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원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계)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가계===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한상경|상경(尙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통덕랑 [[한유기|유기(有箕)]]이며, 어머니는 [[한유기 처 함양 박씨|함양박씨(咸陽朴氏)]]로 [[한숭부|숭부(崇阜)]]의 딸이다. [[권상하|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이다.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인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한 대표적 인물이다.<ref>이애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868 한원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한상경|상경(尙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통덕랑 [[한유기|유기(有箕)]]이며, 어머니는 [[한유기 처 함양 박씨|함양박씨(咸陽朴氏)]]로 [[한숭부|숭부(崇阜)]]의 딸이다. <ref>이애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868 한원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생애와 활동===
 
===생애와 활동===

2018년 1월 15일 (월) 02:00 기준 최신판

한원진(韓元震)
이애희, "한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한원진
한자표기 韓元震
생몰년 1682년-1751년
본관 청주(淸州)
시호 문순(文純)
호는 남당(南塘)
덕소(德昭)
시대 조선시대
국적 조선
대표저서 남당집
대표직함 장령
한유기(韓有箕)
함양 박씨(咸陽朴氏)
성격 문신
유형 인물



정의

1682(숙종 8)-1751(영조 27),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상경(尙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통덕랑 유기(有箕)이며, 어머니는 함양박씨(咸陽朴氏)숭부(崇阜)의 딸이다. [1]

생애와 활동

1717년(숙종 43) 학행으로 천거되어 영릉참봉이 되었고, 1721년(경종 1) 부수(副率)에 임명되었으나 신임사화노론이 실각하자 사직하였다. 1725년(영조 1) 경연관(經筵官)으로 뽑혀 학문을 진강하며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맹자』의 ‘신하가 임금 보기를 원수처럼 한다.(臣視君如仇讐)’는 구절을 인용하여 소론을 배척하다가 탕평책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삭직되었다. 1741년 김재로(金在魯)의 구명운동으로 복직되어 장령·집의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이다.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인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한 대표적 인물이다. 재지(才知)가 뛰어나고 사리에 밝았으며, 성리학설에 정통하였다. 그 밖에 율려(律呂)·천문·지리·병가·산수 등의 서적까지도 깊이 연구하였다.[2]

학문 활동

그의 학문과 사상은 당시 성리학의 중심 과제에 두루 미치고 있었다. 성리학에 대한 반성으로 등장한 실학이 남인 학자층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던 상황에서도 성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는 이이(李珥)-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학통을 계승하여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의 입장을 고수하였다. 호락논쟁에서는 낙론(洛論)인 이간(李柬)을 중심으로 하는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의 주장에 반대하여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이 다르다고 주장한 인물성이론을 대표하였다.

저술 활동

저서로는 『남당집』이 있으며, 편저로는 『임시취고(臨時取考)』·『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퇴계집소석(退溪集疏釋)』 등이 있다. 그의 많은 저술 가운데 1741년 저술한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는 송시열권상하를 거쳐 50년 만에 완성된 한국 성리학사상의 거작이었다. 이들 저술 가운데에서 『경의기문록』과 『주자언론동이고』를 제외한 나머지 문집의 대부분은 그 판본이 김천의 직지사(直指寺)에 수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황(李滉)의 학설과 위배되는 설을 제기했다는 이유에서 어사 김정희(金正喜)의 방화로 회신(灰燼: 불에 타고 남은 끄트러기나 재)이 되는 바람에 이제는 희귀본이 되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한유기 한원진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한유기 처 함양 박씨 한원진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권상하 한원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신임사화 한원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노론 한원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신임사화 노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임사화 소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원진 성리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성리학 기발이승일도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기발이승일도설 이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기발이승일도설 송시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기발이승일도설 권상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당집 한원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임시취고 한원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의기문록 한원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퇴계집소석 한원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애희, "한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애희, "한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애희, "한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함현찬, 「韓元震 人性論에 나타난 性개념의 특징에 대한 소고」, 『東洋哲學硏究』 35, 동양철학연구회, 2003, 99-128쪽.
    • 최해숙, 「한원진 성삼층설의 현대적 해석」, 『儒學硏究』 36,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265-293쪽.
  • 웹자원
    • 이애희, "한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