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충효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 관계망)
34번째 줄: 34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류성룡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8/E05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43번째 줄: 50번째 줄:
 
|-
 
|-
 
|}
 
|}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17년 11월 27일 (월) 21:18 판

안동 충효당
(安東 忠孝堂)
대표명칭 안동 충효당
한자표기 安東 忠孝堂
유형 유적건조물
시대 조선
지정번호 보물 제414호
지정일 1964.11.14
관련인물 류성룡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애 위치한 서애 류성룡(1542∼1607의 생가이다.

내용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유성룡(柳成龍)의 고택으로 비교적 원래의 모습을 잘 남기고 있다.[1]

설립

충효당은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랑채와 안채는 손자인 졸재 류원지(1598∼1674)가 짓고, 증손자인 눌재 류의하(1616∼1698)가 확장 수리한 것이다. 행랑채는 8대손 일우 류상조(1763∼1838)가 지은 건물로 대문과 방, 광으로 구성되어 있다.[2]

구조

규모는 총 52칸. 행랑채에 달린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 대청 앞에 마주서게 되며 이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사랑채 온돌방 옆에 대문간이 있어서 안채로 들어가게 되며 건물은 중정(中庭)을 둘러싸고 ‘口’자형의 평면으로 배열하였다.그 중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내당은 대청과 방앞에 퇴간(退間)이 있으며 높은 원주를 세우고 그 위에는 2익공(二翼工) 계통의 공포(栱包)를 배치하였다.[3]

사랑채 대청에 걸려 있는 ‘충효당(忠孝堂)’이라고 쓴 현판은 명필가였던 허목(1595∼1682)이 쓴 것이다.[4]

지식 관계망

  • 류성룡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류성룡 안동 충효당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안동 충효당 허목 A는 B가 편액을 썼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주남철, "안동 하회 충효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안동 하회 충효당",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3. "안동 하회 충효당", 『두산백과』online.
  4. "안동 하회 충효당",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