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김주국(金柱國, 1710-1771)은 학봉 김성일의 7세손으로 자는 원석(元石),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이상정의 대산집|...)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김주국|김주국(金柱國, 1710-1771)]]은 학봉 [[김성일]]의 7세손으로 자는 원석(元石),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이상정의 [[대산집|『대산집(大山集)』]]에 따르면 김주국은 어려서부터 호방하고 뜻이 컸으며, 박학하고 글을 잘 지었고, 세속의 흐름이 휩쓸리지 않는 성품을 지녔으며, 좋은 벗들과 사귀는 것을 좋아하였다고 한다.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ref>이원배,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c_A1710_1_0026045 김주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社稷, 宗廟, 永寧殿, 孝敬殿, 文廟의 祭器를 제작한 과정과 내용을 기록한 책.<br/><내용 및 특징>1604년(宣祖37) 10월부터 다음해 3월에 걸쳐서 社稷·宗廟·永寧殿·孝敬殿·文廟의 祭器를 만들 때의 기록으로 祭器都監에서 편찬하였다. 본 의궤는 1책 43장이며 目錄은 없다. 내용은 祭器都監儀軌事目·圖說·禮曹啓目·吏曹單子·都監事目·啓辭·甘結·書啓·論賞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총 5건을 제작하여 각각 議政府·禮曹·工曹·社稷署·宗廟署에 분상하였다.
 +
의궤제작의 제반원칙을 담은 儀軌事目에 이어 鑄鐵로 만든 簠·簋·鉶·毛血盤·龍瓚槃具의 圖說이 있다. 禮曹啓目에는 1604년 10월 12일 宗廟의 大小祀典과 列聖 忌辰祭의 饌品은 還都 이후 물력이 모자라 그 수를 줄여서 사용하여 왔으니 이후 平時饌品으로 복구하자는 禮曹의 건의가 기록되었고, 이어 10월 19일 完平府院君 李元翼, 領中樞府事 李德馨, 領議政 尹承勳, 左議政 柳永慶 등 大臣의 의논을 거쳐서 사직·종묘·영녕전·효경전·문묘의 祭器를 새로이 제작하기로 결정되었다. 吏曹單子에는 도제조 奇自獻을 비롯하여 제조 5인, 郎廳 3인의 명단을, 都監單子에는 副司果 李升亨을 비롯한 監役官 이하 諸員의 명단을 기재하였다. 都監 운영의 원칙을 담은 都監事目에 이어 啓辭, 牒呈, 甘結, 啓目, 書啓 등이 구분되지 않고 날짜별로 기재되었다. 1605년(宣祖38) 3월 21일 제기도감의 啓에 의하면 종묘와 영녕전의 경우 始役한 지 50여 일 만에 畢役한 반면 사직과 문묘는 아직 일을 마치지 못하였음을 보고하자, 종묘와 영녕전의 監董官 등 관원과 공장의 명단을 올리고 이들을 褒賞토록 하였다. 동년 3월 26일 제기도감에서 올린 祭器都監單子에 의하면, 이때 簠 100개, 簋 100개, 毛血盤 26개, 鉶 135개, 龍瓚槃具 17개가 새로 제작되었음이 확인된다. 마지막 論賞에는 도제조기자헌에게 鞍具馬 一匹, 류근 등 제조 4인에게 熟馬 一匹을 내렸고, 錄事 이하 匠人에 이르기까지 戶曹米布를 分等題給하였다. 편수관은 都提調 議政府 左議政 기자헌을 비롯하여, 提調에 右贊成 柳根, 戶曹判書 韓孝純, 禮曹判書 朴弘老, 工曹判書 尹暾 등 4인이다. 의궤 마지막장에는 의궤 편찬을 관장한 편수관의 관직과 성, 手決이 실려 있다.
 +
 
 +
<br/><자료적 가치>본 의궤는 조선시대 國家祭祀에 사용된 각종 祭具의 제작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특히 각종 제구에 관한 상세한 圖說이 있어 제기제작에 사용되는 재료 뿐만 아니라 크기와 형태, 무게 등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제기제작에 관련된 제반 비용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 동원된 匠人에게 지급된 朔料, 술과 음식 등에 관한 기록도 확인할 수 있어, 사회경제사적 자료로서도 매우 유용하다. 壬辰倭亂을 겪는 과정에서 각종 謄錄과 儀軌가 소실되어, 참고할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의궤의 형식이라기 보다 등록에 가까운 형식이다.후대에 제작된 의궤들에 비해 체재와 격식이 정형화도어 있지 못하다..<ref>이혜정, "[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Detail.jsp?uci=GK14930_00&c1=&c2=&c3=&sType=&sWord=&chung=%E5%A5%8E+14930&writedata=1605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謄錄) 상세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Semantic Data==
 +
 
 +
===Node Description===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 Record || 문헌 || 의궤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謄錄)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 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謄錄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rchive/3/30/20171104103150%21Old_book.png"/></html>
 +
|-
 +
|}
 +
 
 +
===Additional Attributes===
 +
* [[틀:의궤정보]]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propertyName || value
 +
|-
 +
|id || 제기도감의궤
 +
|-
 +
|주제 ||
 +
|-
 +
|작성주체 ||[[사직서]]
 +
|-
 +
|의례담당자 ||
 +
|-
 +
|작성지역 ||한성부
 +
|-
 +
|작성시기 ||
 +
|-
 +
|소장처(원소장처) ||[[서울대학교_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
|판본 ||
 +
|-
 +
|표기문자 ||한자, 이두
 +
|-
 +
|수량 ||
 +
|-
 +
|크기 ||
 +
|-
 +
|도설 ||
 +
|-
 +
|반차도 ||
 +
|}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사직서의궤]] || [[사직서의궤_K2-2157]] || [[hasVersion]] ||
 +
|-
 +
| [[사직서의궤]] || [[사직서의궤_奎14229]] || [[hasVersion]] ||
 +
|-
 +
| [[사직서의궤_奎14229]] || [[서울대학교_규장각한국학연구원]] || [[currentLocation]] ||
 +
|-
 +
| [[사직서의궤_K2-2157]] || [[한국학중앙연구원_장서각]] || [[currentLocation]] ||
 +
|-
 +
| [[종묘의궤]] || [[사직서의궤]] || [[isRelatedTo]] ||
 +
|-
 +
| [[사직서등록]] || [[사직서의궤]] || [[isRelatedTo]] ||
 +
|-
 +
| [[사직서의궤]] || [[사직단]]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사직제]]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사직서전도]]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단유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찬실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준뢰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제기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악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무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악기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무기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제복도설]] || [[depicts]] ||
 +
|-
 +
| [[사직서의궤]] || [[척도도설]] || [[depicts]] ||
 +
|-
 +
|}
 +
 
 +
==Spatial Data==
 +
 
 +
===Spati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49
 +
|-
 +
| 해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사직서의궤(奎14229-v.1-3) 해제 ||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229_00&notes=basic
 +
|-
 +
| 해설 || AKS 디지털장서각 || 사직서의궤(K2-2157) ||  ||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2157_000&keywords=사직서의궤%20社稷署儀軌
 +
|-
 +
| 참고 || AKS 전자도서관 || 사직서의궤(K2-2157) || || https://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103338
 +
|-
 +
| 참고 || AKS 장서각자료센터 || 사직서의궤(K2-2157) ||  || http://royal.aks.ac.kr/UCI/Contents?Uci=G002%2BJSK%2BKSM-WA.1842.1111-20090525.K22157
 +
|-
 +
| 참고 || AKS 왕실도서관 장서각아카이브 || 사직서의궤(K2-2157) || ||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2157_000
 +
|-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단유도설(壇壝圖說) || 사직서의궤(奎14229)의 단유도설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226&category=E&sWord=사직서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희준(犧尊)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6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49
 +
|-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사직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社稷)
 +
|-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 종묘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종묘(宗廟)
 +
|-
 +
| 참고 || AKS Encyves || 종묘의궤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의궤
 +
|-
 +
| 도해 || 세종실록 오례 || 희준 ||『세종실록 오례』의 바리모양 희준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a01.jpg
 +
|-
 +
| 도해 || 국조오례의 || 희준 ||『국조오례의』의 동물모양 희준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김문식·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
|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
 +
|-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
|-
 +
|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
 +
|-
 +
| 강문식,||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
 +
|-
 +
| 박재영,||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
 +
|-
 +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
 +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
 +
 
 +
==Notes==
 +
 
 +
<references/>
 +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Record]] [[분류:Record-문헌]] [[분류:박수정]]

2020년 11월 22일 (일) 12:51 판

Definition

社稷, 宗廟, 永寧殿, 孝敬殿, 文廟의 祭器를 제작한 과정과 내용을 기록한 책.
<내용 및 특징>1604년(宣祖37) 10월부터 다음해 3월에 걸쳐서 社稷·宗廟·永寧殿·孝敬殿·文廟의 祭器를 만들 때의 기록으로 祭器都監에서 편찬하였다. 본 의궤는 1책 43장이며 目錄은 없다. 내용은 祭器都監儀軌事目·圖說·禮曹啓目·吏曹單子·都監事目·啓辭·甘結·書啓·論賞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총 5건을 제작하여 각각 議政府·禮曹·工曹·社稷署·宗廟署에 분상하였다. 의궤제작의 제반원칙을 담은 儀軌事目에 이어 鑄鐵로 만든 簠·簋·鉶·毛血盤·龍瓚槃具의 圖說이 있다. 禮曹啓目에는 1604년 10월 12일 宗廟의 大小祀典과 列聖 忌辰祭의 饌品은 還都 이후 물력이 모자라 그 수를 줄여서 사용하여 왔으니 이후 平時饌品으로 복구하자는 禮曹의 건의가 기록되었고, 이어 10월 19일 完平府院君 李元翼, 領中樞府事 李德馨, 領議政 尹承勳, 左議政 柳永慶 등 大臣의 의논을 거쳐서 사직·종묘·영녕전·효경전·문묘의 祭器를 새로이 제작하기로 결정되었다. 吏曹單子에는 도제조 奇自獻을 비롯하여 제조 5인, 郎廳 3인의 명단을, 都監單子에는 副司果 李升亨을 비롯한 監役官 이하 諸員의 명단을 기재하였다. 都監 운영의 원칙을 담은 都監事目에 이어 啓辭, 牒呈, 甘結, 啓目, 書啓 등이 구분되지 않고 날짜별로 기재되었다. 1605년(宣祖38) 3월 21일 제기도감의 啓에 의하면 종묘와 영녕전의 경우 始役한 지 50여 일 만에 畢役한 반면 사직과 문묘는 아직 일을 마치지 못하였음을 보고하자, 종묘와 영녕전의 監董官 등 관원과 공장의 명단을 올리고 이들을 褒賞토록 하였다. 동년 3월 26일 제기도감에서 올린 祭器都監單子에 의하면, 이때 簠 100개, 簋 100개, 毛血盤 26개, 鉶 135개, 龍瓚槃具 17개가 새로 제작되었음이 확인된다. 마지막 論賞에는 도제조기자헌에게 鞍具馬 一匹, 류근 등 제조 4인에게 熟馬 一匹을 내렸고, 錄事 이하 匠人에 이르기까지 戶曹米布를 分等題給하였다. 편수관은 都提調 議政府 左議政 기자헌을 비롯하여, 提調에 右贊成 柳根, 戶曹判書 韓孝純, 禮曹判書 朴弘老, 工曹判書 尹暾 등 4인이다. 의궤 마지막장에는 의궤 편찬을 관장한 편수관의 관직과 성, 手決이 실려 있다.


<자료적 가치>본 의궤는 조선시대 國家祭祀에 사용된 각종 祭具의 제작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특히 각종 제구에 관한 상세한 圖說이 있어 제기제작에 사용되는 재료 뿐만 아니라 크기와 형태, 무게 등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제기제작에 관련된 제반 비용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 동원된 匠人에게 지급된 朔料, 술과 음식 등에 관한 기록도 확인할 수 있어, 사회경제사적 자료로서도 매우 유용하다. 壬辰倭亂을 겪는 과정에서 각종 謄錄과 儀軌가 소실되어, 참고할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의궤의 형식이라기 보다 등록에 가까운 형식이다.후대에 제작된 의궤들에 비해 체재와 격식이 정형화도어 있지 못하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Record 문헌 의궤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謄錄)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謄錄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제기도감의궤
주제
작성주체 사직서
의례담당자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소장처(원소장처) 서울대학교_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크기
도설
반차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서의궤 사직서의궤_K2-2157 hasVersion
사직서의궤 사직서의궤_奎14229 hasVersion
사직서의궤_奎14229 서울대학교_규장각한국학연구원 currentLocation
사직서의궤_K2-2157 한국학중앙연구원_장서각 currentLocation
종묘의궤 사직서의궤 isRelatedTo
사직서등록 사직서의궤 isRelatedTo
사직서의궤 사직단 depicts
사직서의궤 사직제 depicts
사직서의궤 사직서전도 depicts
사직서의궤 단유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찬실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준뢰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제기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악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무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악기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무기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제복도설 depicts
사직서의궤 척도도설 depicts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49
해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사직서의궤(奎14229-v.1-3) 해제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229_00&notes=basic
해설 AKS 디지털장서각 사직서의궤(K2-2157)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2157_000&keywords=사직서의궤%20社稷署儀軌
참고 AKS 전자도서관 사직서의궤(K2-2157) https://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103338
참고 AKS 장서각자료센터 사직서의궤(K2-2157) http://royal.aks.ac.kr/UCI/Contents?Uci=G002%2BJSK%2BKSM-WA.1842.1111-20090525.K22157
참고 AKS 왕실도서관 장서각아카이브 사직서의궤(K2-2157)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2157_000
참고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단유도설(壇壝圖說) 사직서의궤(奎14229)의 단유도설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226&category=E&sWord=사직서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희준(犧尊)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6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49
참고 위키 실록사전 사직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직(社稷)
참고 위키 실록사전 종묘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종묘(宗廟)
참고 AKS Encyves 종묘의궤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종묘의궤
도해 세종실록 오례 희준 『세종실록 오례』의 바리모양 희준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a01.jpg
도해 국조오례의 희준 『국조오례의』의 동물모양 희준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문식·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강문식,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박재영,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1. 이혜정,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謄錄) 상세정보",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