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100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Article=Korea through Images
 
|Article=Korea through Images
 
}}
 
}}
 +
__TOC__
 +
 +
한국의 전통과 문화적 독창성을 다양한 사진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의식주와 관련해서는 전통적인 의복, 생활한복, 한옥을 중심으로 한 주거 공간, 한식 등의 이미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한국의 전통 문화와 관련해서는 풍속화, 산수화, 청화백자, 국악 등 다양한 계층에서 향유했던 문화 콘텐츠를 보여주고 있다.
 +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의식주'''==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의식주'''==
<gallery moce=packed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파일:3-1.생활한복_Cultural Products Pavilion.jpg|생활 한복 /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파일:3-1.생활한복_Cultural Products Pavilion.jpg|생활 한복 /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파일:3-1.한복_Bukchon Hanok Village.jpg|한복 입은 여자 / 사진제공(IR스튜디오)-한국관광공사  
 
파일:3-1.한복_Bukchon Hanok Village.jpg|한복 입은 여자 / 사진제공(IR스튜디오)-한국관광공사  
20번째 줄: 24번째 줄: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전통 예술'''==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전통 예술'''==
<gallery moce=packed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파일:1-3.정림사 탑-ESC_9265.jpg|백제 말기에 세워진 정림사지 5층 석탑(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파일:1-3.정림사 탑-ESC_9265.jpg|백제 말기에 세워진 정림사지 5층 석탑(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파일:3-4.국악기-DSC_7496.jpg|종묘 제례에 쓰이는 국악기
 
파일:3-4.국악기-DSC_7496.jpg|종묘 제례에 쓰이는 국악기
42번째 줄: 46번째 줄: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궁중문화'''==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궁중문화'''==
<gallery moce=packed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파일:1-10.광화문-DSC_4138.jpg|경복궁 광화문(서울 종로구 사직로)
 
파일:1-10.광화문-DSC_4138.jpg|경복궁 광화문(서울 종로구 사직로)
 
파일:1-10.교대식-DSC_2902.jpg|경복궁의 수문장 교대식
 
파일:1-10.교대식-DSC_2902.jpg|경복궁의 수문장 교대식

2017년 12월 22일 (금) 15:40 기준 최신판

Eng icon.JPG


한국의 전통과 문화적 독창성을 다양한 사진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의식주와 관련해서는 전통적인 의복, 생활한복, 한옥을 중심으로 한 주거 공간, 한식 등의 이미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한국의 전통 문화와 관련해서는 풍속화, 산수화, 청화백자, 국악 등 다양한 계층에서 향유했던 문화 콘텐츠를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의식주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전통 예술

이미지로 만나는 한국의 궁중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