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동궐도와 북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Defini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이 문서는 조선시대 궁궐에 대한 대표적인 사료 [[동궐도]]와 [[북궐도형]]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궁궐문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그 수량만 하더라도 564개소 622개의 크고 작은 문이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궁궐문의 개념은 [[궁궐지]]와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있다. 궁궐문은 궐문 궁문으로 불리며 주로 전각을 중심으로 한 방위에 따라 표현이 된다. . 궁궐의 외곽문은 궁성문(宮城門) 혹은 외장문(外墻門)으로 불리며, 외장-중장-내장의 개념에 따라 외장문-중장문-외장문의 형식으로 불리고 있다. 행각문과 장문이외에 일각문(一角門), 판장문(板牆門), 고주대문(高柱大門), 중문(中門), 창차비문(窓差備門), 합문(閤門) 등과 같은 개념이 사용되었다.<ref> p.1-35.</ref>
+
이 문서는 조선시대 궁궐에 대한 대표적인 사료 [[동궐도]]와 [[북궐도형]]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궁궐문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그 수량만 하더라도 564개소 622개의 크고 작은 문이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궁궐문의 개념은 [[궁궐지]]와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있다. 궁궐문은 궐문 궁문으로 불리며 주로 전각을 중심으로 한 방위에 따라 표현이 된다. . 궁궐의 외곽문은 궁성문(宮城門) 혹은 외장문(外墻門)으로 불리며, 외장-중장-내장의 개념에 따라 외장문-중장문-외장문의 형식으로 불리고 있다. 행각문과 장문이외에 일각문(一角門), 판장문(板牆門), 고주대문(高柱大門), 중문(中門), 창차비문(窓差備門), 합문(閤門) 등과 같은 개념이 사용되었다.<ref>박재산,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게에 관한 연구(동궐도와 북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년 2월, p.1-35.</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1번째 줄: 11번째 줄:
  
 
===Additional Attributes===
 
===Additional Attribut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sortable"
! propertyName || value
+
! propertyName !! value
 +
|-
 +
| 제목 ||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동궐도와 북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
 
|-
| ||  
+
| 저자 || 박재산
 
|-
 
|-
| ||  
+
| 발행처 || 한양대학교 대학원
 
|-
 
|-
 +
| 발행일 || 2014년 2월
 
|}
 
|}
  

2020년 10월 11일 (일) 00:3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이 문서는 조선시대 궁궐에 대한 대표적인 사료 동궐도북궐도형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궁궐문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그 수량만 하더라도 564개소 622개의 크고 작은 문이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궁궐문의 개념은 궁궐지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있다. 궁궐문은 궐문 궁문으로 불리며 주로 전각을 중심으로 한 방위에 따라 표현이 된다. . 궁궐의 외곽문은 궁성문(宮城門) 혹은 외장문(外墻門)으로 불리며, 외장-중장-내장의 개념에 따라 외장문-중장문-외장문의 형식으로 불리고 있다. 행각문과 장문이외에 일각문(一角門), 판장문(板牆門), 고주대문(高柱大門), 중문(中門), 창차비문(窓差備門), 합문(閤門) 등과 같은 개념이 사용되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조선시대_궁궐문의_운영체계에_관한_연구-동궐도와_북궐도형의_분석을_중심으로 Record 기타 세부기타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동궐도와 북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동궐도와 북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조선시대_궁궐문의_운영체계에_관한_연구-동궐도와_북궐도형의_분석을_중심으로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제목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동궐도와 북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저자 박재산
발행처 한양대학교 대학원
발행일 2014년 2월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수문장청_선전관청 조선시대_궁궐문의_운영체계에_관한_연구-동궐도와_북궐도형의_분석을_중심으로 edm:isRelatedTo

Notes

  1. 박재산,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게에 관한 연구(동궐도와 북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년 2월, p.1-35.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