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백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백겸 |한자표기= 韓百謙 |영문명칭= |본관= 청주(淸州) |이칭= |시호= |호= 구암(久庵) |자= 명길(...)
 
14번째 줄: 14번째 줄:
 
|출생지=  
 
|출생지=  
 
|사망지=  
 
|사망지=  
|시대=  
+
|시대= 조선시대
|국적=  
+
|국적= 조선
|대표저서= 구암집(久菴集), [[동국지리지|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 기자도(箕子圖), 기전설(箕田說)
+
|대표저서= [[구암집(久菴集)]], [[동국지리지|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 기자도(箕子圖), 기전설(箕田說)
 
|대표직함=  
 
|대표직함=  
 
|배우자=  
 
|배우자=  
|부=  
+
|부= [[한효윤|한효윤(韓孝胤)]]
 
|모=  
 
|모=  
 
|자녀=  
 
|자녀=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
조선 중기의 문신.
  
 +
=='''내용'''==
 +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菴). 할아버지는 문천군수(文川郡守) [[한여필|한여필(韓汝弼)]]이고, 아버지는 판관 [[한효윤|한효윤(韓孝胤)]]이며,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신건(申健)]]의 딸이다.<ref>강성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34 한백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
어려서 배움에 힘썼으며, [[민순|민순(閔純)]]에게 배웠고 계속하여 의리(義理)에 관한 연구에 힘썼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6753&cid=43671&categoryId=43671 한백겸]",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菴). 정선군수 한승원(韓承元)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문천군수(文川郡守)한여필(韓汝弼)이고, 아버지는 판관 한효윤(韓孝胤)이며,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申健)의 딸이다. 민순(閔純)의 문인이다.[민백]
+
</ref>
 +
 
 +
1589년 [[정여립 모반사건|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때 자살한 [[정여립]]의 시신을 거두어 정성스레 염()하였다. 그러나 뒤에 그 사실이 발각되고, 또한 [[정여립]]생질인 [[이진길|이진길(李震吉)]]과 친분이 두터웠다는 이유로 연좌되어 장형(杖刑)을 받고 귀양을 갔다.<ref>강성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34 한백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의 학자.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庵). 본관은 청주(淸州). 어려서 배움에 힘썼으며, 민순(閔純)에게 《소학》과 《근사록(近思錄)》을 배웠고 계속하여 의리(義理)에 관한 연구에 힘써 육경논맹(六經論孟)과 염락관민(廉洛關閩)에 이르기까지 정통하였다. 1586년(선조 19) 천거에 의하여 중부 참봉(中部參奉)되고 곧이어 경기전(慶基殿) 참봉을 역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 모반 때 연좌되어 귀양갔다가 임진왜란 때에 석방되어, 적소에서 적군에게 아부하여 난을 선동한 자들을 참살한 공으로 내자직장(內資直長)이 되었다가 여러 내외직을 거친 다음 호조 참의(戶曹參議)가 되었다. 선조가 죽자 대신들은 백겸이 예(禮)에 밝다 하여 빈전(殯殿)의 상례(喪禮)를 맡겼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6753&cid=43671&categoryId=43671 한백겸]",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그는 『 [[동국지리지|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의 저술과 『기전고(箕田考)』 가운데 실린 「기자도(箕子圖), 「기전설(箕田說)」 등의 저술을 남겼다. 이 밖에 저서로 『[[구암집|구암집(久菴集)]]』이 있다. 원주의 [[원주 칠봉서원|칠봉서원(七峰書院)]]제향되었다.<ref>강성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34 한백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3번째 줄: 48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한백겸]] || [[김응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효윤]] || [[한백겸]]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한백겸]] || [[정여립 모반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동국지리지]] || [[한백겸]]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동국지리지]] || [[한백겸]]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구암집]] || [[한백겸]]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54번째 줄: 63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
** 강성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34 한백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6753&cid=43671&categoryId=43671 한백겸]",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6753&cid=43671&categoryId=43671 한백겸]",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인물]]
 
[[분류:인물]]

2017년 11월 11일 (토) 17:42 판

한백겸(韓百謙)
대표명칭 한백겸
한자표기 韓百謙
생몰년 1552년-1615년
본관 청주(淸州)
구암(久庵)
명길(鳴吉)
시대 조선시대
국적 조선
대표저서 구암집(久菴集),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 기자도(箕子圖), 기전설(箕田說)
한효윤(韓孝胤)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菴). 할아버지는 문천군수(文川郡守) 한여필(韓汝弼)이고, 아버지는 판관 한효윤(韓孝胤)이며,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申健)의 딸이다.[1]

어려서 배움에 힘썼으며, 민순(閔純)에게 배웠고 계속하여 의리(義理)에 관한 연구에 힘썼다.[2]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때 자살한 정여립의 시신을 거두어 정성스레 염(殮)하였다. 그러나 뒤에 그 사실이 발각되고, 또한 정여립의 생질인 이진길(李震吉)과 친분이 두터웠다는 이유로 연좌되어 장형(杖刑)을 받고 귀양을 갔다.[3]

그는 『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의 저술과 『기전고(箕田考)』 가운데 실린 「기자도(箕子圖)」, 「기전설(箕田說)」 등의 저술을 남겼다. 이 밖에 저서로 『구암집(久菴集)』이 있다. 원주의 칠봉서원(七峰書院)에 제향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한효윤 한백겸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한백겸 정여립 모반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국지리지 한백겸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구암집 한백겸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강성조, "한백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한백겸",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강성조, "한백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강성조, "한백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강성조, "한백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한백겸",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