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지문 현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일화(日華)’는 ‘해의 정화’를 뜻한다. ‘해[日]’는 음양의 이치 상 양(陽)의 성격을 띠므로, 동쪽문의 이름으로...)
 
(Contextual Relation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일화(日華)’는 ‘해의 정화’를 뜻한다. ‘해[日]’는 음양의 이치 상 양()의 성격을 띠므로, 동쪽문의 이름으로 만들었다.
+
‘원지(元祉)’는 ‘큰 복’을 뜻한다. ‘크다’는 뜻의 ‘원(元)’과 ‘복(福)’이란 뜻의 ‘지()’를 합하여 만들었다. 『송사(宋史)』 「악지(樂志)」에서 “인으로 덕을 보도하여 큰 복[元祉]을 영원히 주었다.”라는 용례를 찾을 수 있다.
중국 당나라에서는 장안(長安)의 대명궁(大明宮) 선정전 앞에 있던 두 문 가운데 하나를 일화문으로, 다른 하나를 [[월화문]]으로 지은 적이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1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일화문_현판]]||Object||물품||현판||일화문 현판(日華門 懸板)||일화문 현판||日華門 懸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일화문_현판||
+
|[[원지문_현판]]||Object||물품||현판||원지문 현판(元祉門 懸板)||원지문 현판||元祉門 懸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원지문_현판||
 
|}
 
|}
  
38번째 줄: 37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일화문_현판]]  || [[일화문]] || [[isPartOf]] ||  
+
|[[원지문_현판]]  || [[원지문]] || [[isPartOf]] ||  
 
|-
 
|-
|[[일화문_현판]]  || [[월화문_현판]] ||  ||  
+
|[[원지문_현판]]  || [[송사:악지]] || [[isRelatedTo]] ||  
 
|-
 
|-
 
|}
 
|}
51번째 줄: 50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일화문_현판||서울특별시_종로구||일화문 현판 ||日華門 懸板  || 37.5759369  || 126.9768157 ||38.49 m (126.28 ft)  ||   
+
|원지문_현판||서울특별시_종로구||원지문 현판 ||元祉門 懸板  || 37.5759369  || 126.9768157 ||38.49 m (126.28 ft)  ||   
 
|-
 
|-
 
|  ||  ||  ||  ||  ||  ||  ||  
 
|  ||  ||  ||  ||  ||  ||  ||  

2020년 11월 4일 (수) 13:5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원지(元祉)’는 ‘큰 복’을 뜻한다. ‘크다’는 뜻의 ‘원(元)’과 ‘복(福)’이란 뜻의 ‘지(祉)’를 합하여 만들었다. 『송사(宋史)』 「악지(樂志)」에서 “인으로 덕을 보도하여 큰 복[元祉]을 영원히 주었다.”라는 용례를 찾을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원지문_현판 Object 물품 현판 원지문 현판(元祉門 懸板) 원지문 현판 元祉門 懸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원지문_현판

Additional Attributes

  • [[틀: ]]
propertyName value
id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원지문_현판 원지문 isPartOf
원지문_현판 송사:악지 isRelatedTo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원지문_현판 서울특별시_종로구 원지문 현판 元祉門 懸板 37.5759369 126.9768157 38.49 m (126.28 ft)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