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탄문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4일 (목) 11: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탄문(坦文)
BHST Monk1.png
대표명칭 탄문
한자 坦文
생몰년 900년(효공왕 3)-975년(광종 26)
시호 법인(法印)
법호 탄문(坦文)
탑호 보승(寶乘)
대오(大悟)
성씨 고씨(高氏)
출신지 경기도 광주(廣州)
승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승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정의

고려 초기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은 900년(효공왕 3) 경기도 광주(廣州)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고씨(高氏)이다. 일찍이 선조 때부터 덕을 쌓은 훌륭한 집안이었으며 아버지도 고을을 잘 다스린 선비였다.[1]

Quote-left.png 대사(大師)의 법호(法號)는 탄문(坦文), 자(字)는 대오(大悟), 속성은 고씨(高氏), 광주(廣州) 고봉(高) 출신이다. 조척(祖陟)으로부터 덕(德)을 쌓음이 한량 없으므로 공(功)을 이룸에 넉넉함이 있었다. 일찍이 일동(一同)이 될 만한 장과(長果)를 지었으며, 삼이(三異)의 방부(芳父)를 나타내었다. 아버지는 능히 화현(花縣)을 꾸민 훌륭한 군수(郡守)였고, 난정(蘭庭)에 태어난 빛나는 가문이었다. 드디어 가풍(家風)의 경사를 이어 받아 울창하게 읍장(邑長)의 존령(尊令)이 되었다. ...(중략)... 건녕(乾寧) 7년 용과(龍集) 군탄년(涒灘年) 8월 14일 새벽 동 틀 무렵에 탄생하였다. 대사(大師)는 태어날 때, 태(胎)가 목을 감아 드리운 것이 마치 방포(方袍)를 입은 것과 같았다. Quote-right.png
출처:


탄생설화

어머니 전씨(白氏)는 꿈에서 범승(梵僧)을 만나고 국사를 잉태하였다.

Quote-left.png 어머니는 백씨(白氏)이니 오직 성선(聖善)의 도를 닦아 훌륭한 (결락) 아들 낳기를 희망하였으며, 부도(婦道)를 받들어 행하고 삼가하여 모의(母儀)를 지켰다. 어느 날 밤 꿈에 한 범승(梵僧)이 나타나 금빛나는 기과(奇菓)를 건네주었다. 그로 인해 임신하고 만삭이 되어 탄생하였으며, 아버지 또한 꿈을 꾸었으니 법당(法幢)이 뜰 가운데 세워져 있거늘, 범패(梵旆)가 그 위에 걸려 있어 바람을 따라 이리저리 나부꼈고, 많은 사람들이 그 밑에 모인 것이 마치 둥근 담장과 같았다. Quote-right.png
출처:


출가수행

탄문은 5세 때 출가하여 향산(鄕山)에 있는 대덕화상(大德和尙)을 찾아갔으며,[2] 원효(元曉)의상(義想)이 살던 향성산(鄕聖山)의 옛 절터에 암자를 지어 수년간 수행하였다.[3] 신엄대덕(信嚴大德)장의사(莊義寺)에서 『화엄경(華嚴經)』을 강설한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가 『화엄경』을 수학하며 독송하였다. 914년(신덕왕 3) 15세에 장의사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4]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활동

탄문은 계법을 잘 실천하고 수행 능력이 뛰어나 고려 태조로부터 별화상(別和尙)으로 불렸다. 926년(태조 9) 왕후 유씨(劉氏)가 잉태하였을 때 왕의 부탁으로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기도를 하였다. 왕자(후에 광종)가 태어나자 태조는 법력을 빌려 아들을 낳았다며 탄문을 더욱 총애하게 되었다.[5]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탄문은 구룡산사(九龍山寺)에서 화엄(華嚴)을 강론하고, 별대덕(別大德)이 되었다.[6]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942년(태조 25) 염주(鹽州)와 배주(白州) 지역에 메뚜기 떼가 창궐하여 들판의 곡식을 해치자 『대반야경(大般若經)』을 외우니 벌레가 사라져 풍년이 들었다.[7]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태조가 죽고 2대 혜종, 3대 정종 때에도 탄문은 왕실을 위한 법회와 사경(寫經)을 계속하였으며,[8] 혜종과 정종이 지극히 공경하여 예로써 받들었다.[9]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968년(광종 19)에 처음으로 국사(國師)·[[왕사|왕사(王師)]의 2사(師) 제도가 실시되자 혜거(惠居)국사로, 탄문을 왕사로 삼아 귀법사(歸法寺)에 머무르게 하였다.[10]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975년(광종 26)에는 국사가 되어 당시 중요한 사찰 중 하나였던 서산 보원사로 옮겨갔는데,[11] 이때 왕이 왕후와 백관을 데리고 전송하였으며, 어의를 보내어 병을 보살피게 하였다.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입적

975년(광종 26) 3월, 탄문은 보원사에서 승도들에게 "사람의 노소는 있어도 법에는 선후가 없다"는 유훈(遺訓)을 남기고 나이 76세, 법랍 61세로 입적하였다.[12]

Quote-left.png Quote-right.png
출처: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임세권, 이우태,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2. 임세권, 이우태,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3. 이해준,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임세권, 이우태,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5. 이해준,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탄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이해준,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임세권, 이우태,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9. 장충식, "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장충식, "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이해준,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탄문",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이지관, "해미 보원사 법인국사 보승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74-116쪽.
  •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 임세권, 이우태,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5-3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장충식, "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탄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탄문",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탄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해준,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