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50번째 줄: 50번째 줄: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 신들 에게  제사지내는 곳이다. 서울 외에도 사직단은 군현郡縣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세워져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기원했다. 4번의 정기제사와 기우제 등 비정기적인 제사도 있었다. 대한제국때는 원구단에서 천지제를  지냈고, 사직단이 태사太社와 태직太稷으로 격상되었다.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 신들 에게  제사지내는 곳이다. 서울 외에도 사직단은 군현郡縣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세워져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기원했다. 4번의 정기제사와 기우제 등 비정기적인 제사도 있었다. 대한제국때는 원구단에서 천지제를  지냈고, 사직단이 태사太社와 태직太稷으로 격상되었다.
 
일제 강점후 폐지되고 사직의 신주가 불태워졌으며 공원으로 바뀌었다. 광복이후 복원 되었으며 사직대제는 중요무형문화재111호로 지정되었다.
 
일제 강점후 폐지되고 사직의 신주가 불태워졌으며 공원으로 바뀌었다. 광복이후 복원 되었으며 사직대제는 중요무형문화재111호로 지정되었다.
 +
 +
 +
2013 재단법인 예올 소개 및 예올의 사직단 역사성 회복 운동_YEOL 2014. 7. 29. https://www.youtube.com/watch?v=KzfDSGc3osc
 +
 +
재단법인 예올 2013 재단법인 예올의 성과 및 추진 사업, 사직단 역사성 회복 운동 등에 관한 영상 자료입니다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편찬항목]]  [[분류:박수정]]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편찬항목]]  [[분류:박수정]]

2020년 7월 28일 (화) 18:07 판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사직단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444
참고 AKS 위키 Encyves 한국 기록유산 사직단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사직단
참고 위키백과 서울 사직단 https://ko.wikipedia.org/wiki/서울_사직단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직단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13&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search_left_menu=6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직단유도설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OrgFilePopup.do?cp_code=cp0210&index_id=cp02100562&content_id=cp021005620001&content_seq=3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직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310&index_id=cp03100410&content_id=cp031004100001&search_left_menu=8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r0210_0010&code=eh_age_30


일본이 없애려 했던 조선왕실의 제단 2017. 9. 28. https://www.youtube.com/watch?v=1uQH4iVJ2WY

문화재청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사직공원에는 사직단이라는 조선왕실의 제단이 있었습니다. 조선왕실에서는 종묘와 더불어 국가 중요 제사를 지내던 곳이 었습니다. 일제에 의해 원래 모습을 많이 잃어버렸는데요, 직접 가봤습니다. - 제9기 문화재청 대학생기자단 박승민 기자


사직단 잠에서 깨어나다 2014. 12. 4. https://www.youtube.com/watch?v=Z57NBsxthH4

재단법인 예올 사직단 역사성 회복의 중요성에 대해 널리 알리는 다큐멘터리


토지신과 곡식신을 모신 사직단을 아시나요? 2019. 8. 7.https://www.youtube.com/watch?v=T8j0JMZdyro

여행하는 차돌맹이

한양에 도읍을 정한 조선 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경복궁 동쪽에 종묘, 서쪽에는 사직단을 설치하였다. 1395년(태조 4) 공사를 착수하여 설단이 완성되자 담장을 두르고 그 안에 신실(神室)과 신문(神門)을 세웠다. 사직단은 사단(社壇)과 직단(稷壇)의 동·서 양단(東西兩壇)을 설치하였는데 동단에는 국사(國社:正位土神), 서단에는 국직(國稷:正位穀神)을 모셨으며, 단에는 주척(周尺)으로 높이 2.5자, 너비 1자의 석주(石柱)를 각기 세워 후토씨(后土氏)와 후직씨(后稷氏)를 배향하였다. 하늘에서 본 아름다운 우리의 풍경 You can see beautiful scenery of Korea photographed with drones.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라이선스(재사용 허용)


한국의 유산 조선시대 제단 사직단社稷壇 Sajikdan Altar 2019. 6. 25.https://www.youtube.com/watch?v=1fFBmcOwMNs

무지개TV 사직단社稷壇은 사적121호로,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 신들 에게 제사지내는 곳이다. 서울 외에도 사직단은 군현郡縣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세워져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기원했다. 4번의 정기제사와 기우제 등 비정기적인 제사도 있었다. 대한제국때는 원구단에서 천지제를 지냈고, 사직단이 태사太社와 태직太稷으로 격상되었다. 일제 강점후 폐지되고 사직의 신주가 불태워졌으며 공원으로 바뀌었다. 광복이후 복원 되었으며 사직대제는 중요무형문화재111호로 지정되었다.


2013 재단법인 예올 소개 및 예올의 사직단 역사성 회복 운동_YEOL 2014. 7. 29. https://www.youtube.com/watch?v=KzfDSGc3osc

재단법인 예올 2013 재단법인 예올의 성과 및 추진 사업, 사직단 역사성 회복 운동 등에 관한 영상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