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인물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이광려
 +
|한자표기=李匡呂
 +
|영문명칭=
 +
|본관=전주(全州)
 +
|이칭=
 +
|시호=
 +
|호=월암(月巖)·칠탄(七灘)
 +
|자=성재(聖載)
 +
|생년=1720
 +
|몰년=1783
 +
|출생지=
 +
|사망지=
 +
|시대=조선
 +
|국적=조선
 +
|대표저서=
 +
|대표직함=
 +
|배우자=
 +
|부= 이진수(李眞洙)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
 +
|유형=
 +
}}
 +
==정의==
 +
이광려(李匡呂, 1720-1783)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다
 +
==내용==
 +
===생애===
 +
이광려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재(聖載), 호는 월암(月巖)·칠탄(七灘). 아버지는 이진수(李眞洙)이다. 이광려는 인품도 훌륭했고 해박한 지식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또 문장이 뛰어나 따르는 제자가 많았고, 사림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이광려는 문장에 뛰어난 인물로서, 그의 문인(門人)에게 그대로 전해져 신대우(申大羽)를 비롯하여 많은 제자들을 배출했다.<ref>고경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674 이광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활동===
 +
한편, 그는 일본과 활발한 교류를 하던 당시의 시대 흐름 속에서 일찍부터 책을 통하여 [[고구마]]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했다. 1763년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조엄 | 조엄(趙曮)]]이 대마도로부터 고구마를 들여오자 곧 재배에 착수하였으나 기술이 부족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 같은 그의 시도는 당시 동래부사(東萊府使)였던 강필리(姜必履)에게 자극을 주어 고구마재배에 성공을 거두게 한 밑바탕이 됐다.<ref>고경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674 이광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저술활동===
 +
저서로는 『이참봉집(李參奉集)』이 있다.<ref>고경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674 이광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이광려는 [[이광사]]의 묘비인 「원교선생묘지명(圓嶠先生墓誌銘)」을 쓰기도 했는데 여기에 묘사된 이광사의 외형은 그의 초상화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686 이광사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7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7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분류:역인초/지선문맥제안]]
 
[[분류:역인초/지선문맥제안]]

2017년 11월 8일 (수) 21:47 판

이광려(李匡呂)
대표명칭 이광려
한자표기 李匡呂
생몰년 1720-1783
본관 전주(全州)
월암(月巖)·칠탄(七灘)
성재(聖載)
시대 조선
국적 조선
이진수(李眞洙)


정의

이광려(李匡呂, 1720-1783)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다

내용

생애

이광려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재(聖載), 호는 월암(月巖)·칠탄(七灘). 아버지는 이진수(李眞洙)이다. 이광려는 인품도 훌륭했고 해박한 지식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또 문장이 뛰어나 따르는 제자가 많았고, 사림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이광려는 문장에 뛰어난 인물로서, 그의 문인(門人)에게 그대로 전해져 신대우(申大羽)를 비롯하여 많은 제자들을 배출했다.[1]

활동

한편, 그는 일본과 활발한 교류를 하던 당시의 시대 흐름 속에서 일찍부터 책을 통하여 고구마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했다. 1763년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조엄(趙曮)이 대마도로부터 고구마를 들여오자 곧 재배에 착수하였으나 기술이 부족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 같은 그의 시도는 당시 동래부사(東萊府使)였던 강필리(姜必履)에게 자극을 주어 고구마재배에 성공을 거두게 한 밑바탕이 됐다.[2]

저술활동

저서로는 『이참봉집(李參奉集)』이 있다.[3] 또한 이광려는 이광사의 묘비인 「원교선생묘지명(圓嶠先生墓誌銘)」을 쓰기도 했는데 여기에 묘사된 이광사의 외형은 그의 초상화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 고경식, "이광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고경식, "이광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고경식, "이광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광사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