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준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활동사항)
32번째 줄: 32번째 줄:
 
[[이황 |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현보 | 이현보(李賢輔)]]의 손서(孫壻)이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34489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황 |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현보 | 이현보(李賢輔)]]의 손서(孫壻)이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34489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
 
==내용==
===활동사항===
+
===생애===
 
154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권지성균관학유(權知成均館學諭)로 임명되었으며, 학정(學正), 박사에 이어 전적(典籍)에 올랐다. 1550년 호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하고,『중종실록』, 『인종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1560년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지내다가 1563년 병으로 사직하고 돌아오는 도중 예천(醴泉)에서 죽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34489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54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권지성균관학유(權知成均館學諭)로 임명되었으며, 학정(學正), 박사에 이어 전적(典籍)에 올랐다. 1550년 호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하고,『중종실록』, 『인종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1560년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지내다가 1563년 병으로 사직하고 돌아오는 도중 예천(醴泉)에서 죽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34489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풍기의 욱양서원(郁陽書院), 신녕의 백학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금계집(錦溪集)』이 있다.<ref>최승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338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풍기의 욱양서원(郁陽書院), 신녕의 백학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금계집(錦溪集)』이 있다.<ref>최승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338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학문===
 
===학문===
 
성리학에서는 [[이황]]의 설을 그대로 계승하여 스승이 [[기대승 | 기대승(奇大升)]]과 사칠논변(四七論辨)을 벌일 때, 사단(四端)은 이(理)가 발(發)하여 기(氣)가 따르며, 칠정(七情)은 기가 발하여 이가 따른다는 설을 옹호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34489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성리학에서는 [[이황]]의 설을 그대로 계승하여 스승이 [[기대승 | 기대승(奇大升)]]과 사칠논변(四七論辨)을 벌일 때, 사단(四端)은 이(理)가 발(發)하여 기(氣)가 따르며, 칠정(七情)은 기가 발하여 이가 따른다는 설을 옹호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34489 황준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017년 11월 15일 (수) 18:30 판

황준량(黃俊良)
대표명칭 황준량
한자표기 黃俊良
생몰년 1517-1563
본관 평해(平海)
금계(錦溪)
중거(仲擧)
출생지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豊基邑)
시대 조선
국적 조선
황치(黃觶)
황한필(黃漢弼)의 딸


정의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현보(李賢輔)의 손서(孫壻)이다.[1]

내용

생애

154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권지성균관학유(權知成均館學諭)로 임명되었으며, 학정(學正), 박사에 이어 전적(典籍)에 올랐다. 1550년 호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하고,『중종실록』, 『인종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1560년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지내다가 1563년 병으로 사직하고 돌아오는 도중 예천(醴泉)에서 죽었다.[2] 풍기의 욱양서원(郁陽書院), 신녕의 백학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금계집(錦溪集)』이 있다.[3]

학문

성리학에서는 이황의 설을 그대로 계승하여 스승이 기대승(奇大升)과 사칠논변(四七論辨)을 벌일 때, 사단(四端)은 이(理)가 발(發)하여 기(氣)가 따르며, 칠정(七情)은 기가 발하여 이가 따른다는 설을 옹호하였다.[4]
  1. "황준량", 『두산백과』online.
  2. "황준량", 『두산백과』online.
  3. 최승희, "황준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황준량",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