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영 백서사건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23:0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
최석우, "황사영백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황사영 백서
한자표기 黃嗣永帛書
유형 사건
시대 조선시대
날짜 1801년
관련인물 황사영
관련단체 기독교



정의

초창기 한국가톨릭교회 지도자의 한 사람인 황사영이 1801년(순조 1) 신유박해의 전말과 그 대응책을 흰 비단에 적어 중국 북경의 구베아(Gouvea,A. de) 주교에게 보내고자 한 밀서.

내용

황사영 백서사건이 일어난 배경

1801년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 중국인 주문모(周文謨) 신부를 비롯하여 많은 교회지도자들이 체포되고 황사영에 대한 체포령도 내려지자, 황사영은 충청도 제천의 배론(舟論) 이라는 토기 굽는 마을로 피신하여, 토굴에 숨어서 자기가 겪은 박해상을 기록해 두었다. 이 때 박해를 피하여 배론까지 찾아온 황심(黃沁)을 만나 조선교회를 구출할 방도를 상의한 끝에, 박해의 경과와 재건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길이 62㎝, 너비 38㎝의 흰 비단에다 한 줄에 110자씩 121행, 도합 1만 3311자를 검은 먹글씨로 깨알같이 써서, 옥천희(玉千禧)로 하여금 10월에 중국으로 떠나는 동지사(冬至使) 일행에 끼어서 북경 주교에게 전달하게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9월 20일(양력 10월27일) 옥천희가 먼저 잡히고, 이어 황심이 9월 26일에 체포되어 백서는 사전에 압수되고, 황사영 자신도 9월 29일 잡히는 몸이 되었다.<ref》최석우, "황사영백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황사영백서의 내용

백서의 내용은 1785년(정조 9) 이후의 교회의 사정과 박해의 발생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 다음, 신유박해의 상세한 전개과정과 순교자들의 간단한 약전(略傳)을 적었다. 그리고 주문모 신부의 활동과 자수와 그의 죽음에 대하여 증언하였다. 끝으로, 폐허가 된 조선교회를 재건하고 신앙의 자유를 획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즉, 종주국인 청나라 황제에게 청하여 조선도 서양인 선교사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할 것을 요청하였고, 아니면 조선을 청나라의 한 성(省)으로 편입시켜 감독하게 하거나, 서양의 배 수백 척과 군대 5만∼6만 명을 조선에 보내어 신앙의 자유를 허용하도록 조정을 굴복하게 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ref》최석우, "황사영백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황사영 백서사건에 대한 조선 조정의 반응

이러한 내용에 접한 조정에서는 아연실색하여 관련자들을 즉각 처형함과 동시에 천주교인들에 대한 탄압을 한층 더 강화하였다. 그리고 백서의 사본이 중국에 전달되어 주문모 신부의 처형사실이 알려질 것을 염려하여, 그 해 10월에 파견된 동지사에게 진주사(陳奏使)를 겸하게 하여 신유사옥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토사주문(討邪奏文)과 함께 황사영백서의 내용을 16행 923자로 대폭 축소하여 청나라 예부(禮部)에 제출하게 하였다. 이 축소된 백서를 이른바 '가백서(假帛書)'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중국의 감호책이나 종주권 행사 등에 관한 내용은 빼고, 서양 선박과 군대 파견을 요청한 사실을 적어 박해의 정당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ref》최석우, "황사영백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백서의 원본 소장 경로와 현재 소장위치

황사영백서의 원본은 1801년에 압수된 이후 줄곧 의금부에 보관되어 오다가 1894년 갑오경장 후, 옛 문서를 파기할 때 우연히 당시의 교구장이던 뮈텔(Mutel,G.C.M.) 주교가 입수하여, 1925년 한국순교복자 79위의 시복식 때 로마교황에게 전달되었다. 현재 로마교황청 민속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ref》최석우, "황사영백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사영 백서사건 황사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사영백서 황사영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황사영 백서사건 구베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사영 백서사건 신유사옥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사영 백서사건 천주교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천주교인 황사영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천주교인 구베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천주교인 주문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천주교인 황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천주교인 옥천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황사영 백서사건 황사영백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사영 백서사건 황사영 가백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사영백서 의금부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갑오경장 황사영백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갑오경장 뮈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사영백서 뮈텔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황사영백서 로마교황청 민속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1년 황서영 백서사건이 일어났다
1801년 신유사옥이 일어났다
1801년 황사영백서의금부에 있었다
1839년 유중외대소민인등척사윤음이 반포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이 일어났다
1925년 로마교황청 민속박물관황사영백서가 소장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048 126.982324 1801년 황사영백서는 의금부에 있었다
41.906487 12.453639 바티칸 박물관황사영백서가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사료 및 단행본 직접 인용

더 읽을 거리

  • 논문
    • 안수강, 「황사영(黃嗣永)의 "백서"(帛書) 고찰」, 『역사신학 논총』, Vol 24, 2012, 160-197쪽.
    • 김태영, 「황사영의 의식 전환과 천주교적 세계관( 백서 작성 배경과 관련하여 )」, 『지역과 역사』, Vol 25, 2009, 187-235쪽.

유용한 정보

웹사이트 정보

  • 최석우, "황사영백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