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전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Online Reference)
(Node Description)
11번째 줄: 11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석전의]] || Record || 문헌 || 예서(釋奠儀) || 석전의(釋奠儀) || 예서 || 釋奠儀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석전의 ||
+
| [[석전의]] || Record || 문헌 || 예서(釋奠儀) || 석전의(釋奠儀) || 석전의 || 釋奠儀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석전의 ||
 
[[파일:예서(진상도).jpg|100픽셀]][https://ctext.org/library.pl?if=gb&res=1023&by_title=禮書]
 
[[파일:예서(진상도).jpg|100픽셀]][https://ctext.org/library.pl?if=gb&res=1023&by_title=禮書]
 
|-
 
|-

2020년 10월 6일 (화) 11:18 판

Definition

성균관(成均館)의 문묘에서 공자(孔子)를 비롯한 선성선현(先聖先賢)에게 제사하는 의식. 또는 『세종실록오례』·『국조오례의』·『사직서의궤』의 제기도설 등에서 전거로 삼은 『釋奠儀』를 일컫는 명칭. 현재 『석전의』라는 예서는 찾을 수 없고, 주희(朱熹)가 지은 『紹熙州縣釋奠儀圖』를 통해 제기도설을 확인할 수 있음.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석전의 Record 문헌 예서(釋奠儀) 석전의(釋奠儀) 석전의 釋奠儀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석전의

예서(진상도).jpg[1]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석전의
한자표기 釋奠儀
이칭/별칭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
유형 예서(禮書)
저자 주희(朱熹)(南宋)
간행시기 光緖2年(1876)(수정요함)
수량 150卷 12冊(수정요함)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석전의 주희 creator A는 B가 창작하였다
사직서의궤 석전의 references A는 B를 참고하였다
세종실록오례 석전의 references 참고하였다
국조오례의 석전의 references 참고하였다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참고 AKS 한국학전자도서관 紹熙州懸釋尊儀圖 朱熹 撰, 紹熙州縣釋奠儀圖, (影印)文淵閣四庫全書. 第648冊:史部 406; 政書類/ 臺北:臺灣商務印書館, 民國73[1984] https://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220910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석전의(釋奠儀)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584
참고 위키실록사전 석전의(釋奠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전의(釋奠儀)
참고 紹熙州縣釋奠儀圖 叢書集成新編: 社會科學類, 朱熹, 新文豐出版公司, 1985 https://books.google.co.kr/books?id=IfnIxwEACAAJ&dq=editions:hlon-APD_vUC&hl=ko&sa=X&ved=2ahUKEwiUv4mjg-PqAhUQ7WEKHdUsByMQ6AEwAHoECAAQAQ
참고 四库全书 紹熙州縣釋奠儀圖 提要 http://skqs.guoxuedashi.com/wen_922s/23868.html
참고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釋奠儀 항목 없음. https://ctext.org/library.pl?if=en
참고 维基文库 https://zh.wikisource.org/wiki/紹熙州縣釋奠儀圖_(四庫全書本)
참고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事林廣記/陳元靚 http://ctext.org/searchbooks.pl?if=gb&searchu=事林廣記
참고 百度百科 礼书一百五十卷 https://baike.baidu.com/item/绍熙州县释奠仪图/10079052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金鎭玖, 「보션과 쳥의 名稱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복식문화학회, 1998.
文明玉, 「韓服 버선의 適合性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손경자, 「버선의 연구 I」, 『服飾』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