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청일전쟁과 러일전쟁(한반도에서 일어난 열강의 각축: 한국의 응전)

Korea100
Haewonk (토론) 사용자의 2017년 1월 19일 (목) 16:56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논의 Top icon

문제의식

외국교과서에서 청일전쟁은 중국이 한국에 대한 종주권을 잃어버리고 일본이 침략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러일전쟁 또한 일본과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충돌로만 보는 관점이 지배적임. 이 전쟁을 통해 한국이 위기를 극복하고 자주국가로의 면모를 지키기 위한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내용은 거의 언급되고 있지 않음.

오류사례

  • 호주 교과서: Dorothy Minkoff(1998). Understanding Asia, Marrickville: Science Press, pp. 323-324.

시모노세키조약에 따라 중국은 한국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였고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였다.

  • 호주 교과서: Grant Miocevich(2004). Investigating Japan: Prehistory to post-war reconstruction, Melbourne : Pearson education Australia, p. 36.

일본은 어떠한 대가를 치르고서라도 한국을 차지하기로 했다. 1904년 2월 8일, 선전포고도 없이 일본 해군은 아더항에 정박해 있는 러시아 함대에 어뢰 공격을 가하여 큰 손실을 입혔다. 이틀 후 전쟁이 선포되었다.

삼 개월 이내에 러시아군이 한국 밖으로 쫓겨났다. 수많은 사상자를 내며 일본군은 압록강을 건너서 (포위 5개월만에) 아더항을 점령하고 봉천시(Mukden)를 차지하며 북으로 진격하여 만주로 들어갔다. 해전에서는 토고제독이 이끄는 일본 함대가 쓰시마해협에서 러시아 함대(7개월간 세계 일주를 한 뒤 유럽의 발틱해에서 막 돌아온 참이었다)를 패주시켰다.

  • 싱가포르 교과서: R. Arasumani, et al.(2007). Crisis and conflict: An enquiry approach to modern world history,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p. 138.

일본은 러시아를 패망시켰다. 이는 처음으로 아시아의 국가가 유럽의 주요 국가를 무찌른 사건이기도 했다. 양국간의 포츠머스 조약이 1905년 9월 5월 맺어진다.

  • 미국 교과서: Elisabeth Gaynor Ellis, et al.(2007). World History: Connections to Today.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p. 789.

러일전쟁 동안 일본군은 만주에서 러시아 군대를 패배시켰고 러시아 해군은 거의 전멸했다. 초기 근대에 아시아의 힘은 유럽 국가들의 자존심을 약화시켰다. 1905년의 포츠머스 조약에서 일본은 만주 일부지역에 대한 이권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얻었다.

  • 미국 교과서: Jerry H. Bentley(2006). Traditions & encounters: A global perspective on the past. New York: Mcgraw-hill, p. 929.

1905년에 러.일 전쟁은 끝났고, 일본은 한국과 요동 반도에 대한 식민지 지배권에 대한 국제적 인정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