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역사인물초상화 홍재전서01.gif |사진출처= "[http://www.museum.seoul.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126&seq=20140421080000073&sso=ok 홍재...)
 
잔글 (홍재전서의 판본)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헌정보
 
{{문헌정보
|사진= 역사인물초상화 홍재전서01.gif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 홍재전서01.jpg
 
|사진출처=  "[http://www.museum.seoul.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126&seq=20140421080000073&sso=ok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역사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서울역사박물관.
 
|사진출처=  "[http://www.museum.seoul.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126&seq=20140421080000073&sso=ok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역사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서울역사박물관.
 
|대표명칭= 홍재전서
 
|대표명칭= 홍재전서
28번째 줄: 28번째 줄:
 
}}
 
}}
 
==정의==
 
==정의==
1760년(영조 36)부터 1910년(융희 4)까지 국왕의 동정을 중심으로 국정 운영에 관해 매일 기록한 일기이다.
+
[[조선 정조]]의 어제(御製)를 모아 엮은 문집이다.
 +
 
 
==내용==
 
==내용==
===[[일성록]]의 유래===
+
===[[홍재전서]]와 규장각===
[[일성록]]』은 [[조선 정조|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세손 시절 자신을 반성할 목적으로 쓰기 시작한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다. 국가 정무가 늘어나고 규장각의 체제가 정비되자 1781년(정조 5) [[조선 정조]]는 자신이 직접 쓰던 일기를 규장각 신하들에게 대신 기록할 것을 명하였다. 이로써 국정 운영에 참고하고 국정 전반을 성찰할 수 있는 국가의 일기로 발전시켰다. 시간 순으로 기록한 대표적인 국가의 공식 문서로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 있지만, 이것은 편찬 후 사고(史庫)에 비장(秘藏)하기 때문에 국왕이라고 해도 함부로 열람할 수 없었다. 정조는 가까이에 두고 필요할 때마다 열람이 가능한 국정 기록을 남겨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여 정부의 공식 기록으로써 『[[일성록]]』의 편찬을 명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2780&ganada=&pageUnit=10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조선 정조]]는 자신의 문집을 편찬하기 위하여 즉위 초에 설치한 [[규장각|규장각(奎章閣)]]의 직무에 편차(編次)의 임무를 부여하였다. [[규장각]]에서는 이 규정에 따라 평소에 어제(御製) 문집의 편차를 위한 준비를 하였다. 이에 따라 어제를 봉안하는 장(欌) 3개를 만들어 규장각(奎章閣), 이문원(摛文院), 대내(大內)의 세 곳에 각기 하나씩을 비치하여 두었다. 어제가 나올 때마다 각신(閣臣)에게 내려주어 편집하고 정서하였다가 길일을 가려서 보고한 다음에 이 장(欌)에 봉안하도록 하였다.<ref>"[http://www.museum.seoul.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126&seq=20140421080000073&sso=ok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역사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서울역사박물관.</ref>
 +
===[[홍재전서]]의 편찬===
 +
준비된 [[조선 정조]]의 어제문집(御製文集)은 10년을 단위로 각기 1질로 묶어서 편찬하였는데, 이는 [[조선 영조]] 때에 어제편차인(御製編次人)을 두고 영조의 문집인 『[[어제집경당편집|어제집경당편집(御製集慶堂編集)]]』을 편집하도록 한 전례를 본받은 것이다. 이러한 규례에 따라 1787년([[조선 정조|정조]] 11) 8월 [[규장각]]에서 [[조선 정조]]의 어제문집(御製文集)을 처음으로 편집하여 바쳤다. 이 때 편집된 어제는 모두 60권이며, 2벌을 정서(淨書)하여 진헌(進獻)하였다.
 +
<ref>"[http://www.museum.seoul.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126&seq=20140421080000073&sso=ok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역사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서울역사박물관.</ref>
  
===[[일성록]]의 편찬과 내용 체제===
+
===[[홍재전서]]의 판본===
[[조선 정조]]는 [[규장각]] 각신들과 『[[일성록]]』의 체제를 논의하면서 기록의 주체를 ‘여(予)’라고 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는 『[[일성록]]』이 국왕의 시각으로 정리된 기록임을 나타낸다. 또 하나의 사건이나 일을 하나의 기사로 구성하였으며, 각 기사는 제목인 강(綱)과 세부 내용인 목()으로 나누어 기록하여 실제로 찾아서 참고하기 쉽게 하였다. 또한 매일의 기록 끝에는 편찬을 담당한 인물의 관직과 성명을 기재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2780&ganada=&pageUnit=10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현전하는 것으로는 1801년([[조선 순조|순조]] 원년)에 편찬된 사본(寫本)[[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장서각]]에 전질이 있고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초집 2권, 2집, 61권 등 모두 38책이 보관되어 있다. 1814년([[조선 순조|순조]] 14)에 간행한 인본(印本) 184권 100책은 규장각도서로 6부가 있고, 장서각도서로 2부가 있다.<ref>최승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371 홍재전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운현궁]] 소장본이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ref>"[http://www.museum.seoul.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126&seq=20140421080000073&sso=ok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역사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서울역사박물관.</ref>
===[[일성록]]의 가치와 의의===
 
[[조선 정조]]에 의해 기록되기 시작한 『[[일성록]]』은 1910년 일제 강점 이전까지 계속해서 기록되었다. 『[[일성록]]』에는 국왕이 정치에 직접 관여한 일들, 예컨대 신하들이나 백성들이 왕에게 올린 건의서나 왕의 명령, 왕의 동정, 서적의 편찬, 경연에서 읽은 책의 내용, 군사 훈련, 죄수 심리, 백성에 대한 진휼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일성록]]』 역시 관찬 사서로서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고쳐지거나 지워질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왕이 죽은 후 편집되는 『[[조선왕조실록]]』보다 훨씬 생생하면서도 정연한 형식의 당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2780&ganada=&pageUnit=10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일성록]]은 18~20세기 동·서양의 정치·문화적 교류의 구체적 실상과 세계사의 보편적 흐름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이라는 한 나라의 역사 기록물을 넘어서는 세계사적 중요성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정받아 2011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ref>"[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world_heritage/record_treasure_08.jsp&mn=NS_04_04_04 일성록]", 세계기록유산,<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조선 정조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64/E06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일성록]]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 [[홍재전서]]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홍재전서]] || [[홍재전서 편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일성록]]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 [[조선 정조]] || [[홍재전서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일성록]]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었다 ||
+
| [[규장각]] || [[홍재전서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일성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홍재전서]] || [[서울역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홍재전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홍재전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홍재전서]] || [[운현궁]]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
 
==시각 자료==
 
===영상===
 
*일성록과 조선왕조실록, youtube, 게시일: 2014.10.16.
 
<html>
 
<iframe width="600" height="300" src="https://www.youtube.com/embed/exp5xmtvuz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주석==
 
==주석==
67번째 줄: 74번째 줄: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연갑수, 「《日省錄》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 방안」,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
**이상욱, 「《홍재전서》수록 정조의 시에 관한 소고 - '아버지'와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열상고전연구』55, 열상고전연구회, 2017.
**홍순민, 「《日省錄》의 편찬 과정과 구성 원리」,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 "[http://heritage.unesco.or.kr/mows/aeycoeeoe/ 『일성록(日省錄)』(Ilseongnok: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세계기록유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유네스코와 유산』<sup>online</sup></online></html>,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 "[http://db.mkstudy.com/mksdb/e/korean-literary-collection/book/reader/8780/ 홍재전서]", 한국문집총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미디어한국학.
*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sub_index.jsp?ID=ILS 일성록 원문자료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1009&index_id=cp10090349&content_id=cp100903490001&search_left_menu= 홍재전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1009&index_id=cp10090357&content_id=cp100903570001&search_left_menu=6 일성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분류:문헌]]
 
[[분류:문헌]]
[[분류:이혜영]]
 

2018년 1월 15일 (월) 01:37 기준 최신판

홍재전서(弘齋全書)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서울역사박물관』online, 서울역사박물관.
대표명칭 홍재전서
한자표기 弘齋全書
유형 고서
저자 조선 정조
편자 규장각
간행시기 1799년
시대 조선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역사박물관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재 제316호
지정일 2011년 09월 08일


정의

조선 정조의 어제(御製)를 모아 엮은 문집이다.

내용

홍재전서와 규장각

조선 정조는 자신의 문집을 편찬하기 위하여 즉위 초에 설치한 규장각(奎章閣)의 직무에 편차(編次)의 임무를 부여하였다. 규장각에서는 이 규정에 따라 평소에 어제(御製) 문집의 편차를 위한 준비를 하였다. 이에 따라 어제를 봉안하는 장(欌) 3개를 만들어 규장각(奎章閣), 이문원(摛文院), 대내(大內)의 세 곳에 각기 하나씩을 비치하여 두었다. 어제가 나올 때마다 각신(閣臣)에게 내려주어 편집하고 정서하였다가 길일을 가려서 보고한 다음에 이 장(欌)에 봉안하도록 하였다.[1]

홍재전서의 편찬

준비된 조선 정조의 어제문집(御製文集)은 10년을 단위로 각기 1질로 묶어서 편찬하였는데, 이는 조선 영조 때에 어제편차인(御製編次人)을 두고 영조의 문집인 『어제집경당편집(御製集慶堂編集)』을 편집하도록 한 전례를 본받은 것이다. 이러한 규례에 따라 1787년(정조 11) 8월 규장각에서 조선 정조의 어제문집(御製文集)을 처음으로 편집하여 바쳤다. 이 때 편집된 어제는 모두 60권이며, 2벌을 정서(淨書)하여 진헌(進獻)하였다. [2]

홍재전서의 판본

현전하는 것으로는 1801년(순조 원년)에 편찬된 사본(寫本)이 장서각에 전질이 있고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초집 2권, 2집, 61권 등 모두 38책이 보관되어 있다. 1814년(순조 14)에 간행한 인본(印本) 184권 100책은 규장각도서로 6부가 있고, 장서각도서로 2부가 있다.[3] 운현궁 소장본이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4]

지식 관계망

  • 조선 정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홍재전서 조선 정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홍재전서 홍재전서 편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정조 홍재전서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규장각 홍재전서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홍재전서 서울역사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홍재전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홍재전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홍재전서 운현궁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주석

  1.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 『서울역사박물관』online, 서울역사박물관.
  2.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 『서울역사박물관』online, 서울역사박물관.
  3. 최승희, "홍재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홍재전서(弘齋全書)", 소장유물정보, 『서울역사박물관』online, 서울역사박물관.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상욱, 「《홍재전서》수록 정조의 시에 관한 소고 - '아버지'와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열상고전연구』55, 열상고전연구회, 2017.

유용한 정보

  • "홍재전서", 한국문집총간, 『한국학종합DB』online, 미디어한국학.
  • "홍재전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