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14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운회]] || Record || 문헌 || 유서(類書) || 운회(韻會) || 운회 || 韻會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운회 ||
+
| [[박아]] || Record || 문헌 || 유서(類書) || 박아(博雅) || 박아 || 博雅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박아 ||
 
|-
 
|-
 
|}
 
|}
25번째 줄: 24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운회]]
+
| id || [[박아]]
 
|-
 
|-
| 한자표기 || 韻會
+
| 한자표기 || 博雅
 
|-
 
|-
| 이칭/별칭 || 「고금 운회(古今韻會)」 / 「고금 운회 거요」 / 「오운 집운(五韻集韻)」 / 「임자 신간 예부 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
+
| 이칭/별칭 ||
 
|-
 
|-
| 유형 || 유서(類書)
+
| 유형 || 자서(字書)
 
|-
 
|-
| 저자 || [[황공소]]
+
| 저자 || [[장읍|장읍(張揖)]]
 
|-
 
|-
| 시대 ||
+
| 시대 || 위(魏)
 
|-
 
|-
| 수량 ||  
+
| 수량 || 10권
 
|-
 
|-
 
|}
 
|}
46번째 줄: 4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사직서의궤]] || [[운회]] || [[references]] ||  
+
| [[사직서의궤]] || [[박아]] || [[references]] ||  
|-
 
| [[고금운회거요]] || [[운회]] || [[sameAs]] ||
 
|-
 
| [[고금운회거요]]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 [[고금운회거요]] || [[웅충]] || [[creator]] ||
 
|-
 
| [[고금운회]] || [[황공소]] || [[creator]] ||
 
|-
 
| [[황공소]] || [[웅충]] || [[hasDisciple]] ||
 
|-
 
| [[오운집운]] || [[한도소]] || [[creator]] ||
 
|-
 
| [[임자신간예부운략]] || [[유연]] || [[creator]] ||
 
|-
 
| [[오운집운]]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 [[임자신간예부운략]] || [[고금운회]] || [[isDerivativeOf]] ||
 
|-
 
| [[운회옥편]] || [[최세진]] || [[creator]] || 운회옥편(韻會玉篇)은 조선전기 학자 최세진이 『고금운회거요』에 수록된 한자를 자획에 따라 배열하여 1536년에 편찬한 자전.
 
 
|-
 
|-
| [[운회옥편]] || [[고금운회거요]] || [[isDerivativeOf]] ||  
+
| [[박아]] || [[장읍]] || [[creator]] ||  
 
|-
 
|-
 
|}
 
|}

2020년 11월 21일 (토) 11:39 판

Definition

『사직서의궤』의 제기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박아(博雅)는 위(魏)나라의 장읍(張揖)이 지은 10권으로 된 자서(字書)이다. 광아(廣雅)라고도 한다(역주 사직서의궤 93쪽).[1]
박아[博雅]는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박아 Record 문헌 유서(類書) 박아(博雅) 박아 博雅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박아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박아
한자표기 博雅
이칭/별칭
유형 자서(字書)
저자 장읍(張揖)
시대 위(魏)
수량 10권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서의궤 박아 references
박아 장읍 creator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AKS 한국학전자도서관 韻會 https://lib.aks.ac.kr/search/Search.Result.ax?sid=1&q=ALL%3A%E9%9F%BB%E6%9C%83&eq=&mf=true&qt=%EC%A0%84%EC%B2%B4%3D%E9%9F%BB%E6%9C%83&qf=%E9%9F%BB%E6%9C%83&f=&br=&cl=1+2+3+5+6+4+7+8+9+33+12+13+14+15+16+32+31+34+35+39+42+44+45&gr=1+2+3+4+5+6+7&rl=&page=&pageSize=10&s=&st=&h=&cr=&py=&subj=&facet=Y&nd=&vid=0&tabID=&fv=
참고 百度百科 韵会 https://baike.baidu.com/item/韵会
참고 维基百科 古今韻會舉要 https://zh.wikipedia.org/wiki/古今韻會舉要
참고 한국 자전의 역사 고금 운회 거요[古今韻曾擧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51&cid=51070&categoryId=51070
참고 한국 자전의 역사 운회 옥편[韻會玉篇]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823&cid=51070&categoryId=51070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운회옥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운회옥편&ridx=0&tot=10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博雅/14580963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广雅/408847

维基百科 https://zh.wikipedia.org/wiki/廣雅

维基文库 https://zh.wikisource.org/wiki/廣雅_(四庫全書本)

한국고전용어사전 박아[博雅]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네이버 지식백과] 박아[博雅]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1063&cid=41826&categoryId=41826

한국 자전의 역사 광아[廣雅] [네이버 지식백과] 광아 [廣雅]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30&cid=51070&categoryId=51070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조희무, 「古令韻會擧要 硏究」,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全南大學校 1998.

Notes

  1. 박형익, "광아(廣雅)", 『한국 자전의 역사』, 2012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2. "박아(博雅)",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online,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네이버 지식백과.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