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념정보 |대표명칭 = 화차 |DB유형 = 민족기록화 |한글표기 = 화차 |한문표기 = 火車 |이칭표기 = |시대 = 고려~조선 |분야 = 유물 |유형 = 무...)
 
(개요)
16번째 줄: 16번째 줄:
 
두번째 화차는 1451년(문종 1) 문종이 손수 창안한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왕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그는 즉위할 즈음 화차의 연구에 몰두하여 이 제도를 완성시켰다. 두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 중 하나를 올려놓고 사용한 우리의 독창적인 무기로서, 세계 역사상 흔하지 않게 왕이 직접 발명하고 대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한 훌륭한 무기이다.<br/>
 
두번째 화차는 1451년(문종 1) 문종이 손수 창안한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왕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그는 즉위할 즈음 화차의 연구에 몰두하여 이 제도를 완성시켰다. 두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 중 하나를 올려놓고 사용한 우리의 독창적인 무기로서, 세계 역사상 흔하지 않게 왕이 직접 발명하고 대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한 훌륭한 무기이다.<br/>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 의 총통기 에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피령전 이나 화전,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br/>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 의 총통기 에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피령전 이나 화전,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br/>
네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중인 1592년(선조 25) 변이중(邊以中)이 문종화차 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권율(權慄)이 행주대첩에서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고, 수군이 군함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br/>
+
네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중인 1592년(선조 25) 변이중(邊以中)이 문종화차 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권율(權慄)이 행주대첩에서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고, 수군이 군함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br/>
 
다섯번째 화차는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변이중의 화차 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이다.
 
다섯번째 화차는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변이중의 화차 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이다.
  

2016년 12월 2일 (금) 20:56 판

화차
()
[[file:|x250px|thumb|center|]]
대표명칭 화차
유형 무기



개요

조선시대 때 수레 위에 총을 수십개 장치하여 이동이 손쉽고, 한번에 여러 개의 총을 쏠 수 있게 한 무기로, 우리 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다.
첫번째 화차는 1409년(태종 9) 최해산이 군기부정(軍器副正)이 되어 아버지 최무선의 뒤를 이어 각종 화약무기를 연구하던 끝에 완성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최해산 화차에 대해 “철령전(鐵翎箭) 수십 발을 여러 동통(銅桶)에 넣어 작은 수레에 싣고 화약으로 발사하면 맹렬하여 적을 제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동통은 구리로 만든 총통을 의미하고, 철령전은 총통에서 발사하는 중ㆍ대형 화살을 의미하므로 최해산 화차는 총통 여러 발을 탑재하는 화차였음을 알 수 있다.
두번째 화차는 1451년(문종 1) 문종이 손수 창안한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왕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그는 즉위할 즈음 화차의 연구에 몰두하여 이 제도를 완성시켰다. 두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 중 하나를 올려놓고 사용한 우리의 독창적인 무기로서, 세계 역사상 흔하지 않게 왕이 직접 발명하고 대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한 훌륭한 무기이다.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 의 총통기 에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피령전 이나 화전,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
네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중인 1592년(선조 25) 변이중(邊以中)이 문종화차 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권율(權慄)이 행주대첩에서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고, 수군이 군함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다섯번째 화차는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변이중의 화차 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이다.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최대섭의 민족기록화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주요 인물 최무선의 아들 최해산이 처음 발명했다.

노드 및 관계 테이블

노드 관계 노드
최해산 ~를 제조했다 화차
군기시 ~의 제조지이다 화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