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철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복식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 철릭
 +
|한자표기= 帖裏
 +
|이칭별칭= 天益, 天翼, 粘裏, 添里, 綴翼
 +
|구분= 의복
 +
|착용신분=
 +
|착용성별= 남성
 +
}}
 +
 +
==정의==
 +
 +
==내용==
 +
===복식 구성===
 +
===착용 신분===
 +
===착용 상황===
 +
===형태===
 +
===기타===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시간정보===
 +
===공간정보===
 +
 +
==시각자료==
 +
===갤러리===
 +
===영상===
 +
 +
==주석==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더 읽을거리===
 +
===유용한 정보===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2017년 6월 28일 (수) 23:57 판


철릭
(帖裏)
대표명칭 철릭
한자표기 帖裏
이칭별칭 天益, 天翼, 粘裏, 添里, 綴翼
구분 의복
착용성별 남성



정의

내용

복식 구성

착용 신분

착용 상황

형태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철릭은 상의와 치마[下裳]를 따로 재단한 다음 치마 윗부분에 주름을 잡아서 상의에 꿰매 이은 옷이다. 양쪽 소매 혹은 한쪽 소매에 매듭단추를 달아 소매를 떼었다 붙였다할 수 있게 만들기도 하였는데 이는 활동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 철릭은 시대에 따라 상의와 치마의 길이 비례가 달라지는데 상의와 치마를 연결한 허리선의 위치는 철릭의 시대를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의와 상의 비율을 보면 조선 초기에는 의가 상보다 길어 ‘의:상’의 비율이 1.2:1이다. 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점차 상이 더 길어져 19세기 말에는 의와 상의 비율이 1:3.6에 이른다. 치마의 허리부분 주름은 0.2㎝ 내외로 가늘게 잡기도 하고, 2~3㎝ 정도로 넓게 잡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