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de Description)
14번째 줄: 14번째 줄:
 
|-
 
|-
 
| [[통지]] || Record || 문헌 || 예서(禮書) || 통지(通志) || 통지 || 通志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통지 ||
 
| [[통지]] || Record || 문헌 || 예서(禮書) || 통지(通志) || 통지 || 通志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통지 ||
<html><img width="120" src="https://baike.baidu.com/pic/%E9%80%9A%E5%BF%97/14843/0/95eef01f3a292df5beaaaf18bf315c6034a87355?fr=lemma&ct=single#aid=0&pic=95eef01f3a292df5beaaaf18bf315c6034a87355 Baidu]
+
<html><img width="120" src="https://baike.baidu.com/pic/%E9%80%9A%E5%BF%97/14843/0/95eef01f3a292df5beaaaf18bf315c6034a87355?fr=lemma&ct=single#aid=0&pic=95eef01f3a292df5beaaaf18bf315c6034a87355]百度百科
 
|-
 
|-
 
|}
 
|}

2020년 11월 20일 (금) 20:58 판

Definition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鄭樵)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다. 단대사(斷代史)를 비판하며, 통사 형식인 『사기』의 체제를 본따, 삼황(三皇)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나라, 당나라에 이르는 전장(典章), 제도를 기록한 정서(政書)이다. 십통의 하나이며, 『통전』, 『문헌통고』와 함께 삼통(三通)으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청나라의 장학성에 의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전체 200권이고, 고증 3권이 붙어있으며, 기전체로서 본기, 연보, 세가, 열전, 재기와 이십략(二十略) 등이 포함되어 있다.[1]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통지 Record 문헌 예서(禮書) 통지(通志) 통지 通志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통지

==Semantic Network Graph==

  1. "통지_(책)", 『위키백과』online, 维基媒体基金会.
  2. "陈元靓", 『百度百科』online,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