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병조(兵曹)는 조선시대 동반 경관직 정2품아문 관서로 국가의 군사 관련 업무를 관장하였다. 소속 관직은...)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병조|병조(兵曹)]]는 조선시대 [[동반]] [[경관직]] [[정2품아문]] [[관서]]로 국가의 군사 관련 업무를 관장하였다. 소속 관직은 [[판서(判書)]], [[참판(參判)]], [[참의(參議)]], [[참지(參知)]], [[정랑(正郎)]], [[좌랑(佐郞)]] 등이며, [[속사(屬司)]]로 [[무선사]]를 비롯한 3개의 부서를 두었고, 속아문은 [[오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등이다. 관사의 위치는 한성부 서부 [[적선방]]으로 사헌부 남쪽에 있었는데, 곧 오늘날의 종로구 세종로 일대이다. 조선후기에는 궁궐 안에 설치된 내조(內曹)가 둘 있었으니, 하나는 창덕궁 진선문 안에 있었고, 하나는 경희궁 흥화문 안에 있었다.
+
[[병조|병조(兵曹)]]는 조선시대 [[동반]] [[경관직]] [[정2품아문]] [[관서]]로 국가의 군사 관련 업무를 관장하였다. 소속 관직은 [[병조판서|판서(判書)]], [[병조참판|참판(參判)]], [[병조참의|참의(參議)]], [[병조참지|참지(參知)]], [[병조정랑|정랑(正郎)]], [[병조좌랑|좌랑(佐郞)]] 등이며, [[속사(屬司)]]로 [[무선사]]를 비롯한 3개의 부서를 두었고, 속아문은 [[오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등이다. 관사의 위치는 한성부 서부 [[적선방]]으로 사헌부 남쪽에 있었는데, 곧 오늘날의 종로구 세종로 일대이다. 조선후기에는 궁궐 안에 설치된 내조(內曹)가 둘 있었으니, 하나는 창덕궁 진선문 안에 있었고, 하나는 경희궁 흥화문 안에 있었다.

2020년 10월 7일 (수) 16:06 판

Definition

병조(兵曹)는 조선시대 동반 경관직 정2품아문 관서로 국가의 군사 관련 업무를 관장하였다. 소속 관직은 판서(判書), 참판(參判), 참의(參議), 참지(參知), 정랑(正郎), 좌랑(佐郞) 등이며, 속사(屬司)무선사를 비롯한 3개의 부서를 두었고, 속아문은 오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등이다. 관사의 위치는 한성부 서부 적선방으로 사헌부 남쪽에 있었는데, 곧 오늘날의 종로구 세종로 일대이다. 조선후기에는 궁궐 안에 설치된 내조(內曹)가 둘 있었으니, 하나는 창덕궁 진선문 안에 있었고, 하나는 경희궁 흥화문 안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