) [[성운|성운(成運)]]은 중묘조에 대신의 천거로 사직 참봉(社稷參奉)을 제수하였으나 병을 칭탁하여 사직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선조실록 14권, 선조 13년 6월 7일 을사 2번째기사 1580년 명 만력(萬曆) 8년대곡 처사 성운의 졸기와 남명의 평 http://sillok.history.go.kr/id/kna_11306007_002
+
! propertyName || value
 +
|-
 +
|id ||사직서도제조(社稷署都提調)
 +
|-
 +
|품계 || 정1품
 +
|-
 +
|주제 || 길례, 관직
 +
|-
 +
|관련 관서 ||[[사직서]]
 +
|-
 +
|}
  
 +
===Contextual Relations===
  
社稷參奉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趙公 춘관통고 6권, 宣祖二十五年 /輔德趙挻 翰林趙存世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사직서참봉]] || [[참봉]] || [[type]] ||
 +
|-
 +
| [[종9품]] || [[참봉]] || [[hasPart]] ||
 +
|-
 +
| [[사직서도제조]] || [[사직서제조]] || [[isRelatedTo]] || B는 A의 하위 계급에 해당하는 관계어?
 +
|-
 +
| [[사직서제조]] || [[사직서령]] || [[isRelatedTo]] ||
 +
|-
 +
| [[사직서령]] || [[사직서참봉]] || [[isRelatedTo]] ||
 +
|-
 +
| [[김해|김해(金垓)]]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윤인미|윤인미(尹仁美)]]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송자강|송자강(宋自剛)]]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유언겸|유언겸(兪彦謙)]]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성운|성운(成運)]]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신응구| 신응구(申應榘)]]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신순|신순(申楯)]]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유노증|유노증(兪魯曾)]]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이진행|이진행(李震行)]] || [[사직서참봉]] || [[servesAs]] ||
 +
|-
 +
|}
  
 +
==Spatial Data==
  
社稷參奉
+
===Spatial Information Nodes===
[[신응구| 신응구(申應榘)]] 선조실록 21권, 선조 20년 12월 20일 甲戌 1번째기사 / 이조가 6품으로 초서할 만한 사람으로 전 참봉 정개청 등을 뽑아 입계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na_12012020_00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社稷參奉
+
===Spatial Relations===
사직 참봉(社稷參奉) [[신순|신순(申楯)]]은 집안에 괴려(乖戾)한 행실이 있어 진신(搢紳)의 반열에 맞지 않으니 파직을 명하소서."
 
申楯 선조실록 139권, 선조 34년 7월 22일 丁巳 1번째기사 / 헌부가 다시 예장을 중지하기를 청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na_13407022_00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社稷參奉
+
==Temporal Data==
사직 참봉 [[유노증|유노증(兪魯曾)]]이 상소하여, 그 아비 [[유대희|유대희(兪大禧)]]가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되어 있는 원통함을 호소하였다. 광해군일기[중초본] 43권, 광해 10년 2월 29일 己未 2번째기사 / 사직 참봉 유노증이 그 아비 유대희가 정청에 불참한 것으로 되어 있다고 호소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woa_11002029_002
 
  
광해군일기[정초본] 124권, 광해 10년 2월 29일 己未 2번째기사 1618년 명 만력(萬曆) 46년사직 참봉 유노증이 그 아비 유대희가 정청에 불참한 것으로 되어 있다고 호소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wob_11002029_002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社稷參奉
+
===Temporal Relations===
[[이진행|이진행(李震行)]] 인조실록 35권, 인조 15년 12월 14일 戊申 2번째기사 / 정원이 이진행의 말로 신주에 비복이 올라 탄 일이 없음을 아뢰다 http://sillok.history.go.kr/id/kpa_11512014_002
 
  
  
社稷參奉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신여식|신여식(申汝栻)]] 현종실록 5권, 현종 3년 5월 17일 己丑 2번째기사 / 사헌부가 상중에 서얼 동생과 싸운 사직서 참봉 신여식을 사판에서 삭제할 것을 청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wra_10305017_002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종개수실록 7권, 현종 [개수실록] 3년 5월 17일 己丑 2번째기사 / 헌부가 사직서 참봉 신여식의 무도함으로 인해 그를 사판에서 지울 것을 아뢰다 http://sillok.history.go.kr/id/wrb_10305017_002
+
==Online Referenc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직서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
|-
 +
| 해설 || 위키백과 || 정1품 || || https://ko.wikipedia.org/wiki/정1품
 +
|-
 +
| 해설 || AKS Encyves || 도제조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도제조
 +
|-
 +
| 해설 || 위키백과 || 종1품 || || https://ko.wikipedia.org/wiki/종1품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도제조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500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도제조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도제조&ridx=0&tot=1621
 +
|-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도제조(都提調)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도제조(都提調)
 +
|-
 +
| 참고 || 문화원형백과(『네이버 지식백과』) || 도제조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6364&cid=49387&categoryId=49387&expCategoryId=49387
 +
|-
 +
|}
  
社稷參奉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허정|허정(許挺)]] 승정원일기 효종 즉위년 7월 6일  계해 1649년 / 元斗杓와 許挺의 罷職을 청하는 司憲府의 계 http://sjw.history.go.kr/id/SJW-B00070060-01700
 
  
 +
==Bibliography==
  
社稷參奉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이익창|이익창(李益昌)]] 승정원일기 효종 즉위년 10월 23일  무신 1649년 / 李基祚 등에게 熟馬 1匹 등을 내려주라는 비망기 http://sjw.history.go.kr/id/SJW-B00100230-01500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김문식·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신병주,||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
|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
 +
|-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
|-
 +
|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
 +
|-
 +
| 강문식,||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
 +
|-
 +
| 박재영,||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
 +
|-
 +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
 +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
==Notes==
  
 +
<references/>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oncept]] [[분류:Concept-관직]] [[분류:박수정]]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oncept]] [[분류:Concept-관직]] [[분류:박수정]]

2020년 11월 22일 (일) 18:42 판

Definition

『경국대전』에는 사직서에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1] 도제조는 조선시대와 대한제국시대 왕실 의례를 위해 설립된 각 도감의 최고 책임자로, 정 1품 관직인 영의정과 좌의정이 겸직한다.[2] 중앙 관직의 하나로, 고위 관료들의 겸직을 통한 정치기구의 장악을 돕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관제상의 우두머리가 아닌, 고위 관원으로서 일정한 관청의 일을 다스리는 경우에 그 고위 관직 또한 도제조라 한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사직서도제조 Concept 경관직 사직서 사직서도제조(社稷署都提調) 사직서도제조 社稷署都提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서도제조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사직서도제조(社稷署都提調)
품계 정1품
주제 길례, 관직
관련 관서 사직서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서참봉 참봉 type
종9품 참봉 hasPart
사직서도제조 사직서제조 isRelatedTo B는 A의 하위 계급에 해당하는 관계어?
사직서제조 사직서령 isRelatedTo
사직서령 사직서참봉 isRelatedTo
김해(金垓) 사직서참봉 servesAs
윤인미(尹仁美) 사직서참봉 servesAs
송자강(宋自剛) 사직서참봉 servesAs
유언겸(兪彦謙) 사직서참봉 servesAs
성운(成運) 사직서참봉 servesAs
신응구(申應榘) 사직서참봉 servesAs
신순(申楯) 사직서참봉 servesAs
유노증(兪魯曾) 사직서참봉 servesAs
이진행(李震行) 사직서참봉 servesAs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직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해설 위키백과 정1품 https://ko.wikipedia.org/wiki/정1품
해설 AKS Encyves 도제조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도제조
해설 위키백과 종1품 https://ko.wikipedia.org/wiki/종1품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도제조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500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도제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도제조&ridx=0&tot=1621
참고 위키 실록사전 도제조(都提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도제조(都提調)
참고 문화원형백과(『네이버 지식백과』) 도제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6364&cid=49387&categoryId=49387&expCategoryId=49387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문식·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신병주,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강문식,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박재영,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1. 이성무, "사직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신병주,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30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167쪽.
  3. "도제조",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