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47번째 줄: 47번째 줄: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3/C003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3/C03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2017년 10월 31일 (화) 00:22 판

이억기(李億祺)
Joseon general.png
대표명칭 이억기
한자표기 李億祺
생몰년 1561년(명종 16)-1597년(선조 30)
본관 전주
시호 의민(毅愍)
경수(景受)
시대 조선
대표직함 전라우수사
유형 무신



정의

1561(명종 16)∼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임진왜란

17세에 사복시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무과에 급제해 여러 벼슬을 거쳤다. 21세의 젊은 나이로 경흥부사로 임명되어 적을 격퇴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591년(선조 24) 순천부사를 거쳐 임진왜란 때에는 전라우수사가 되어, 전라좌수사 이순신, 경상우수사 원균 등과 합세해 당항포(唐項浦)·한산도(閑山島)·안골포(安骨浦)·부산포(釜山浦) 등지에서 왜적을 크게 격파하였다. 이순신원균(元均)의 참소로 하옥(下獄)되자 이항복(李恒福)·김명원(金明元) 등과 함께 무죄를 변론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통제사 원균 휘하에서 조정의 무리한 진격명령으로 부산의 왜적을 공격하다가 칠천해전(漆川海戰)에서 패해 원균·충청수사 최호(崔湖)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사후

1592년 6월 5일 당항포해전 이래 칠천해전에서 전사할 때까지의 공적은 이순신·원균 등에 못지 않았으나, 1592년 5월의 옥포(玉浦)·사천(泗川)·당포(唐浦) 등지의 초기 해전에 참여하지 못했던 관계로, 임진왜란 후 공신책정(功臣策定) 때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으로 되어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완흥군(完興君)으로 봉해졌다.
1600년 여수 충민사(忠愍祠)에 이순신과 함께 제향되었다. 시호는 의민(毅愍)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억기 당항포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안골포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부산포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이순신 A는 B과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원균 A는 B과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순신 원균 A는 B과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여수 충민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1. "이억기",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이억기",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이억기",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이정일, "이억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원균",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