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박아(博雅) : 위()나라의 장읍(張揖)이 지은 10권으로 된 자서(자서)이다. 광아(광아)라고도 한다. 역주 사직서의궤 93쪽.
+
박아(博雅) : 위()나라의 장읍(張揖)이 지은 10권으로 된 자서(字書)이다. 광아(廣雅)라고도 한다. 역주 사직서의궤 93쪽.
  
 
한국고전용어사전 박아[博雅]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한국고전용어사전 박아[博雅]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2020년 7월 24일 (금) 17:31 판

박아(博雅) : 위(魏)나라의 장읍(張揖)이 지은 10권으로 된 자서(字書)이다. 광아(廣雅)라고도 한다. 역주 사직서의궤 93쪽.

한국고전용어사전 박아[博雅] 관악기의 한 가지. 일명 통소(洞簫 : 퉁소)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 [네이버 지식백과] 박아[博雅]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1063&cid=41826&categoryId=41826

한국 자전의 역사 광아[廣雅] [네이버 지식백과] 광아 [廣雅]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07730&cid=51070&categoryId=51070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博雅/14580963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广雅/408847

维基百科 https://zh.wikipedia.org/wiki/廣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