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문서 내용을 "*중단(中單)(왕실남성)은 왕실 남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중단(中單)(왕실여성)은 왕..."으로 바꿈)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왕실남성)]]은 왕실 남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복식정보
+
*[[중단(왕실여성)|중단(中單)(왕실여성)]]은 왕실 여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이미지= 5중단앞오례의서례.jpg
+
*[[중단(왕실여성)|중단(中單)(문무백관)]]은 문무백관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대표명칭= 중단(中單)
 
|이칭별칭= 중의(中衣)
 
|착용시대= 조선, 대한제국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성별= 남성, 여성
 
|착용연령= 성인, 아동
 
|복식구성=
 
|관련복식= [[면복|면복(冕服)]], [[강사포|원유관복(遠遊冠服)]], [[강사포|통천관복(通天冠服)]] [[적의|적의(翟衣)]], [[제복|제복(祭服)]], [[조복|조복(朝服)]]
 
|복식구분= 남성 예복, 여성 예복
 
|필드수= 10
 
}}
 
==정의==
 
남녀의 예복 속에 받쳐 입던 옷.<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76 한국복식사전:중단]</ref>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분류:동음이의어]]
*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제,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국가 의례 및 일생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함.
 
 
 
==기본 정보==
 
===어원<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6쪽.</ref>===
 
* 겉옷인 의(衣)와 속옷 사이에 있기 때문에 중의라고 함.
 
* 위진남북조시대 무렵 중의에서 중단(中單)으로 불리기 시작함.
 
===유래===
 
* 하상(下裳)과 상의(上衣)가 하나로 만들어지며 중의(中衣)가 생겨남.<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5쪽.</ref>
 
*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으며, 조선 말까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유지됨.<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7쪽.</ref>
 
 
 
===신분별 형태===
 
* 면복의 경우<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33쪽.</ref>
 
**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길 가장자리에 청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
 
** 황제 : 12개
 
** 황태자, 왕 : 11개
 
** 왕세자 : 9개
 
** 왕세손 : 7개
 
 
 
* 원유관복의 경우<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68쪽.</ref>
 
**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도련에 붉은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
 
** 황제 : 13개
 
** 황태자, 왕 : 11개
 
** 왕세자 : 9개
 
 
 
* 적의의 경우<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110쪽.</ref>
 
** 왕비, 왕세자빈 : 대홍향직 별의를 중단으로 착용한 것으로 추정됨.
 
** 황후, 황태자비 : 옥색 중단을 착용하였으며, 깃·소매끝·도련에 홍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
 
** 황후 : 13개
 
** 황태자비 : 11개
 
 
 
* 제복, 조복의 경우<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91쪽.</ref>
 
** 중단의 깃·수구·도련에 흑색 선(縇)을 두름.
 
** 초기에는 백색 중단을 착용함.
 
** 임진왜란 이후 도포나 대창의로 대신함.
 
** 19세기 이후, 다시 청색 중단을 착용함.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보여준다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복식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면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PAGENAME}}''' || [[원유관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PAGENAME}}''' || [[적의]] || A는 B의 부분이다 ||
 
|-
 
| '''{{PAGENAME}}''' || [[제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PAGENAME}}''' || [[조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인물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황태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복식 → 기관===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기관/소장처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국립고궁박물관]]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衣, 中單-국립고궁박물관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2권』, 국립고궁박물관,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 김명숙,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 김명숙,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 김명숙,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崔圭順,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東華大學出版社,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왕실]]
 
[[분류:궁중]]
 
[[분류:남성]]
 
[[분류:여성]]
 
[[분류:성인]]
 
[[분류:아동]]
 
[[분류:남성 예복]]
 
[[분류:여성 예복]]
 

2017년 4월 29일 (토) 22:15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