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환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더 읽을거리)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정보
 
{{사건정보
|사진=
+
|사진= political_battle.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정미환국
 
|대표명칭=정미환국
9번째 줄: 9번째 줄:
 
|시대=조선시대
 
|시대=조선시대
 
|날짜=1727년  
 
|날짜=1727년  
|관련인물=[[조선 영조|영조]]
+
|관련인물=[[조선 영조]]
|관련단체=[[노론]] [[소론]]
+
|관련단체=[[노론]], [[소론]]
 
|관련장소=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광산김씨 상언]]
 
}}
 
}}
 
=='''정의'''==
 
=='''정의'''==
1727년(영조 3) 정쟁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당색이 온건한 인물로 인사를 개편한 정국(政局).
+
1727년(조선 영조 3) 정쟁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인사를 개편한 정국(政局)을 말한다.
 
=='''내용'''==
 
=='''내용'''==
===[[조선 영조|영조]]의 즉위와 [[신임사화]]에 대한 [[노론]]측의 반격===
+
===[[신임사화]]에 대한 [[노론]]측의 반격===
[[조선 영조|영조]]는 즉위하면서부터 극심한 당쟁의 폐해를 통감하고 [[송인명|송인명(宋寅明)]]·[[조문명|조문명(趙文命)]] 등의 말을 들어 [[탕평책]]을 펴나가고자 하였다. 사건은 [[조선 영조|영조]]가 즉위하자 [[노론]]측에서 [[신임사화|신임옥사]]에 대한 책임을 묻기 시작하면서 발단하였다. 먼저 [[이의연|이의연(李義淵)]]이 지난날 세제(世弟 : 뒤의 [[조선 영조|영조]]) 건저(建儲)를 주장하다가 처벌된 신하들을 신원(伸寃)하자고 성급하게 청했다가 [[소론]]의 반대에 부딪혀 오히려 귀양을 가고 말았다. 또한, [[송재후|송재후(宋載厚)]]는 김일경(金一鏡)이 대찬(代撰)한 [[신임사화|임인옥사]]에 대한 교문(敎文)의 초고(草稿) 중 3건의 문구를 들어 "세제시절의 [[조선 영조|영조]]를 모욕한 것이니 단죄할 것"을 상소하였다. 3건의 문구란 종무(鍾巫 : 魯桓公子 翬가 형을 죽인 것)·사구(沙丘 : 진시황의 맏아들 扶蘇를 죽이고 작은아들 胡亥를 세운 것)·접혈(蝶血 : 당태종이 형과 아우를 죽인 것)로 모두 [[조선 영조|영조]]에 관련된 것으로서 [[소론]] [[김동필|김동필(金東弼)]]도 그의 불온함을 지적한 일이 있었다. 이 [[김일경]]의 교문문제에 대한 상소는 각처에서 연달아 들어왔다. [[조선 영조|영조]]는 [[김일경]]을 잡아들여 친국했고, [[김일경]]은 끝내 불복해 처단되었다. 또한, [[신임사화|임인고변]]으로 공신이 된 [[목호룡|목호룡(睦虎龍)]]의 고변문구 중에도 [[조선 영조|영조]]에 저촉된 사실이 있었는데, 이 때 와서 [[김일경]]과의 공모혐의로 국청(鞫廳)에서 심문을 받다가 불복하고 죽었다.<ref>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정미환국]][[조선 영조|영조]]가 즉위하자 [[노론]]측은 [[신임사화|신임옥사]]에 대한 책임을 묻기 시작하였다. 먼저 [[이의연|이의연(李義淵)]]이 지난날 [[조선 영조|세제]]건저(建儲)를 주장하다가 처벌된 신하들을 신원(伸寃)하자고 성급하게 청했으나 [소론]]의 반대에 부딪혀 오히려 귀양을 가고 말았다. 또한, [[송재후|송재후(宋載厚)]]는 김일경(金一鏡)이 대찬(代撰)한 [[신임사화|임인옥사]] 교문(敎文)의 초고(草稿) 중 3건의 문구를 들어 '세제시절의 [[조선 영조|영조]]를 모욕한 것이니 단죄할 것'을 상소하였다. 3건의 문구란 종무(鍾巫 : 魯桓公子 翬가 형을 죽인 것)·사구(沙丘 : 진시황의 맏아들 扶蘇를 죽이고 작은아들 胡亥를 세운 것)·접혈(蝶血 : 당태종이 형과 아우를 죽인 것)로 모두 [[조선 영조|영조]]에 관련된 것으로 [[소론]] [[김동필|김동필(金東弼)]]도 그의 불온함을 지적한 일이 있었다. 이 [[김일경]]의 교문문제에 대한 상소는 각처에서 연달아 들어왔다. [[조선 영조|영조]]는 [[김일경]]을 잡아들여 친국했고, [[김일경]]은 끝내 불복해 처단되었다. 또한, [[신임사화|임인고변]]으로 공신이 된 [[목호룡|목호룡(睦虎龍)]]의 고변문구 중에도 [[조선 영조|영조]]에 저촉된 사실이 있었는데, 목호룡 역시 [[김일경]]과의 공모혐의로 국청(鞫廳)에서 심문을 받다가 불복하고 죽었다.<ref>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 영조|영조]] [[신임사화]] 주동차 처벌과 [[노론]] 정권을 잡다===
+
===[[노론]]의 정권 장악===
[[조선 영조|영조]]는 [[신임사화]]를 일으킨 주동자인 [[김일경]]과 [[목호룡]]을 처단한 뒤, 1721년(경종 1) [[김일경]]이 [[노론]]4대신([[김창집]]·[[이건명]]·[[이이명]]·[[조태채]])을 역적으로 몰아 상소한 신축소(辛丑疏)에 연명한 [[이진유|이진유(李眞儒)]] 등 6인을 귀양보냈다. 그리고 [[노론]]측의 잇단 [[소론]]대신들에 대한 논핵으로 영의정 [[이광좌|이광좌(李光佐)]], 우의정 [[조태억|조태억(趙泰億)]] 등의 [[소론]]대신들이 쫓겨나고 대신 [[민진원|민진원(閔鎭遠)]]·[[정호|정호(鄭澔)]] 등 [[노론]]이 소환되어 조정에 들어섰다.<ref>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 영조|영조]]는 [[신임사화]]를 일으킨 주동자인 [[김일경]]과 [[목호룡]]을 처단한 뒤, 1721년(경종 1) [[김일경]]이 [[노론]]4대신([[김창집]]·[[이건명]]·[[이이명]]·[[조태채]])을 역적으로 몰아 상소한 신축소(辛丑疏)에 연명한 [[이진유|이진유(李眞儒)]] 등 6인을 귀양보냈다. 그리고 [[노론]]측의 잇단 논핵으로 영의정 [[이광좌|이광좌(李光佐)]], 우의정 [[조태억|조태억(趙泰億)]] 등의 [[소론]]대신들이 쫓겨나고 대신 [[민진원|민진원(閔鎭遠)]]·[[정호|정호(鄭澔)]] 등 [[노론]]이 조정에 들어섰다.<ref>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노론]]의 끊임없는 정치복수 요청으로 인하여 [[정미환국]]이 일어나다===
+
===[[노론]]의 정치복수===
[[노론]]이 정권을 잡자, [[신임사화]] 때에 처단된 [[노론]]4대신과 그 밖의 관련자들에 대한 신원문제가 다시 논의되어 4대신이 복관되어 시호를 받았다. [[정호]]·[[민진원]] 등 [[노론]]측은 『[[임인옥안|임인옥안(壬寅獄案)]]』을 번안(飜案)해 당시에 자복한 사람들까지 신원했음에도 [[소론]]에 대한 보복을 계속 고집하였다. [[조선 영조|영조]]는 당습(黨習)을 꺼려 무욕(誣辱)을 밝히고 원통한 것을 풀어주면 그만이지 보복은 안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1727년 영부사(領府事) [[민진원]], 우의정 [[정호]] 이하 여러 [[노론]]들을 파면하고, 1725년(영조 1)에 파면했던 [[이광좌]]·[[조태억]]을 기용해 정승으로 삼고 [[소론]]을 불러들여 조정에 참여시켰다. 이 해가 정미년이기 때문에 '[[정미환국]]'이라 한다.<ref>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노론]]이 정권을 잡자, [[신임사화]] 때에 처단된 [[노론]]4대신과 그 밖의 관련자들에 대한 신원문제가 다시 논의되었고, 4대신이 복관되어 시호를 받았다. [[정호]]·[[민진원]] 등 [[노론]]측은 『[[임인옥안|임인옥안(壬寅獄案)]]』을 뒤집어서 당시에 자복한 사람들까지 신원했음에도 [[소론]]에 대한 보복을 계속 고집하였다. 이러한 정국에서 [[조선 영조|영조]]는 당습(黨習)을 조정하고자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노론정권이 이를 잘 따르지 않고 소론 공격에만 몰두하자 1727년 영부사(領府事) [[민진원]], 우의정 [[정호]] 이하 여러 [[노론]]들을 파면하고, 1725년에 파면했던 [[이광좌]]·[[조태억]]을 기용해 정승으로 삼고 [[소론]]을 불러들여 조정에 참여시켰다. <ref>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계속되는 [[노론]]과 [[소론]]의 당파분쟁 및 [[이인좌의 난]] 그래도 [[조선 영조|영조]]는 [[탕평책]]을 지속 하려 하다===
 
이 결과 탕평파인 지평 조현명(趙顯命)은 [[신임사화]] 때 남형(濫刑)을 많이 저지른 것은 [[소론]]의 잘못이고, [[조선 영조|영조]] 즉위초에 보복에만 급급했던 것은 [[노론]]의 잘못인데, [[노론]]과 [[소론]]을 공정하게 등용하지 않음은 잘못임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정미환국]]으로 [[소론]]정권이 성립되었으며, 이들은 다시 번안된 『[[임인옥안]]』 문제를 들고 나와 영의정 [[이광좌]], 대사헌 [[김시환|김시환(金始煥)]] 등이 4대신의 잘못을 논핵하였다. 이에 [[조선 영조|영조]]는 전일의 죄명을 모두 씻어주고 관작만을 삭탈하는 선에서 일단 매듭을 지었다.그러나 다음 해인 1728년(영조 4)에 일부 [[소론]]과 [[남인]]의 과격분자들이 [[조선 경종|경종]]을 위한 보복을 명분으로 왕권교체를 기도한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났다. 이 반란이 진압된 뒤에도 [[조선 영조|영조]]는 [[노론]]·[[소론]]을 막론하고 당파심이 강한 자를 제거해 당쟁을 조정하고 폐해를 막으려는 [[탕평책]]을 펴고자 하였다.<ref>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광산김씨 상언에 대한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84/A08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미환국]]||[[신임사화]]||A는 B와 관련이 있다||
+
|[[정미환국]]||[[신임사화]]||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정미환국]]||[[임인옥안]]||A는 B와 관련이 있다||
+
|[[정미환국]]||[[임인옥안]]||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정미환국]]||[[노론]]||A는 B와 관련이 있다||
+
|[[정미환국]]||[[노론]]||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정미환국]]||[[소론]]||A는 B와 관련이 있다||
+
|[[정미환국]]||[[소론]]||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노론]]||[[민진원]]||A는 B를 포함한다||
+
|[[노론]]||[[민진원]]||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노론]]||[[임인옥안]]||A는 B와 관련이 있다||
+
|[[노론]]||[[임인옥안]]||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정미환국]]||[[조선 영조|영조]]||A는 B와 관련이 있다||
+
|[[정미환국]]||[[조선 영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신임사화]]||[[조선 영조|영조]]||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신임사화]]||[[조선 영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신임사화]]||[[조선 경종|경종]]||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신임사화]]||[[조선 경종]]||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신임사화]]||[[노론]]||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신임사화]]||[[노론]]||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신임사화]]||[[소론]]||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신임사화]]||[[소론]]||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노론]]||[[김창집]]||A는 B를 포함한다||
+
|[[노론]]||[[김창집]]||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노론]]||[[이건명]]||A는 B를 포함한다||
+
|[[노론]]||[[이건명]]||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노론]]||[[이이명]]||A는 B를 포함한다||
+
|[[노론]]||[[이이명]]||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노론]]||[[조태채]]||A는 B를 포함한다||
+
|[[노론]]||[[조태채]]||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소론]]||[[김일경]]||A는 B를 포함한다||
+
|[[소론]]||[[김일경]]||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소론]]||[[목호룡]]||A는 B를 포함한다||
+
|[[소론]]||[[목호룡]]||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소론]]||[[이광좌]]||A는 B를 포함한다||
+
|[[소론]]||[[이광좌]]||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A foaf:member B
 
|-
 
|-
|[[이인좌의 난]]||[[이인좌]]||A는 B와 관련이 있다||
+
|[[이인좌의 난]]||[[이인좌]]||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이인좌의 난]]||[[조선 영조|영조]]||A는 B와 관련이 있다||
+
|[[이인좌의 난]]||[[조선 영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이인좌의 난]]||[[조선 경종|경종]]||A는 B와 관련이 있다||
+
|[[이인좌의 난]]||[[조선 경종]]||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이인좌의 난]]||[[남인]]||A는 B와 관련이 있다||
+
|[[이인좌의 난]]||[[남인]]||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이인좌의 난]]||[[소론]]||A는 B와 관련이 있다||
+
|[[이인좌의 난]]||[[소론]]||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서인]]||[[노론]]||A는 B를 포함한다||
+
|[[서인]]||[[노론]]||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서인]]||[[소론]]||A는 B를 포함한다||
+
|[[서인]]||[[소론]]||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조선 영조|영조]]||[[대훈]]||A는 B를 저술하였다||
+
|[[대훈]]||[[조선 영조]]||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광산김씨 상언]]||[[정미환국]]||A는 B와 관련이 있다||
+
|[[광산김씨 상언]]||[[정미환국]]||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108번째 줄: 111번째 줄:
 
</gallery>
 
</gallery>
 
-->
 
-->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거리===
 
*논문
 
*논문
**고수연, 「조선 英祖代 戊申亂의 실패 원인」, 『한국사연구』, Vol 170, 2015, 225-261쪽.  
+
**고수연, 「조선 英祖代 戊申亂의 실패 원인」, 『한국사연구』, Vol.-, No.170, 한국사연구회, 2015, 225-261쪽.  
**오항녕, 「『경종실록』의 편찬과 수정」, 『民族文化』, Vol 42, 2013, 183-217쪽.  
+
**오항녕, 「『경종실록』의 편찬과 수정」, 『民族文化』, Vol.-, No.42, 한국고전번역원, 2013, 183-217쪽.  
**윤정, 「재위 전반기(1725~1746) 英祖의 군신관계 이해('君臣分義'論의 적용과 지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Vol 29, 2007, 99-138쪽.
+
**윤정, 「재위 전반기(1725~1746) 英祖의 군신관계 이해(‘君臣分義’論의 적용과 지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Vol.29, No.-, 고려사학회, 2007, 99-138쪽.
  
===유용한 정보===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219 정미환국]",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사건]]
 
[[분류:사건]]
[[분류:이창섭]]
 

2017년 11월 24일 (금) 23:59 기준 최신판

정미환국(丁未換局)
Political battle.png
대표명칭 정미환국
한자표기 丁未換局
유형 사건
시대 조선시대
날짜 1727년
관련인물 조선 영조
관련단체 노론, 소론
관련유물유적 광산김씨 상언


정의

1727년(조선 영조 3) 정쟁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인사를 개편한 정국(政局)을 말한다.

내용

신임사화에 대한 노론측의 반격

정미환국영조가 즉위하자 노론측은 신임옥사에 대한 책임을 묻기 시작하였다. 먼저 이의연(李義淵)이 지난날 세제의 건저(建儲)를 주장하다가 처벌된 신하들을 신원(伸寃)하자고 성급하게 청했으나 [소론]]의 반대에 부딪혀 오히려 귀양을 가고 말았다. 또한, 송재후(宋載厚)는 김일경(金一鏡)이 대찬(代撰)한 임인옥사 교문(敎文)의 초고(草稿) 중 3건의 문구를 들어 '세제시절의 영조를 모욕한 것이니 단죄할 것'을 상소하였다. 3건의 문구란 종무(鍾巫 : 魯桓公子 翬가 형을 죽인 것)·사구(沙丘 : 진시황의 맏아들 扶蘇를 죽이고 작은아들 胡亥를 세운 것)·접혈(蝶血 : 당태종이 형과 아우를 죽인 것)로 모두 영조에 관련된 것으로 소론 김동필(金東弼)도 그의 불온함을 지적한 일이 있었다. 이 김일경의 교문문제에 대한 상소는 각처에서 연달아 들어왔다. 영조김일경을 잡아들여 친국했고, 김일경은 끝내 불복해 처단되었다. 또한, 임인고변으로 공신이 된 목호룡(睦虎龍)의 고변문구 중에도 영조에 저촉된 사실이 있었는데, 목호룡 역시 김일경과의 공모혐의로 국청(鞫廳)에서 심문을 받다가 불복하고 죽었다.[1]

노론의 정권 장악

영조신임사화를 일으킨 주동자인 김일경목호룡을 처단한 뒤, 1721년(경종 1) 김일경노론4대신(김창집·이건명·이이명·조태채)을 역적으로 몰아 상소한 신축소(辛丑疏)에 연명한 이진유(李眞儒) 등 6인을 귀양보냈다. 그리고 노론측의 잇단 논핵으로 영의정 이광좌(李光佐), 우의정 조태억(趙泰億) 등의 소론대신들이 쫓겨나고 대신 민진원(閔鎭遠)·정호(鄭澔)노론이 조정에 들어섰다.[2]

노론의 정치복수

노론이 정권을 잡자, 신임사화 때에 처단된 노론4대신과 그 밖의 관련자들에 대한 신원문제가 다시 논의되었고, 4대신이 복관되어 시호를 받았다. 정호·민진원노론측은 『임인옥안(壬寅獄案)』을 뒤집어서 당시에 자복한 사람들까지 신원했음에도 소론에 대한 보복을 계속 고집하였다. 이러한 정국에서 영조는 당습(黨習)을 조정하고자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노론정권이 이를 잘 따르지 않고 소론 공격에만 몰두하자 1727년 영부사(領府事) 민진원, 우의정 정호 이하 여러 노론들을 파면하고, 1725년에 파면했던 이광좌·조태억을 기용해 정승으로 삼고 소론을 불러들여 조정에 참여시켰다. [3]

지식 관계망

  • 광산김씨 상언에 대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미환국 신임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미환국 임인옥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미환국 노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미환국 소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노론 민진원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노론 임인옥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미환국 조선 영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임사화 조선 영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임사화 조선 경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임사화 노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임사화 소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노론 김창집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노론 이건명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노론 이이명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노론 조태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소론 김일경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소론 목호룡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소론 이광좌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인좌의 난 이인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인좌의 난 조선 영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인좌의 난 조선 경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인좌의 난 남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인좌의 난 소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인 노론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서인 소론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대훈 조선 영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광산김씨 상언 정미환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21년-1722년 신임사화가 일어났다
1727년 정미환국광산김씨 상언 은 관련이 있다
1728년 이인좌의 난이 일어났다

주석

  1. 오갑균, "정미환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오갑균, "정미환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오갑균, "정미환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 고수연, 「조선 英祖代 戊申亂의 실패 원인」, 『한국사연구』, Vol.-, No.170, 한국사연구회, 2015, 225-261쪽.
    • 오항녕, 「『경종실록』의 편찬과 수정」, 『民族文化』, Vol.-, No.42, 한국고전번역원, 2013, 183-217쪽.
    • 윤정, 「재위 전반기(1725~1746) 英祖의 군신관계 이해(‘君臣分義’論의 적용과 지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Vol.29, No.-, 고려사학회, 2007, 99-138쪽.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오갑균, "정미환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