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joseon_yangban_mid.png |사진출처= |대표명칭= 조목 |한자표기= 趙穆 |영문명칭= |본관= 횡성(橫城) |이칭= |시호= |호= 월천(月...)
 
(참고문헌)
70번째 줄: 70번째 줄:
 
*정우락, 「월천 조목의 국토 기행과 그 시적 형상」, 『민족문화연구』6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정우락, 「월천 조목의 국토 기행과 그 시적 형상」, 『민족문화연구』6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이종호, 『월천 조목의 삶과 생각 그리고 문학』, 한국국학진흥원, 2007.  
 
*이종호, 『월천 조목의 삶과 생각 그리고 문학』, 한국국학진흥원, 2007.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분류:인물]]
 
[[분류:인물]]
 +
 
[[분류:이혜영]]
 
[[분류:이혜영]]

2017년 11월 20일 (월) 17:19 판

조목(趙穆)
Joseon yangban mid.png
대표명칭 조목
한자표기 趙穆
생몰년 1524년-1606년
본관 횡성(橫城)
월천(月川)
사경(士敬)
조대춘
조대춘 처 안동 권씨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문인이다.

내용

1552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는 것을 포기하고 학문과 수양에만 전념했다. 이황의 제자로서 경전연구에 주력하였다. 또 이황안동 도산서당을 짓는 데 함께하였으며, 퇴계집을 간행하고, 같은 이황의 문인인 류성룡 등과 교유하였다.[1] 안동 현사사안동 광흥사에서 독서를 즐겼고, 월천집, 곤지잡록 등을 저술하였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안동 정산서원, 안동 도산서원, 봉화 문암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목 이황 A는 B의 제자이다 A ekc:hasMaster B
조목 안동 정산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목 안동 도산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목 봉화 문암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목 안동 현사사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목 안동 광흥사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안동 도산서당 조목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퇴계집 조목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조목 류성룡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주석

  1. 김도기, "조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도기, "조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황만기, "조목",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권오영, 「월천 조목의 언행과 학문성향」, 『국학연구』20, 한국국학진흥원, 2015.
  • 정우락, 「월천 조목의 국토 기행과 그 시적 형상」, 『민족문화연구』6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 이종호, 『월천 조목의 삶과 생각 그리고 문학』, 한국국학진흥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