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수원 창성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22번째 줄: 22번째 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에 있는 절터.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에 있는 절터.
  
 +
=='''내용'''==
 
===역사===
 
===역사===
 
고려의 마지막 [[화엄종]]계 국사인 진각국사(眞覺國師) [[천희|천희(千熙)]]가 말년에 창성사를 [[화엄종]]의 본산으로 삼고자 하였다. 조선 초 [[조선 태종|태종]]의 불교개혁을 통해 유가종으로 이속되었으며, [[조선 세종|세종]]대인 1446년([[조선 세종|세종]] 28) 무렵에는 [[김겸광|김겸광(金謙光)]]·[[강희맹|강희맹(姜希盟)]] 등의 유생들이 독서하였던 사찰이었는데 창성사(昌盛寺)라고도 불렸던 듯하다. 성종대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나 18~19세기에 편찬된 지리지나 지도류 등에도 그 이름이 실려 있다. 조선 후기 문인 [[신경준|신경준(申景濬)]]의 『[[가람고|가람고(伽藍考)]]』나 『수원부읍지|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 사찰조에 의하면, 창성사는 일시적으로 창선사(彰善寺)라고도 불렸다고 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9245 창성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려의 마지막 [[화엄종]]계 국사인 진각국사(眞覺國師) [[천희|천희(千熙)]]가 말년에 창성사를 [[화엄종]]의 본산으로 삼고자 하였다. 조선 초 [[조선 태종|태종]]의 불교개혁을 통해 유가종으로 이속되었으며, [[조선 세종|세종]]대인 1446년([[조선 세종|세종]] 28) 무렵에는 [[김겸광|김겸광(金謙光)]]·[[강희맹|강희맹(姜希盟)]] 등의 유생들이 독서하였던 사찰이었는데 창성사(昌盛寺)라고도 불렸던 듯하다. 성종대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나 18~19세기에 편찬된 지리지나 지도류 등에도 그 이름이 실려 있다. 조선 후기 문인 [[신경준|신경준(申景濬)]]의 『[[가람고|가람고(伽藍考)]]』나 『수원부읍지|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 사찰조에 의하면, 창성사는 일시적으로 창선사(彰善寺)라고도 불렸다고 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9245 창성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8월 23일 (수) 14:44 판

수원 창성사지
(水原 彰聖寺址)
대표명칭 수원 창성사지
한자 水原 彰聖寺址
주소 경기도 수원시 상광교동 산41번지
문화재 지정번호 기념물 제225호
문화재 지정일 2017년 5월 29일
경내문화재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정의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에 있는 절터.

내용

역사

고려의 마지막 화엄종계 국사인 진각국사(眞覺國師) 천희(千熙)가 말년에 창성사를 화엄종의 본산으로 삼고자 하였다. 조선 초 태종의 불교개혁을 통해 유가종으로 이속되었으며, 세종대인 1446년(세종 28) 무렵에는 김겸광(金謙光)·강희맹(姜希盟) 등의 유생들이 독서하였던 사찰이었는데 창성사(昌盛寺)라고도 불렸던 듯하다. 성종대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나 18~19세기에 편찬된 지리지나 지도류 등에도 그 이름이 실려 있다. 조선 후기 문인 신경준(申景濬)의 『가람고(伽藍考)』나 『수원부읍지|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 사찰조에 의하면, 창성사는 일시적으로 창선사(彰善寺)라고도 불렸다고 한다.[1]

1791년(정조 15)에 편찬된 『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 사찰조의 기록에 의하면 “창선사는 광교산에 있으며 지금은 폐사되어 다시 창건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광교산에 있는데 옛날에 폐사되어 지금 보수하였다”라는 내용이 있다. 또한, 1800년에 제작된 『동국여도(東國輿圖) 』의 수원부지도에는 창성사라고 표기되어 있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 편찬된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 』에 의하면 창성사가 전소되어 폐사되었다고 한다.[2]

1951년까지 민가 형태의 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마저도 소실되었다. 절터에는 건물 기단과 주춧돌, 옥개석, 기와 조각, 석축 등이 남아 있으며, 이색(李穡)진각국사탑비가 전해진다. [3]

발굴조사 결과

수원시는 한신대박물관과 함께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창성사지 발굴조사를 했고, 2016년 12월 수원화성박물관에서 '고고학과 문헌을 통해 본 수원 창성사지의 역사적 가치'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연구원들은 고려말 진각국사 천희의 탑비가 있었던 터를 확인했고, 중심 건물과 부속 건물터, 고급 청자와 백자 등 많은 유물을 발굴했다. 창성사지가 있는 광교산 일대에 대한 광역 지표 조사를 진행해 미학사지, 상광교동 사지 등 건물터와 유물 산포지 등 19곳의 불교 유적을 새롭게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학술대회에서 '수원 창성사지 발굴조사 성과와 의의'를 공동발표한 이형원 학예연구사와 강정식 연구원은 "문헌, 고지도, 비문 등을 분석해보면 창성사는 원주 법천사, 용인 서봉사, 여주 신륵사 등과 함께 조선 태종 7년(1407년)에 전국 88개 자복사로 선정됐을 정도로 규모가 컸고, 위상도 높았다"라고 밝혔다. [4]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수원 창성사지 A는 B에 있다
천희 수원 창성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김겸광 수원 창성사지 A는 B와 관련있다
강희맹 수원 창성사지 A는 B와 관련있다
화엄종 수원 창성사지 A는 B를 포함한다
범우고 수원 창성사지 A는 B와 관련있다
동국여도 수원 창성사지 A는 B와 관련있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창성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창성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창성사지", 『두산백과』online.
  4. "수원 창성사지", 『위키백과』online.

참고문헌