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관계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 유물정보
+
{{유물유적정보
 
|사진=BHST_Borimsa_Sacheonwang.jpg
 
|사진=BHST_Borimsa_Sacheonwang.jpg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2540000,36&flag=Y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2540000,36&flag=Y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대표명칭=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대표명칭=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
|한자표기=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영문명칭=Wooden Four Guardian Kings of Borimsa Temple, Jangheung
 
|영문명칭=Wooden Four Guardian Kings of Borimsa Temple, Jangheung
|한자=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
|이칭=
|문화재지정=보물 제1254호
+
|유형=유물 / 불교조각/ 목조
|문화재지정일=1997년 06월 12일
+
|시대=조선
|분류=유물 / 불교조각/ 목조
+
|지정번호=보물 제1254호
 +
|지정일=1997년 06월 12일
 
|소장처=[[장흥 보림사]]
 
|소장처=[[장흥 보림사]]
 
|경도=126.896135
 
|경도=126.896135
 
|위도=34.807864
 
|위도=34.807864
|소유자=[[장흥 보림사]]
 
|관리자=[[장흥 보림사]]
 
|시대=조선
 
|제작시기=
 
 
|수량=4구
 
|수량=4구
|필드수=15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장흥 보림사|보림사]]에 있는 사천왕상.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장흥 보림사|보림사(寶林寺)]]에 있는 [[사천왕|사천왕상]].
  
 
=='''내용'''==
 
=='''내용'''==
높이 3.2m, 너비 2.9m.<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8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539년(중종 34)에 처음 조성되었고 1780년(정조 4)에 중수된 것으로, 우리나라 목각 사천왕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사천왕|사천왕상]]은 보통 마귀를 발로 짓밟고 있는 형상으로 조성되지만, 여기서는 눈이 동그란 마귀가 동방지국천왕의 발을 들어 받들고 있다. 그려 넣은 것이 아니고 갈색 유리로 만들어 붙인 사천왕상의 눈동자가 특이하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487&cid=42840&categoryId=42849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높이 3.2m, 너비 2.9m. 현존하는 조선시대 [[사천왕|사천왕상(四天王像)]] 중 가장 오래된 [[사천왕|사천왕상]]일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이전에 제작된 유일한 상이기도 하다. 1539년([[조선 중종|중종]] 34)에 처음으로 조상하였고, 그 후 1668년([[조선 현종|현종]] 9)과 1777년([[조선 정조|정조]] 1)에 중수하였다.<ref>노명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8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사천왕|사천왕상]]은 보통 마귀를 발로 짓밟고 있는 형상으로 조성되지만, 여기서는 눈이 동그란 마귀가 동방지국천왕의 발을 들어 받들고 있다. 그려 넣은 것이 아니고 갈색 유리로 만들어 붙인 사천왕상의 눈동자가 특이하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201&cid=42840&categoryId=42849 보림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사천왕#동방지국천왕|동방 지국천왕상]]은 칼의 손잡이와 칼끝을, [[사천왕#서방광목천왕|서방 광목천왕상]]은 칼과 창을, [[사천왕#남방증장천왕|남방 증장천왕상]]은 비파를, [[사천왕#북방다문천왕|북방 다문천왕상]]은 당(幢=旗)을 가지고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897&cid=40942&categoryId=33383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사천왕#동방지국천왕|동방 지국천왕상]]은 칼의 손잡이와 칼끝을, [[사천왕#서방광목천왕|서방 광목천왕상]]은 칼과 창을, [[사천왕#남방증장천왕|남방 증장천왕상]]은 비파를, [[사천왕#북방다문천왕|북방 다문천왕상]]은 당(幢=旗)을 가지고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897&cid=40942&categoryId=33383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995년 2월에는 이 상의 해체 조사 작업 중 무릎과 발 등에서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국보급 희귀본을 포함한 전적류 250여 권이 발견되었다.<ref><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95년 2월에는 이 상의 해체 조사 작업 중 무릎과 발 등에서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국보급 희귀본을 포함한 전적류 250여 권이 발견되었다.<ref>노명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8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장흥 보림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0/temple_Bori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 [[장흥 보림사]] || A는 B에 있다 ||  
+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 [[장흥 보림사]] || A는 B에 있다 ||  
 
|-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 [[사천왕]] || A는 B에 포함된다 ||  
+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 [[사천왕]] || A의 유형은 B이다 ||  
 
|}
 
|}
  
54번째 줄: 65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국가지정문화재]]
+
[[분류:문화유산]]
 
[[분류:보물]]
 
[[분류:보물]]
[[분류:사천왕]]
+
[[분류:승탑/검토요청]]
[[분류:승탑/작성중]]
+
 
 +
=='''참고문헌'''==
 +
*노명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8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897&cid=40942&categoryId=33383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2017년 11월 22일 (수) 22:39 기준 최신판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한자표기 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영문명칭 Wooden Four Guardian Kings of Borimsa Temple, Jangheung
유형 유물 / 불교조각/ 목조
시대 조선
지정번호 보물 제1254호
지정일 1997년 06월 12일
소장처 장흥 보림사
수량 4구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寶林寺)에 있는 사천왕상.

내용

높이 3.2m, 너비 2.9m. 현존하는 조선시대 사천왕상(四天王像) 중 가장 오래된 사천왕상일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이전에 제작된 유일한 상이기도 하다. 1539년(중종 34)에 처음으로 조상하였고, 그 후 1668년(현종 9)과 1777년(정조 1)에 중수하였다.[1]

사천왕상은 보통 마귀를 발로 짓밟고 있는 형상으로 조성되지만, 여기서는 눈이 동그란 마귀가 동방지국천왕의 발을 들어 받들고 있다. 그려 넣은 것이 아니고 갈색 유리로 만들어 붙인 사천왕상의 눈동자가 특이하다.[2]

동방 지국천왕상은 칼의 손잡이와 칼끝을, 서방 광목천왕상은 칼과 창을, 남방 증장천왕상은 비파를, 북방 다문천왕상은 당(幢=旗)을 가지고 있다.[3]

1995년 2월에는 이 상의 해체 조사 작업 중 무릎과 발 등에서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국보급 희귀본을 포함한 전적류 250여 권이 발견되었다.[4]

지식 관계망

  • 장흥 보림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장흥 보림사 A는 B에 있다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사천왕 A의 유형은 B이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노명신,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보림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노명신,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7.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8.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