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축진찬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김주국(金柱國, 1710-1771)은 학봉 김성일의 7세손으로 자는 원석(元石),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이상정의 대산집|...)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김주국|김주국(金柱國, 1710-1771)]]은 학봉 [[김성일]]의 7세손으로 자는 원석(元石),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이상정의 [[대산집|『대산집(大山集)』]]에 따르면 김주국은 어려서부터 호방하고 뜻이 컸으며, 박학하고 글을 잘 지었고, 세속의 흐름이 휩쓸리지 않는 성품을 지녔으며, 좋은 벗들과 사귀는 것을 좋아하였다고 한다.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ref>이원배,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c_A1710_1_0026045 김주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정축진찬의궤|정축진찬의궤(丁丑進饌儀軌)]]는 1877년(고종 14) 신정왕후의 보령 7순과 철인왕후의 보령 망오(望五, 41세)를 맞아 이를 경축하기 위해 베푼 진찬에 관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먼저 익종과 대왕대비에게 각각 존호 건대곤후광업영조(乾大坤厚廣業永祚)와 수령(壽寜)을 종묘와 근정전에서 올리고, 생일인 12월 6일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내진찬과 야진찬을 거행하였다. 4일 뒤에는 대전회작과 야연이 또 베풀어졌다. 철인왕후의 존호 가상과 진찬에 관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이 의궤는 4책으로 구성되었으며, 처음에 필사본으로 만들었다가 10년 뒤인 1887년에 생생자 활자본으로 다시 제작되었다. 좌석배치 반차도와 정재도, 채화도, 기용도, 의장도, 악기도, 복식도 등의 그림이 흑백 판화로 수록되어 있다. <ref>.</ref>

2020년 10월 5일 (월) 12:37 판

Definition

정축진찬의궤(丁丑進饌儀軌)는 1877년(고종 14) 신정왕후의 보령 7순과 철인왕후의 보령 망오(望五, 41세)를 맞아 이를 경축하기 위해 베푼 진찬에 관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먼저 익종과 대왕대비에게 각각 존호 건대곤후광업영조(乾大坤厚廣業永祚)와 수령(壽寜)을 종묘와 근정전에서 올리고, 생일인 12월 6일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내진찬과 야진찬을 거행하였다. 4일 뒤에는 대전회작과 야연이 또 베풀어졌다. 철인왕후의 존호 가상과 진찬에 관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이 의궤는 4책으로 구성되었으며, 처음에 필사본으로 만들었다가 10년 뒤인 1887년에 생생자 활자본으로 다시 제작되었다. 좌석배치 반차도와 정재도, 채화도, 기용도, 의장도, 악기도, 복식도 등의 그림이 흑백 판화로 수록되어 있다. [1]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