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탄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계와 탄생)
(가계와 탄생)
27번째 줄: 27번째 줄:
  
 
===가계와 탄생===
 
===가계와 탄생===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은 900년([[신라 효공왕|효공왕]] 3) 경기도 광주(廣州)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고씨(高氏)이다. 가문은 선조부터 대대로 덕과 공을 쌓아왔던 것으로 보인다.
+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은 900년([[신라 효공왕|효공왕]] 3) 경기도 광주(廣州)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고씨(高氏)이다. 일찍이 선조 때부터 덕을 쌓은 훌륭한 집안이었으며 아버지도 고을을 잘 다스린 선비였다.
 
{{blockquote
 
{{blockquote
 
|대사(大師)의 법호(法號)는 탄문(坦文), 자(字)는 대오(大悟), 속성은 고씨(高氏), 광주(廣州) 고봉(高) 출신이다. 조척(祖陟)으로부터 덕(德)을 쌓음이 한량 없으므로 공(功)을 이룸에 넉넉함이 있었다. 일찍이 일동(一同)이 될 만한 장과(長果)를 지었으며, 삼이(三異)의 방부(芳父)를 나타내었다. 아버지는 능히 화현(花縣)을 꾸민 훌륭한 군수(郡守)였고, 난정(蘭庭)에 태어난 빛나는 가문이었다. 드디어 가풍(家風)의 경사를 이어 받아 울창하게 읍장(邑長)의 존령(尊令)이 되었다. ...(중략)... 건녕(乾寧) 7년 용과(龍集) 군탄년(涒灘年) 8월 14일 새벽 동 틀 무렵에 탄생하였다. 대사(大師)는 태어날 때, 태(胎)가 목을 감아 드리운 것이 마치 방포(方袍)를 입은 것과 같았다.  
 
|대사(大師)의 법호(法號)는 탄문(坦文), 자(字)는 대오(大悟), 속성은 고씨(高氏), 광주(廣州) 고봉(高) 출신이다. 조척(祖陟)으로부터 덕(德)을 쌓음이 한량 없으므로 공(功)을 이룸에 넉넉함이 있었다. 일찍이 일동(一同)이 될 만한 장과(長果)를 지었으며, 삼이(三異)의 방부(芳父)를 나타내었다. 아버지는 능히 화현(花縣)을 꾸민 훌륭한 군수(郡守)였고, 난정(蘭庭)에 태어난 빛나는 가문이었다. 드디어 가풍(家風)의 경사를 이어 받아 울창하게 읍장(邑長)의 존령(尊令)이 되었다. ...(중략)... 건녕(乾寧) 7년 용과(龍集) 군탄년(涒灘年) 8월 14일 새벽 동 틀 무렵에 탄생하였다. 대사(大師)는 태어날 때, 태(胎)가 목을 감아 드리운 것이 마치 방포(方袍)를 입은 것과 같았다.  

2017년 8월 24일 (목) 10:20 판

탄문(坦文)
BHST Monk1.png
대표명칭 탄문
한자 坦文
생몰년 900년(효공왕 3)-975년(광종 26)
시호 법인(法印)
법호 탄문(坦文)
탑호 보승(寶乘)
대오(大悟)
성씨 고씨(高氏)
출신지 경기도 광주(廣州)
승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승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정의

고려 초기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은 900년(효공왕 3) 경기도 광주(廣州)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고씨(高氏)이다. 일찍이 선조 때부터 덕을 쌓은 훌륭한 집안이었으며 아버지도 고을을 잘 다스린 선비였다.

Quote-left.png 대사(大師)의 법호(法號)는 탄문(坦文), 자(字)는 대오(大悟), 속성은 고씨(高氏), 광주(廣州) 고봉(高) 출신이다. 조척(祖陟)으로부터 덕(德)을 쌓음이 한량 없으므로 공(功)을 이룸에 넉넉함이 있었다. 일찍이 일동(一同)이 될 만한 장과(長果)를 지었으며, 삼이(三異)의 방부(芳父)를 나타내었다. 아버지는 능히 화현(花縣)을 꾸민 훌륭한 군수(郡守)였고, 난정(蘭庭)에 태어난 빛나는 가문이었다. 드디어 가풍(家風)의 경사를 이어 받아 울창하게 읍장(邑長)의 존령(尊令)이 되었다. ...(중략)... 건녕(乾寧) 7년 용과(龍集) 군탄년(涒灘年) 8월 14일 새벽 동 틀 무렵에 탄생하였다. 대사(大師)는 태어날 때, 태(胎)가 목을 감아 드리운 것이 마치 방포(方袍)를 입은 것과 같았다. Quote-right.png
출처:


탄생설화

어머니 백씨(白氏)는 꿈에서 범승(梵僧)을 만나고 국사를 잉태하였다.

Quote-left.png 어머니는 백씨(白氏)이니 오직 성선(聖善)의 도를 닦아 훌륭한 (결락) 아들 낳기를 희망하였으며, 부도(婦道)를 받들어 행하고 삼가하여 모의(母儀)를 지켰다. 어느 날 밤 꿈에 한 범승(梵僧)이 나타나 금빛나는 기과(奇菓)를 건네주었다. 그로 인해 임신하고 만삭이 되어 탄생하였으며, 아버지 또한 꿈을 꾸었으니 법당(法幢)이 뜰 가운데 세워져 있거늘, 범패(梵旆)가 그 위에 걸려 있어 바람을 따라 이리저리 나부꼈고, 많은 사람들이 그 밑에 모인 것이 마치 둥근 담장과 같았다. Quote-right.png
출처:


출가수행

구법유학

활동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 이지관, "해미 보원사 법인국사 보승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74-116쪽.
  •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 임세권, 이우태,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장충식, "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탄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탄문",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탄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해준,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